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5.25.수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3-735) 기념일 

                                                                                                                  1베드1,18-25 마르10,32-45


                                                                             아름다운 영혼

                                                                              -섬김의 사랑-


오늘 기념하는 성 베다 사제에 관한 간략한 전기를 읽으며 참 아름다운 영혼이란 감탄을 금할 수 없었습니다. ‘아름다운 영혼’은 우리 믿는 이들이 궁극으로 소망하는 바입니다. 오늘 복음도 독서도 참 아름답습니다. 하느님은 아름다움 자체이며 미사 역시 하느님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바로 하느님의 말씀이 우리를 아름다운 영혼으로 만들어 줍니다. 구체적으로 섬기는 사랑의 삶이 우리를 아름다운 영혼으로 변화시켜 줍니다. 예수님의 세 번째 수난과 부활의 예고 후 제자들은 물론 우리 모두에게 유언같은 말씀을 주십니다.


“그러나 너희는 그래서는 안된다. 너희 가운데에서 높은 사람이 되려는 이는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또한 너희 가운데에서 첫째가 되려는 이는 모든 이의 종이 되어야 한다. 사실 사람의 아들은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마르10,43-45).


참 아름다운 영혼의 예수님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이신 예수님을 닮아갈 때 아름다운 영혼입니다. ‘너희는 그래서는 안된다.’ 지배하고 다스리고 통치하는 일방적 강압적 방식으로 사람을 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못박으시는 주님이십니다. 이와 반대로 주님은 섬김의 삶, 종의 삶을 살라고 하십니다. 


새삼 우리의 영성은 섬김과 종의 영성임을 확인하게 됩니다. 섬김의 서비스service와 종의 서번트servant의 영어 단어를 봐도 같은 어원임을 알게 됩니다. 오늘 복음의 마지막 구절(마르10,45)은 저의 서품 상본 성구이기도 합니다.


어제 주님은 ‘거룩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는 데, 오늘은 ‘섬기는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십니다. 모든 이의 종이 되어 섬기는 사람이 바로 거룩한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하여 분도수도공동체도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라 정의합니다. 평생 주님과 형제들을 섬기는 삶을 배우는 학교가 수도공동체라는 것입니다. 


섬기는 사람이 진정 아름다운 영혼입니다. 영성의 진위를 판가름 하는 잣대도 섬김의 사랑 하나뿐입니다.하느님 말씀의 은총이 우리를 끊임없이 섬김의 사람으로 변모시켜 줍니다. 베드로 사도의 다음 말씀이 이를 입증합니다.


“여러분은 진리에 순종함으로써 영혼이 깨끗해져 진실한 형제애를 실천하게 되었으니, 깨끗한 마음으로 서로 한결같이 사랑하십시오.”


진리의 말씀에 순종할 때 영혼은 깨끗해져 진실한 형제애를 실천할 수 있으니 바로 말씀의 은총입니다. 말씀의 은총이 우리를 깨끗한 마음으로 서로 한결같이 사랑을 실천할 수 있게 합니다. 이어지는 주님의 말씀이 우리를 한층 고무시킵니다. 


“여러분은 썩어 없어지는 씨앗이 아니라 썩어 없어지지 않는 씨앗, 곧 살아계시며 영원히 머물러 계시는 하느님의 말씀을 통하여 새로 태어났습니다.”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날마다 ‘살아계시며 영원히 머물러 계시는’ 주님의 말씀을 통하여 새롭게 태어나는 우리들이기에 ‘아름다운 영혼’으로 섬김의 사랑에 항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유한하지만 하느님의 말씀은 영원합니다. 영원하신 주님의 말씀의 은총이 우리 모두 영원한 삶을 살게 합니다. 베드로 사도는 이사야서의 말씀을 인용하며 주님의 말씀을 찬양합니다.


“모든 인간은 풀이요

 그 영화는 들의 꽃과 같다.

 진정 이 백성은 풀에 지나지 않는다.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들지만

 우리 하느님의 말씀은 영원히 서 있으리라.”(이사40,6-8)


우리를 더욱 겸손하게 하는 주님의 말씀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영원한 생명을 선사하시어, 아름다운 영혼으로 섬김의 사랑에 항구할 수 있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4 기품氣稟 있는 삶-주님의 종-2016.11.8. 연중 제3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11.08 181
1473 대림待臨의 기쁨-내적혁명-2016.12.11. 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16.12.11 181
1472 ‘아나빔anawim’의 노래-2016.12.22. 대림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12.22 181
1471 부활하신 주님과 ‘만남의 여정’ -참나의 발견과 확인-2018.4.3. 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03 181
1470 부르심에 합당한 아름답고 지혜로운 삶 -일치의 삶(관상가), 시대의 징표(예언자)-2018.10.26.연중 제29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26 181
1469 주님 성탄의 기쁨 -영광과 평화-2018.12.25. 주님 성탄 대축일(밤미사) 독서기도(성경독서) 이사11,1-10. 교부독서:레오 대교황의 성탄강론 이사9,1-6 티토2,11-14 루카2,1-14 프란치스코 2018.12.24 181
1468 큰 산, 큰 사랑, 큰 사람 -하느님 중심의 삶-2019.2.3.연중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2.03 181
1467 끊임없는 기도가 회개가 용서가 자비가 답이다 -주님과 함께 다시 새롭게 시작하는 삶-2019.3.26. 사순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26 181
1466 영원한 삶 -사랑과 신뢰의 관계-2019.8.29.목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9 181
1465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제자와 사도로서의 삶 -기도가 답이다-2019.9.10.연중 제2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10 181
1464 “하닮의 여정” -“우리 모두가 ‘임마누엘’입니다”-2020.3.25.수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25 181
1463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파스카의 꽃’같은 삶-2021.9.3.금요일 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 학자(540-604)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9.03 181
1462 하느님만 찾는, 하느님 중심의 행복한 삶 -지혜, 겸손, 진실, 섬김-2021.10.13.연중 제28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13 181
1461 하느님 중심의 삶과 기도 -경청과 분별의 지혜-2022.4.2.사순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4.02 181
1460 복음 선포의 삶 -경청敬聽, 순종順從, 선포宣布-2022.4.23.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3 181
1459 자아초월自我超越의 여정 -부활하신 파스카 예수님과의 만남-2022.5.2.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296-37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5.02 181
1458 회심의 여정 -회심과 성체성사-2022.5.6.부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5.06 181
1457 회개의 생활화生活化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끊임없는 회개悔改뿐이다-2022.6.13.월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6.13 181
1456 밥으로 오시는 하느님 -성찬례의 삶-2022.6.19.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2.06.19 181
1455 백제의 미소 -고향순례- 이사26,7-9.12.16-19 마태11,28-30 프란치스코 2016.07.14 182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