?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5.21. 연중 제7주간 토요일                                                                   야고5,13-20 마르10,13-16


                                                                      의인의 기도


“의인의 간절한 기도는 큰 힘을 냅니다.”

야고보서의 한 말씀이 마음에 와닿습니다. 누가 의인입니까? 의인은 어떤 특출한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께 충실한 사람, 그분의 뜻을 성실히 따르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야고보 사도는 엘리야를 의인의 예로 들면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엘리야는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었지만, 비가 내리지 않게 해 달라고 열심히 기도하자 삼 년 육개월 동안 땅에 비가 내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시 기도하자, 하늘이 비를 내리고 땅이 소출을 냈습니다.”


기도해야 합니다. 기도는 영혼의 호흡과 같습니다. 살기위해 기도해야 합니다. 기도하는 의인은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가능성입니다. 하느님께 충실하여 끊임없이 그분의 뜻에 사는 사람이 의인이자 믿음의 사람입니다. 


믿음의 기도는 아픈 사람을 구원하고, 주님께서는 그를 일으키십니다. 하느님과의 소통에 기도보다 더 좋은 것은 없습니다. 기도할 때 회심이요 죄의 용서에 이어 치유가 뒤따릅니다. 


오늘날 병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죄도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개를 통해 죄를 용서 받아 영혼이 건강을 회복할 때 육신의 치유도 뒤따릅니다. 오늘 1독서에서 야고보 사도는 온통 기도를 강조합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여러분 가운데에 고통을 겪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런 사람은 기도하십시오. 즐거운 사람이 있습니까? 그런 사람은 찬양 노래를 부르십시오.”


끊임없이 기도하라는 말씀입니다. 고통스러울 때나 즐거울 때나 늘 기도하라는 것입니다. 이래야 튼튼한 영혼으로 살 수 있습니다. 기도할 때 모두는 하느님의 선물로 변합니다. 고통도 하느님의 선물이 되어 그를 내적으로 강하게 만듭니다. 


오늘 복음에서 어린이를 대하는 예수님과 제자들의 모습이 참 좋은 대조를 이룹니다. 예수님은 어린이들을 당신께 데려오는 이들을 꾸짖는 권위주의적인 제자들의 모습을 보시고 언짢아 하시며 말씀하십니다.


“어린이들이 나에게 오는 것을 막지 말고 그냥 놓아두어라. 사실 하느님의 나라는 이 어린이들과 같은 사람들의 것이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어린이와 같이 하느님의 나라를 받아들이지 않는 자는 결코 그곳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바로 끊임없는 기도가 우리를 의인이 되게 하고 이런 의인의 기도가 우리의 어린이성을, 동심을 회복시키고 활성화시킵니다. 여기서 어린이와 같은 이는 완전한 의존상태에 있는 무력한 사람을 가리킵니다. 어린이는 무죄의 상징이 아니라 단순성과 개방성, 순종과 순응을 상징합니다. 바로 하느님의 나라는 이런 어린이들과 같은 사람들의 것입니다. 


얼마전 어린이날을 지냈는데 우리는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가 하느님의 어린이들이고 마음 깊이에는 동심이 있습니다. 심은 우리의 영원한 고향입니다. 결코 동심을 잃어선 안 됩니다. 하여 사람들이 나이 들어 어른이 되도 동심이 그리워 고향을, 노부모를, 옛스승을, 옛 초등학교 동창들을 찾습니다. 


저 역시 옛 초등학교 제자들과의 만남이 그리도 기쁘고 행복했던 것은 제 순수한 동심과 제자들의 순수한 동심이 만났기 때문임을 깨닫습니다. 워드워즈의 무지개라는 동심을 노래한 애송시가 생각납니다.


-하늘에 무지개 바라보면

내 마음 뛰노나니,

나 어려서 그러하였고

어른 된 지금도 그러하거늘

나 늙어서도 그러할지어다.

아니면 이제라도 나의 목숨 거둬 가소서.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

원(願)하노니 내 생애의 하루하루가

천생의 경건한 마음으로 이어질진저...-


문득 저녁성무일도때 자주 부르는 후렴곡이 생각납니다.


“어린이와 같이 되라, 그렇지 않고는 하늘나라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동심을, 어린이성을 회복한 우리 모두를 끌어안으시고 손을 얹어 축복해 주신후 파견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9 참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 -하느님 중심의 초연한 깨어 있는 삶-2020.9.9.연중 제2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9 109
1368 사랑의 예닮 여정 -무지와 허무에 대한 답은 예수님뿐이다-2020.9.10.연중 제23주간 목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9.10 100
1367 개안開眼의 여정 -무지로부터 깨달음의 앎으로-2020.9.11.연중 제2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1 105
1366 반석 위의 인생 성전聖殿 집 -말씀과 기도, 성찬례 실행의 생활화-2020.9.12.연중 제2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2 118
1365 어떻게 살 것인가? -사랑하라, 화내지 마라, 자비로워라-2020.9.13.연중 제24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9.13 139
1364 성 십자가 예찬 -기도와 회개의 표징이자 구원의 이정표-2020.9.14.월요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14 173
1363 아, 어머니! 고통의 성모 마리아님! -관상, 연민, 비움, 초월-2020.9.15.화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9.15 195
1362 선물이냐 짐이냐? -하느님이, 기도와 사랑이 답이다-성 고르넬리오 교황(+253)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25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9.16 130
1361 부활 은총의 삶 -사랑, 만남, 회개, 용서, 구원-2020.9.17.연중 제2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7 136
1360 더불어 여정 중의 공동체 -중심(믿음), 비전(희망), 역할(사랑)-2020.9.18.연중 제2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8 107
1359 참된 수행자의 삶 -희망, 간절함, 항구함, 인내-2020.9.19.연중 제2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0.09.19 108
1358 구원의 여정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2020.9.20(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1-1846)와 성 정하상 바오로(1795-1839)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20 150
1357 부르심의 여정 -부르심, 들음, 따름-2020.9.21.월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20.09.21 113
1356 멋지고, 맛있고, 아름다운 삶 -말씀 예찬-2020.9.22.연중 제2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2 120
1355 파견된 복음 선포자의 삶 -선물, 비전, 믿음, 환대, 활동-2020.9.23.수요일 피에트첼치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9.23 118
1354 충만한 삶 -허무와 무지에 대한 답은 하느님뿐이다-2020.9.24.연중2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4 123
1353 때를 아는 지혜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2020.9.25.연중 제2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5 102
1352 기억하라, 사랑하라, 찬미하라 -창조주 하느님, 파스카 예수님을!-2020.9.26.연중 제2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6 106
1351 참 멋지고 아름다운 삶 -끊임없는 회개-2020.9.27.연중 제26주일(이민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9.27 108
1350 하느님의 종 -믿음의 대가;예수님과 욥-2020.9.28.연중 제2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8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