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8.2. 연중 제18주간 화요일                                               예레30,1-2.12-15.18-22 마태14,22-36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어제 교회 잡지에 원고 투고후 관련된 사진 몇 점을 보내 드린 후 편집자 수녀님과의 카톡 대화를 소개합니다.


“신부님, 수고많으셨습니다. 메일에 교정한 원고 올렸으니 확인하세요.”

“방금 도착하여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웬지 위로받고 격려받은 느낌에 힘이 납니다. 하루하루 잘 살겠습니다.”


이어 마침 해바라기꽃 환한 사진이 있어 보내드리면 첨부한 글입니다.


“우리는 주님의 해바라기입니다. 주님을 바라 봄이 우리의 기쁨이요 행복입니다. 주님 사랑 안에 늘 행복하세요.”

“신부님, 감사합니다. 건강 유의하시고 주님 평화 가득하소서.”-


언젠가 어느 신심깊은 자매와 주고 받은 청담淸談도 나눕니다.


“신부님의 강론과 시도 저희들에겐 시편 찬미가와 같아요.”

“자매님의 삶자체도 하느님 찬미시처럼 아름다워요!”

“별말씀을, 송구스럽습니다. 신부님, 건강하시기를 기도하며!!”-


그렇습니다. 하느님을 찾는 사람입니다. 진선미眞善美의 하느님, 신망애信望愛의 하느님이십니다. 마음과 마음의 만남을 통해 이런 하느님을 만납니다. 우리는 모두 주님의 해바라기입니다. 주님을 바라볼 때 두려움은 사라지고 평화가 가득합니다. 주님을 바라 봄이 진정 우리의 기쁨이요 행복입니다. 


오늘 복음을 묵상할 때면 우선 마음에 와닿는 말마디가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는 주님의 말씀입니다. 우리 수도원 십자로 중앙 예수부활상 아래 돌판에 글자도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입니다. 두려움과 불안이 밀물처럼 밀려올 때 즉시 눈을 들어 바라봐야 할 주님이십니다.


어둔 밤, 맞바람이 불어 파도에 시달리던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처지에 처한 배안의 제자들 공동체는 오늘의 우리 공동체를 상징합니다. 인생항해 중에 끊임없이 겪는 시련과 두려움입니다.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물위를 걸어오시는 주님은 그대로 하느님의 현현입니다. 늘 우리와 함께 계시겠다고 약속하신 주님이십니다. ‘나다(I AM)’는 바로 하느님의 이름입니다. 나 하느님이 너희와 함께 있으니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우리의 원초적 정서가 두려움과 불안입니다. 끝없는 심연深淵과 같은 이 두려움과 불안에 대한 유일한 대안은 주님뿐입니다. 주님께 대한 믿음, 희망, 사랑만이 두려움과 불안의 어둠을 몰아냅니다. 이어지는 베드로와 예수님의 대화가 귀한 가르침을 줍니다.


“주님, 주님이시거든 저더러 물 위를 걸어 오라고 명령하십시오.”

“오너라.”


주님을 향해 물위를 걷던 베드로는 거센 바람에 두려워 한 눈을 파는 순간 걷잡을 수 없이 물속에 빠져듭니다. 늘 주님을 바라보고 걸어야 세상 바다에 빠지지 않는다는 가르침을 줍니다. 주님께 시선을 거둘 때 탐욕의 바다, 무지의 바다, 두려움의 바다, 유혹의 바다에 빠져 들 수 있습니다.


“주님, 저를 구해주십시오.”

“이 믿음이 약한 자야, 왜 의심하였느냐?”


우리 또한 하나의 베드로입니다. 베드로는 우리 모두의 보편적 모습입니다. 타고난 믿음은 없습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 성숙하는 믿음입니다. 약한 믿음을 지닌 우리에겐 이것이 우리의 희망입니다. 세상 바다에 빠져드는 위기의 순간 “주님, 저를 구해 주십시오.” 기도하는 것이고, 주님께 구원받은 후는 즉시 “스승님은 참으로 하느님의 아드님이십니다.” 믿음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희망의 하느님이요, 희망의 예언자입니다. 하느님 사전에 없는 단어가 절망입니다. 죄악이 많고 허물이 많아 스스로 자초한 심판의 벌이지만 이것은 끝이 아닙니다. 자비로운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의 이름은 자비입니다. 회개와 더불어 동터오는 희망의 하느님이십니다. 자비하신 하느님만이 우리의 운명을 바꿀 수 있습니다. 회개의 삶이 해피엔딩의 삶으로 이끕니다.


“내가 야곱 천막의 운명을 되돌려 주고 그의 거처를 가엾이 여겨, 그 언덕에 성읍을 세우고 궁궐도 제자리에 서게 하리라. 그들에게서 감사의 노래와 흥겨운 소리가 터져 나오리라. 너희는 내 백성이 되고 나는 너희 하느님이 되리라.”


야곱 천막이 상징하는 바, 바로 우리들입니다. 예레미야 예언자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주시는 주님의 격려와 위로 말씀입니다. 인간이 물음이라면 하느님은 답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백성이고 주님은 우리의 하느님이십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내면의 두려움을 말끔히 몰아내시고 당신 평화로 가득 채워 주시며 말씀하십니다.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마태14,27).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9 주님을 ‘참으로(truely)’ 만난 사람들 -엘아자르, 자캐오, 제르투르다, 나-2021.11.16.화요일 성녀 제르투르다 동정(1256-130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1.16 153
1088 주님을 감동시키는 간절하고 겸손한 믿음 -하느님 꿈의 실현-2018.12.3.월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2.03 130
1087 주님을 경외함이 답이다. -섬김의 삶, 환대의 삶-2017.2.21. 화요일 성 베드로 다미아노 주교 학자(1007-107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2.21 171
1086 주님을 기다리는 우리들 -기뻐하여라, 두려워하지 마라, 기다려라, 만나라-2022.12.11.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22.12.11 208
1085 주님을 꿈꾸는 사람들-2015.7.6. 연중 제1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7.06 197
1084 주님을 닮은 참 좋은 사람 -환대와 경청, 위로와 격려, 섬김의 사람-2021.3.3.사순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3.03 110
1083 주님을 사랑하는 참맛 -우리 모두가 주님의 애제자(愛弟子)이다-2023.12.27.수요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27 132
1082 주님을 사랑하십시오 -기쁨, 초연, 순수-2018.12.13.목요일 우리 연합회의 수호자 성녀 오딜리아 동정(662~720)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13 155
1081 주님을 사랑하여 알고 닮아 하나되어 가기 -무지에서의 해방과 자유-2020.5.11. 월요일 성 오도와 성 마욜로와 성 오딜로와 성 후고와 복자 베드로 베네라빌리스, 클뤼니 아빠스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5.11 130
1080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2015.8.10. 월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프란치스코 2015.08.10 256
1079 주님을 신뢰하고 주님께 신뢰 받는 사람 -신앙인의 롤모델; 모세와 예수님-2019.4.4.사순 제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04 117
1078 주님을 증언하는 삶 -나는 어떻게 주님을 증언하는가?-2018.3.15.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3.15 198
1077 주님을 찬미하라 -생명의 빵이신 그리스도-2016.5.29. 주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청소년 주일) 프란치스코 2016.05.29 258
1076 주님을 찾는 내적순례여정 -순례자의 삶-2018.1.7. 주일 주님 공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7 162
1075 주님의 ‘평생 사랑의 학인(學人)’인 우리들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2024.5.2.목요일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295-37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02 120
1074 주님의 거룩하고 영광스러운 변모 -주님의 변모는 우리의 변모이다-2019.8.6.화요일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06 268
1073 주님의 교회 가정 공동체의 소중함과 고마움 -교회 가정 공동체 예찬-2018.7.3. 화요일 성 토마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7.03 196
1072 주님의 기도 -간절懇切하고 항구恒久히 바쳐야 할 기도-2022.6.16.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6.16 165
1071 주님의 기도 -기도 역시 평생 배움의 훈련이다-2022.10.5.연중 제2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10.05 189
1070 주님의 기도 -기도가 답이다-2023.6.22.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2 329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