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7.22. 금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아가3,1-4ㄴ 요한20,1-2.11-18


                                                                           사도들의 사도

                                                                        -마리아 막달레나-


오늘은 참 기쁘고 뜻깊은 날입니다. 바티칸 공의회 이후 오랫동안 의무기념일로 지내다가 오늘부터 축일로 승격되어 ‘사도들의 사도’ 막달레나를 기념하기 때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분명한 뜻에 따라, 경신사성은 2016년 6월 3일 예수성심대축일에 새로운 교령을 발표함으로 마침내 오늘 성녀의 축일 미사가 가능했습니다.


요한 바오로 2세 성인께서는 마리아 막달레나의 특별한 역할 곧,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난 첫 증인이고 주님의 부활을 사도들에게 알린 첫 전달자로서 성녀 역할을 강조하셨습니다. 라바노 마우로 성인은 여러차례 “그리스도께 대한 위대한 사랑을 보여 주었고 그리스도께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라고 단언하였고, 안셀모 성인은 성녀가 “사랑받았기에 선택 받았고 하느님께 선택받았기에 사랑받았다.”하였습니다.


서방교회전통에서는 특히 대 그레고리오 성인 이후부터,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와, 바리사이 시몬의 집에서 그리스도의 발에 향유를 부어 바른 여인과, 또 라자로와 마르타의 누이 마리아를 한 사람의 동일한 인물로 보았습니다. 


분명한 것은 마리아 막달레나가 예수님의 제자 무리에 속하였고, 십자가 아래에서 예수님과 함께 하였으며, 무덤 밖 동산에서 예수님을 만난 ‘하느님 자비의 첫 증인’이었다는 것입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시신을 찾지 못해 울고 있는 그녀에게 친히 당신 자신을 그녀의 스승으로 알려주심으로써 그녀의 눈물을 파스카의 기쁨으로 바꾸어 주신 것입니다. 그러면 왜 성녀가 사도들의 사도로서 마땅히 축일로 경축되어야 하는지 그 사유를 밝힙니다.


첫째, 성녀는 주님 부활의 첫 증인이었습니다. 

빈무덤을 본 첫 번째 사람이고 주님 부활에 대한 진리를 들은 첫 번째 사람이 바로 성녀입니다. 안셀모 성인의 말씀처럼, 겸손의 눈물로 당신을 찾은 성녀에게 주님은 특별한 관심과 자비를 베풀어 주셨습니다. 다음 복음의 성녀와 예수님의 만남의 장면은 얼마나 아름답고 감동적인지요. 


당신을 애타게 찾는 성녀의 모습이 마치 오늘 아가서의 신부같습니다. “내가 사랑하는 이를 찾았네.” 그대로 성녀의 고백처럼 들입니다. 성녀의 간절한 사랑에 감동한 주님은 성녀를 부르시고, 성녀는 전광석화電光石火같이 응답하십니다.


-예수님께서 “마리아야!”하고 부르셨다. 마리아는 돌아서서 히브리 말로 “라뿌니!”하고 불렀다. 이는 ‘스승님!’이라는 뜻이다.-


사랑을 담는 음성이요 눈빛입니다. 목소리를 들으면 눈빛을 보면 사랑을 알 수 있습니다. 지순한 사랑과 지순한 사랑의 만남이요 순수한 마음과 순수한 마음의 만남입니다. 부활하신 주님을 만남으로 성녀 역시 부활의 기쁨으로 충만한 순간입니다. 절망은 희망으로 어둠은 빛으로 죽음은 생명으로 슬픔은 기쁨으로 바뀌는 순간입니다. 이런 부활하신 주님을 만날 때 저절로 솟아나는 찬미와 감사입니다.


이렇게 성녀처럼 우리도 이 거룩한 미사시간 부활하신 사랑의 주님을 찾고 만나야 합니다. 간절한 사랑으로 주님을 찾을 때 똑같은 주님께서 우리 이름을 부르시며 만나주십니다.


에덴동산의 여인과 부활동산에서의 성녀가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에덴동산의 여인은 생명이 있는 곳에 죽음을 퍼뜨렸지만, 부활동산의 여인은 죽음의 자리인 무덤에서부터 생명을 선포하였습니다. 대 그레고리오 성인은 성녀에 관한 깊은 묵상의 열매를 나눠줍니다. 성인은 “에덴 동산에서 한 여자가 한 남자에게 죽음을 가져다 주었다면, 한 여자는 무덤에서부터 남자들에게 생명을 선포합니다.”라고 말씀하십니다.


둘째, “제가 주님을 뵈었습니다.”

성녀는 사도들 앞에서 그분을 증언하는 첫 번째 사도가 되었습니다. 맨처음 부활하신 주님을 만났고 맨처음 부활하신 주님을 사도들에게 선포합니다. 하여 형제들에게 당신 부활을 전하라는 주님의 명령을 완수합니다. 


하여 마리아 막달레나는 ‘복음선포자’, 곧 주님 부활의 기쁜 소식을 선포하는 전달자가 됩니다. 라바노 마우루와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이 말한대로 성녀는 ‘사도들의 사도’가 됩니다. 이런 연유로, 경신성사성 차관 아서 로시 대주교는 ‘교회의 모든 여성의 모범이고 본보기’인 성녀의 전례 거행이 사도들의 경축에 해당하는 것과 같은 축일 등급을 지녀야 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주목할 것은 미사중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의 새 감사송입니다. 내용이 너무 아름답고 성녀의 사랑을 잘 요약하였기에 나눕니다.


“살아계신 주님을 사랑하였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시는 주님을 뵈었으며,

 무덤에 묻히신 주님을 찾던 마리아 막달레나는,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처음으로 경배하였나이다.

 주님께서는 동산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에게 나타나시어.

 사도들 앞에서 사도 직무의 영예를 주시고.

 새로운 삶의 기쁜 소식을

 세상 끝까지 전하게 하셨나이다.“


참 아름답습니다. 사랑과 아름다움은 함께 갑니다. 성녀의 주님 향한 사랑의 삶이 아름답기에 감사송도 이렇게 아름답습니다. 성녀에게 주님은 삶의 전부였습니다. 탓할 것은, 부족한 것은 그 무엇도 아닌 우리의 주님 사랑뿐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을 만나는 우리 모두에게 이런 성녀와 같은 사랑을 선물하십니다.

 

“주님, 저의 하느님, 제 영혼이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시편63,2ㄷ).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2 너희는 광야에 주님의 길을 닦아라 -희망, 회개, 겸손- 2023.12.10.대림 제2주일 이사40,1-5.9-11 2베드3,8-14 마르1,1-8 ​​​​​​​ 프란치스코 2023.12.10 145
3271 배움의 여정, 치유의 여정 -우리의 평생 스승이자 치유자이신 예수님- “거져 받았으니 거져 주어라”2023.12.9.대림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9 150
3270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성모님 예찬 -지혜, 찬미, 순종-2023.12.8.금요일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창세3,9-15.20 에페1,3-6.11-12 루카1,26-38 프란치스코 2023.12.08 162
3269 주님 반석 위의 인생집 -한결같이 주님 말씀을 실행하는 삶-2023.12.7.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2.07 155
3268 영원한 하늘 나라 잔치, 꿈의 실현 -성체성사-2023.12.6.대림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6 155
3267 오소서, 성령님 -행복한 사람들이여, 성령께 마음을 열라-2023.12.5.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5 151
3266 행복하여라 -겸손과 평화의 참 좋은 믿음의 사람들!-2023.12.4.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4 158
3265 대림의 희망과 기쁨 -깨어 있어라, 회개하라, 감사하라-2023.12.3.대림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23.12.03 162
3264 영적승리의 삶 -“늘 깨어 기도하여라”-2023.12.2.연중 제3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2 166
3263 하느님 나라의 여정 -“하루하루 날마다,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23.12.1.연중 제3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1 173
3262 버림과 따름, 믿음의 여정 -제자이자 사도의 삶-2023.11.30.목요일 성 안드레아 사도(1세기 초반-1세기 중반) 축일 프란치스코 2023.11.30 171
3261 하느님의 궁극의 승리 -너희는 인내로서 생명을 얻어라-2023.11.29.연중 제3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9 162
3260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파거불행(破車不行), 노인불수(老人不修)- 오늘 지금 여기를 살라2023.11.28.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8 169
3259 나는 누구인가? -자기인식의 겸손과 지혜, 자유와 행복-2023.11.27.연중 제3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7 154
3258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을 사랑하고 섬깁시다 -“하루하루, 날마다, 늘, 끝까지. 한결같이, 평생을”-2023.11.26.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11.26 152
3257 희망의 여정 -죽음은 새로운 삶의 시작-2023.11.25.연중 제3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5 147
3256 성전정화 -성전정화의 일상화- “하루하후, 날마다, 평생-”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9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마카4,36-37.52-59 루카19,45-48 프란치스코 2023.11.24 160
3255 주님 평화의 전사 -평화사랑, 평화훈련, 평화습관-2023.11.23.연중 제3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3 151
3254 성화(聖化)의 여정 -성인(聖人)이 되는 것은 우리의 거룩한 소명(召命)이다-2023.11.22. 수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23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22 160
3253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이 된 우리들 “복되신 동정 마리아와 함께” -성모님 예찬-2023.11.21.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21 16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