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8.5. 연중 제18주간 금요일                                                          나훔2,1.3;3,1-3.6-7 마태16,24-28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오늘 복음 소제목이 명쾌하여 그대로 강론 제목으로 택했습니다. 우리 믿는 이들의 삶에 대한 근원적 물음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제 졸서의 책 이름이고 수차례 강론 제목으로 삼았던 말마디입니다. 


삶이 어렵고 뒤숭숭할수록 ‘어떻게 살아야 하나?’ 삶의 의미를 찾는 사람들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나?’ 다소 막연한 질문을 구체화하는 것이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하나?’입니다. 여기에 우리 삶의 모두가 달려 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다.’ 웬지 막연합니다. ‘예수님을 따른다.’분명합니다.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님은 우리 삶의 목표, 삶의 방향, 삶의 중심, 삶의 의미입니다. 생명의 길, 구원에 이르는 길은 예수님을 따르는 길뿐이 없습니다. 


‘무엇을, 누구를 따르느냐’에 따라 삶의 꼴도 결정됩니다. 도대체 목표와 방향없이 막연히 살아가기에 삶이 답답하고 어둡고 절망스럽고 혼란스러운 것입니다. 삶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목표요 방향입니다. 문제는 오래 살고 짧게 살고가 아닌 예수님을 따라 살았느냐가 문제입니다. 아무리 오래 살아도 예수님을 따라 살지 않았다면 헛 산 것입니다. 


첫째, 예수님을 참으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사랑해야 압니다. 알기위해 공부입니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일이 바로 하느님을 사랑하는 일입니다. 그러니 예수님을 알아 가는 공부보다 더 중요한 공부는 없습니다. 말 그대로 평생 공부가 예수님 공부입니다. 


‘그 무엇도 그리스도께 사랑보다 앞세우지 마라.’ 분도 규칙에 나오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을 사랑하여 알아갈수록 예수님을 닮아 삶은 단순해지고 생명과 빛을 발하게 됩니다. 예수님을 사랑하여 예수님을 따라 사는 것이 ‘진짜’ ‘참으로’ 사는 것입니다. 모든 우상, 환상, 허상으로 해방되어 참 자유인으로 살 수 있습니다. 교회의 모든 성인들이 그 생생한 증거입니다. 


둘째, 자신을 버리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사랑하기에 자신을 버리는, 비우는 믿음의 삶이 가능합니다. 버림과 믿음은 함께 갑니다. 자기를 버려 갈수록, 비워갈수록 두터워지는 믿음입니다. ‘버리고 떠나기’가 아니라 ‘버리고 따르기’입니다. 


왜 버리는지 왜 비우는지 그 이유가 분명합니다. 주님을 사랑하기에 주님을 따라 끊임없는 자기버림, 자기비움, 자기탈출입니다. 삶은 자기버림의, 자기비움의 여정입니다. 자기를 버리면서, 비우면서 예수님을 닮아갑니다.


정녕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은 목숨을 잃을 것이고, 예수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사람은 목숨을 얻을 것입니다. 사람이 온 세상을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사람이 제 목숨을 무엇과 바꿀 수 있습니까?


자기 목숨을 잃는 사람이 바로 끊임없이 자기를 버려감으로 자기 목숨을 구하는 사람입니다. 자기를 버리고 주님을 따라 갈 때 자기실현의 구원입니다. 영적 진리는 이처럼 언제나 역설적입니다.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은 예수님 중심의 삶이 아니라 자기 중심의 삶을 사는 자입니다. 바로 파멸에 이르는 죽음의 길입니다. 


생명에 이르는 문은 좁고 죽음에 이르는 문은 넓습니다. 모든 고통을 피하고 쾌락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자기 중심적 삶은 바로 막다른 곳으로 내려가는 죽음의 길, 허무의 길입니다. 바로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삶의 말로입니다. 구원인 듯 하나 실상 파멸의 죽음입니다.


셋째, 자기 십자가를 지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가 아니라 내 십자가를 지는 것입니다. 내 십자가를 뜨겁게 사랑하는 것입니다. 사람마다 다 다른 십자가입니다. 사람마다 양상은 다르지만 나름대로 힘든 십자가입니다. 시련의 십자가일수도 있고, 병고의 십자가일 수도 있고, 죽음의 십자가일 수도 있습니다. 도대체 십자가 없는 사람은 하나도 없습니다. 받아들여야 하고 피하여 달아날 수 없는 각자의 십자가입니다. 


십자가를 지지 않고 사람이 되는 구원의 길은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렇다 하여 내 십자가를 추구할 것도 없습니다. 그것은 건강한 태도가 아닙니다. 찾지 않아도 저절로 주어지는 내 삶의 자리에 내 운명의 십자가, 내 책임의 십자가입니다.


앞서 십자가를 지고 가시는 예수님이 우리의 희망입니다. 우리를 끊임없이 위로하시고 격려하시는 예수님이십니다. 1독서의 나훔 예언자 같은 분이 바로 예수님이십니다. 나훔의 뜻은 ‘위로 받은 이’라는 뜻입니다. 


하느님의 위로를 받은 예수님은 끊임없이 우리를 위로하십니다. 하여 우리 또한 주님의 위로에 힘입어 자발적으로, 기쁘게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를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닮아 십자가를 지고 가는 이웃에 위로와 희망, 기쁨과 평화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보라, 기쁜 소식을 전하는 이, 평화를 알리는 이의 발이 산을 넘어온다.”


십자가는 짐이 아니라 선물입니다. 주님을 사랑하여 자신을 버릴 때 주님은 십자가를 지고 당신을 따를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비로소 십자가는 짐이 아닌 구원의 선물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날마다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를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3 착하고 성실한 삶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적극적인 삶-2017.11.19. 연중 제33주일(평신도 주일) 프란치스코 2017.11.19 167
1052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2017.11.18. 연중 제3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8 116
1051 무지無知의 병 -지혜가 약藥이다-2017.11.17. 금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17 106
1050 지혜를 찾아라 -하느님 나라의 실현-2017.11.16. 목요일 성녀 제르투르다 동정(1256-130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16 144
1049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는 삶 -찬양과 감사-2017.11.15. 연중 제3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5 189
1048 참된 겸손의 축복 -참 행복의 길-2017.11.14. 연중 제3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4 162
1047 순수한 마음 -“주님, 순수의 길로 저를 이끌어 주소서.”-2017.11.13. 연중 제3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3 163
1046 슬기로운 사람들 -찬미, 희망, 깨어있음, 말씀실행-2017.11.12. 연중 제32주일 프란치스코 2017.11.12 146
1045 최후의 심판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2017.11.11. 토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7-397)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11 218
1044 인생은 아름다워라(Life is beautiful)! -신속한 분별, 지체없는 회개-2017.11.10. 금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10 144
1043 성전 정화 -성체성사의 은혜-2017.11.9. 목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09 119
1042 예수님의 참 제자가 되고 싶습니까? -사랑밖엔 길이 없습니다-2017.11.8. 연중 제3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8 143
1041 하느님 나라의 현실화 -그리스도인의 생활규범 실천-2017.11.7.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7 193
1040 초월超越과 내재內在의 하느님 -오, 하느님의 풍요와 지혜와 지식의 깊이여!-2017.11.6. 연중 제3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6 117
1039 참으로 살고 싶습니까?-2017.11.5. 연중 제31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1.05 99
1038 누가 겸손한 사람인가?-겸손예찬-2017.11.4. 토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04 106
1037 우리의 우선적 영적 의무 -하느님 사랑의 찬미-2017.11.3. 연중 제3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1.03 238
1036 연옥에서 천국을 사는 사람들 -온유와 겸손-2017.11.2. 목요일 위령의 날 1 프란치스코 2017.11.02 153
1035 우리 삶의 궁극 목표 -성인이 되는 것-2017.11.1. 수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11.01 258
1034 희망이 답이다 -끝까지 잡아야 할 희망의 끈, 하느님-2017.10.31.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31 120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