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6.11. 토요일 성 바르나바 기념일                                                 사도11,21ㄴ-26;13,1-3 마태10,7-13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자유와 섬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오늘 복음을 묵상하는 순간 마음에 와 닿은 구절을 그대로 강론 제목으로 택했습니다. 참으로 무욕의 자유로운 삶이자 홀가분한 삶입니다. 도대체 잘 들여다보면 내 것이 없습니다. 모두가 선물로 거저 받은 것입니다. 그대로 선물 인생입니다. ‘무엇으로부터의 자유’에 앞서 ‘무엇을 위한 자유’인가가 먼저입니다. 사도들의 삶을 통해 환히 드러나는 참 자유의 비결입니다.


“가서 ‘하늘 나라가 왔다.’하고 선포하여라.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주님께로부터 사도들에게 먼저 주어진 것이 삶의 목표요 삶의 방향입니다. 삶의 목표가, 삶의 방향이 뚜렷해야 방황하지 않습니다. 삶은 단순해지고 자유로워집니다. ‘나이 30에 죽어 70에 묻힌다.’라는 아주 예전에 들은 말이 생각납니다. 목표없이, 방향없이 표류하는 삶을 지칭합니다.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목표를 잃고, 존재감 없이 표류하는 삶은 얼마나 많은지요. 


삶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입니다. 무엇을 위한 자유인가가 중요합니다. 섬김을 위한 자유입니다. 이래야 자유의 완성입니다. 자유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닙니다. 하느님과 이웃을 섬기는 사랑으로 표현될 때 자유의 완성입니다. 


하늘나라를 선포하고,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고, 나병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는 사도들의 삶이 그대로 자유와 섬김의 삶입니다. 예수님의 일을 그대로 전수받은 사도들의 자유와 섬김의 삶입니다. 똑같은 주님께서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사도들에게 명령하신 일을 친히 하십니다. 우리를 고쳐주시고, 일으켜 주시고, 깨끗하게 해 주시고, 온갖 마귀들을 쫓아내 주십니다.


이런 삶의 목표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가벼워져야 합니다. 무거워지기는 쉬워도 가벼워지기는 어렵습니다. 최대한 무소유의 삶이어야 합니다. 안팎의 짐을 줄이고 비워야 주님의 능력으로 가득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주님으로부터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면 됩니다. 말 그대로 자유와 섬김의 삶의 실현입니다.


“전대에 금도 은도 구리 돈도 지니지 마라. 여행 보따리도 여벌 옷도 신발도 지팡이도 지니지 마라.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도 당연하다.”


삶의 목표와 방향이 분명해 졌으니 이런 무소유의 삶입니다. 문자 그대로 실천할 수 없어도 최대한 안팎으로 비우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이래야 삶은 짐이 아닌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비움의 자리에 가득 차는 주님의 평화입니다. 우리가 줄 수 있는 제일의 선물이 주님의 평화입니다. 


“집에 들어가면 그 집에 평화를 빈다고 인사하여라.”


이런 평화의 선물이 제일입니다. 우리 역시 매일미사 때 마다 주님의 평화를 선물로 받습니다. 거저 받았으니 거저 나누는 주님의 평화의 선물입니다. 이런 사도들의 모범이 바로 오늘 기념하는 바르나바입니다. 


안티오키아 교회에 도착한 바르나바는 하느님의 은총이 내린 것을 보고 기뻐하며, 모두 굳센 마음으로 주님께 계속 충실하라고 격려합니다. ‘바르나바는 착한 사람이며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었다.’라는 묘사에서 ‘텅 빈 충만’의 자유인을 연상케 합니다. 바르나바 사도는 말 그대로 순수한 사람이며 자유와 섬김의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를 당신 평화로 가득 채워 주시어 평화의 사도로 세상에 파견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08 새 인간 -생명의 빵인 예수님이 답이다-2021.8.1.연중 제18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8.01 150
2407 하느님 중심中心의 삶 -희년禧年의 영성-2021.7.31.토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7.31 141
2406 전례와 삶 -무지에 대한 답은 전례 은총뿐이다-2021.7.30.연중 제1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30 113
2405 예수님 중심의 공동체 -공동체는 우리의 위대한 스승이시다-2021.7.29.목요일 성녀 마르타와 성녀 마리아와 성 라자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7.29 122
2404 보물 찾기 -주님은 우리의 영원한 참 보물이시다-2021.7.28.연중 제17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8 117
2403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파스카 신비의 삶, 말씀과 기도와 회개의 삶-2021.7.27.연중 제17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7 128
2402 하늘 나라의 삶 -신망애信望愛의 겨자씨, 신망애信望愛의 누룩-2021.7.26.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7.26 112
2401 주님처럼 우리 모두 영원한 표징이 되어 삽시다 -구원, 회개, 희망, 겸손-2021.7.25.연중 제17주일(제1차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7.25 143
2400 선과 악이 공존하는 영적전장(靈的戰場) -“심판은 하느님께 맡기고 끝까지 기다리십시오!”-2021.7.24.연중 제1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4 109
2399 사람이, 우리의 내면인 마음밭이 문제다 -답은 은총과 수행-2021.7.23.연중 제1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3 141
2398 참 삶, 참 행복 -“사랑하라, 찾아라, 만나라, 선포하라”-2021.7.22.목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프란치스코 2021.07.22 159
2397 하늘 나라의 삶 -묵묵히, 한결같이 씨뿌리는 정주의 삶-2021.7.21.연중 제16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1 123
2396 “저에게 가장 큰 스승은 수도공동체입니다" -주님 중심의 참가족-2021.7.20.연중 제1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0 114
2395 회개의 표징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1.7.19. 연중 제1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9 120
2394 참 목자이자 참 농부農夫이신 하느님 - 참 목자, 참 농부 영성이 절박切迫한 시대-2021.7.18.연중 제1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7.18 128
2393 늘 새로운 하루 -참으로 절실한 관상적 삶-2021.7.17.연중 제1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7 116
2392 영적전쟁 -하느님 중심의 승리勝利의 삶-2021.7.16.연중 제1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6 156
2391 주님의 초대, 주님의 환대 -영원한 안식처-2021.7.15.목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8-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1.07.15 161
2390 주님과 만남의 여정 -참나의 실현, 참나의 발견-2021.7.14.연중 제1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4 139
2389 회개悔改의 여정旅程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 2021.7.13.연중 제15주간 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7.13 136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