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7.13.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이사10,5-7.13-16 마태11,25-27


                                                               자기인식(self-knowledge)

                                                                    -하느님의 도구-


가장 쉬운 것이 남 판단하는 것이요, 가장 어려운 것이 자기를 아는 일입니다. 자기를 몰라 판단이지 자기를 알면 판단하지 않습니다. 하여 자기를 아는 것이 지혜요 겸손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복음은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님의 유일한 찬양기도입니다. 찬양기도이자 동시에 감사기도입니다.


“아버지, 하늘과 땅의 주님,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에게는 이것을 감추시고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아버지께 감사드립니다. 그렇습니다. 아버지! 아버지의 선한 뜻이 이렇게 이루어졌습니다.”


참으로 철부지들만이 주님을 찬양하고 감사할 수 있습니다. 끊임없는 찬미와 감사의 기도가 주님의 겸손한 철부지의 사람들로 만들어 줍니다.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이 지칭하는 바 바리사이와 율사들입니다. 세속적으로 참으로 똑똑하다는 이들을 상징합니다. 겸손과는 거리가 먼 자들입니다. 하늘나라의 신비는 이들이 아닌 자기를 아는 겸손한 이들에게 계시됩니다. 철부지들로 상징되는 자기를 아는 겸손한 이들에게 선물로 주어지는 하늘나라의 신비입니다. 


모든 덕의 어머니가 겸손입니다. 진실과 함께가는 겸손입니다. 이 반대가 허영과 교만입니다. 진정 자기를 아는 겸손한 이들이 진실하고 늘 하느님께 자신을 개방합니다. 하느님은 이런 이들을 당신의 도구로 쓰십니다. 예수님은 물론 철부지로 상징되는 제자들이 진정 하느님의 도구입니다. 어리석고 어리숙한 듯 하나 실로 지혜롭고 겸손한 이들입니다.


“나의 아버지께서는 모든 것을 나에게 넘겨 주셨다. 그래서 아버지 외에는 아무도 아들을 알지 못한다. 또 아들 외에는, 그리고 그가 아버지를 드러내 보여 주려는 사람 외에는 아버지를 알지 못한다.”


아버지와 예수님과의 독보적 앎의 관계를 깨닫게 됩니다. 참으로 아버지를 알고 나를 아는 것이 크나 큰 은총임을 깨닫습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간절한 기도 역시 둘로 요약됩니다. 하느님을 알게 해달라는 것과 자기를 알게 해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영적지도의 목표 역시 하느님을 사랑하도록 이끌어 주는 것과 자기를 알게 해주는 것이라 합니다. 둘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하나입니다. 하느님을 사랑할 때 하느님을 알게 되고 이어 자신을 알 수 있습니다. 주님은 이런 겸손한 이들을 당신의 도구로 쓰십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과 제자들과 대비되는 이사야서의 주님의 도구였던 아시리아입니다. 교만으로 인해 자기에게 주어진 사명을 잊고 제멋대로 행한 아시리아에 대한 주님의 불행 선언입니다.


“불행하여라, 내 진노의 막대인 아시리아! 그의 손에 들린 몽둥이는 나의 분노이다.”


하느님의 도구로써 출발한 아시리아였지만 하느님을 까맣게 잊은 채, 제 마음대로의 처신이었습니다. 소위 복음이 말하는 똑똑하고 슬기롭다는 자가 된 아시리아입니다.


“나는 내 손의 힘으로 이것을 이루었다. 나는 현명한 사람이기에 내 지혜로 이루었다.”


이어지는 말도 온통 내가 주어이고 하느님의 자리는 없습니다. 찬미와 감사가 들어 설 자리가 없습니다. 소위 세상에서 똑똑하다는 이들의 실상입니다. 하느님을 잊고 자신을 잊은 똑똑한 듯 하나 실상 어리석은 아시리아에 대한 주님의 혹독한 질책입니다.


“도끼가 도끼질하는 사람에게 뽐낼 수 있느냐? 톱이 톱질하는 사람에게 으스댈 수 있느냐? 만군의 주님께서는 마치 불로 태우듯, 그 영화를 불꽃으로 태워 버리시리라.”


자기를 잊고 제 분수를 넘어섬으로 하느님의 도구 역할에 실패한 교만한 아시시라아가 상징하는바 우리들일 수 있습니다. 하느님을 잊고 자기를 잊을 때 누구나의 가능성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철부지들과 같은 당신의 사람들인 우리 모두에게 풍성한 은총을 내려 주시어 당신의 도구로써 찬미와 감사의 삶, 진실과 겸손의 삶을 잘 살게 하십니다. 


“주님은 하늘에서 마련하신 빵을 저희에게 주셨나이다. 그 빵은 누구에게나 맛이 있어 한없는 기쁨을 주었나이다.”(지혜16,20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8 성인이 됩시다 -하루하루가 선물이자 과제요, 평생이자 영원의 구원입니다-2021.8.28.토요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354-43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8.28 114
1467 성인이 됩시다 -지혜와 선행에 대한 사랑과 훈련, 습관화- ​​2022.4.1.사순 제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4.01 173
1466 성인이 됩시다 -주님의 전사, 믿음의 전사, 사랑의 전사-2022.6.29.수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낮미사 프란치스코 2022.06.29 183
1465 성인이 됩시다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2022.11.1.화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2.11.01 204
1464 성인이 됩시다 -열렬한 사랑은 성덕의 잣대-2019.8.27.화요일 성녀 모니카(332-38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7 223
1463 성인이 됩시다 -11월은 희망과 위로의 성월-2023.11.1.수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11.01 162
1462 성인이 되고 싶습니까? -평생 연민, 기도, 순종을 배우십시오-2017.3.20. 월요일 한국교회의 수호자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3.20 255
1461 성인성월(聖人聖月) -성인이 되십시오-2022.11.4.금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04 189
1460 성인聖人이 됩시다 -“주님, 저는 당신을 사랑합니다”-2023.1.3.주님 공현 대축일 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1.03 242
1459 성인聖人이 되십시오 -끊임없는 기도와 회개의 생활화-2021.10.1.금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0.01 170
1458 성인聖人이 되라 불림받고 있는 우리들 -오늘 지금 여기가 ‘구원의 꽃자리’ 하늘 나라이다--2021.5.26.성 필립보 네리 사제(1515-1595)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5.26 121
1457 성인聖人이 되고 싶습니까? -좁은 문으로 들어가십시오-2018.6.26. 연중 제1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26 112
1456 성인聖人이 되고 싶습니까? -기도하는 공동체, 좌우명, 내 삶의 성경-2021.6.29.화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낮미사 1 프란치스코 2021.06.29 107
1455 성인聖人이 답이다. -최후의 심판-2017.3.6. 사순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03.06 115
1454 성인聖人의 소명召命 -사랑은 성덕의 잣대-2019.10.1.화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0.01 184
1453 성인聖人의 삶 -지상에서 천국天國을-2021.11.7.연중 제32주일(평신도 주일) 1 프란치스코 2021.11.07 173
1452 성인聖人으로 불림받은 우리들 -섭리攝理;은총, 광야廣野;겸손, 사명使命;빛-2021.6.24.목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6.24 142
1451 성인聖人, 성녀聖女가 됩시다 -참 사람의 영원한 모델; 모세, 예수님-2019.8.13.연중 제19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13 192
1450 성인(聖人)다운, 하느님의 자녀다운 삶 -“성소(聖召) 역시 은총의 선물이자 평생과제이다”-2023.1.20. 연중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1.20 184
1449 성숙成熟의 여정중에 있는 교회 공동체 -사랑의 불, 창조적 분열, 참평화-2018.10.25.연중 제2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25 140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