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9.5. 연중 제23주간 월요일                                                                         1코린5,1-8 루카6,6-11


                                                                  사랑은 분별의 잣대

                                                              -‘법대로’가 아닌 ‘사랑따라’-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분명히 드러납니다. 오늘 복음의 주제는 ‘안식일에 손이 오그라든 사람을 고치시다.’인데, 안식일법의 잣대로 보면 분명 법에 저촉됩니다. 그러니 법대로라면 손이 오그라든 사람을 고쳐선 안 됩니다. ‘법대로’란 방식이 합리적이고 옳은 면도 있지만 무책임할 수 있습니다. 법대로하면 사람 사정을 헤아리지 않고 별 고민할 것도 없이 그대로 실행하면 되니 참 편리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접근 방식은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과는 달랐습니다. 예수님은 결코 이들처럼 법지상주의자도 근본주의자도 아니었습니다. 협량하고 옹졸한 분이 아니라 참으로 너그럽고 자비로운 분이셨습니다. 차가운 법의 눈길이 아니라 따뜻한 사랑의 눈길을 지닌 분이셨습니다.


예수님의 분별의 잣대는 법이 아니라 사랑이었습니다. 살아있는 사람의 현실이 분별의 잣대였습니다. 예전 모 대선 후보의 ‘사람이 먼저다’라는 모토도 예수님의 사고와 일치합니다. 법이전에 살아있는 사람의 현실을 고려하는 것이 사랑입니다. 


율법의 근본정신 역시 사랑이며,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예전 사막교부들 역시 금식 규정에 충실하다가도 손님이 방문하면 금식을 해제했습니다. 사랑의 용기, 사랑의 지혜입니다. 예수님은 적대자들의 반응에 상관하지 않고 지체없이 손이 오그라든 사람을 회당 한 복판에 불러 세우고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에게 단도직입적으로 묻습니다. 


“내가 너희에게 묻겠다. 안식일에 좋은 일을 하는 것이 합당하냐? 남을 해치는 일 하는 것이 합당하냐? 목숨을 구하는 것이 합당하냐? 죽이는 것이 합당하냐?”


질문에 대한 답은 너무 자명하기에, 질문 안에 이미 답이 들어있기에 이들은 대답하지 못합니다. 사랑의 잣대로 보면 너무 자명한데 이들은 안식일법의 잣대에서 결코 벗어나지 못합니다. 고착화된 관점을 바꾸는 것은 이토록 힘든 것입니다. 


이들은 골이 잔뜩 나서 예수님을 어떻게 할까 서로 의논합니다. ‘골’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은 본디 ‘비이성’을 뜻하며 ‘무의미한 분노’로 옮기기도 합니다. 바로 이들의 반응이 비이성적이자 무의미한 분노임을 뜻하는 것입니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사랑 앞에 모든 것은 상대화됩니다. 물론 법은 준수되어야 하겠지만 사랑의 잣대로 볼 때 예외적 상황도 있는 것입니다. 오늘 제1독서 코린토 1서는 ‘분별의 지혜’를 지니기 위한 방법을 알려 줍니다. 바로 우리 마음 안에 있는 악의와 사악이라는 묵은 누룩을 치워 버리는 것입니다.


“묵은 누룩을 깨끗이 치우고 새 반죽이 되십시오. 여러분은 누룩없는 빵입니다. 우리의 파스카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묵은 누룩, 곧 악의와 사악이라는 누룩이 아니라, 순결과 진실이라는 누룩없는 빵을 지니고 축제를 지냅시다.”


그대로 복음의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은 물론 미사축제에 참석한 우리들에게 주는 말씀같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축제를 통해 우리 안에 악의와 사악이라는 묵은 누룩을 깨끗이 없애주시고, 순결과 진실의 누룩없는 빵이신 당신과의 일치로, 분별의 잣대인 당신의 참 좋은 사랑과 지혜를 선사하십니다. 오늘 복음에서 손이 오그라든 사람을 고쳐주신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의 오그라든 몸과 마음을 활짝 펴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3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절망은 없다-2022.7.20.연중 제16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7.20 258
652 바다같은 가장 큰 믿음의 사람 -환대, 겸손, 관대-2022.9.26.연중 제2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9.26 258
651 참 고마운 천사들 -하느님의 심부름꾼들-2022.9.29.목요일 성 미카엘과 모든 거룩한 천사 축일 프란치스코 2022.09.29 258
650 우리가 바로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행복은 선택, 천국을 삽시다”-2022.11.10.목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10 258
649 주님은 우리의 생명이시다 -생명의 길-2016.2.11.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세계 병자의 날) 프란치스코 2016.02.11 259
648 깨어 있어라!-우리의 영원한 배경背景이신 주님-2016.3.19.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3.19 259
647 영성의 대헌장; 진복팔단 -행복은 발견이다-2016.6.6. 연중 제1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6.06 259
646 파스카의 기쁨 -모든 날이 다 좋다-2018.5.10. 부활 제6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5.10 259
645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경청敬聽과 순종順從의 사람, 동정 마리아-2019.3.25. 월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3.25 259
644 성전 정화 -은총의 강, 생명수의 강-2023.5.30.수도원 성전 봉헌 축일(2006년) 프란치스코 2023.05.30 259
643 누가 참 행복한 사람인가? -행복하여라, 하느님께 희망을 둔 사람!-2023.9.13.수요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349-40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9.13 259
642 삶은 선물인가 짐인가 -온유와 겸손-2015.12.9. 대림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12.09 260
641 “알렐루야! 주님 부활하셨습니다!”-2016.3.26. 토요일 부활 성야 프란치스코 2016.03.26 260
640 참 좋은 배경의 사람 -성 요셉-2018.3.19. 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3.19 260
639 하느님의 자녀다운 삶을 삽시다 -꿈. 공부, 찬양, 회개-2022.12.4.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22.12.04 260
638 사랑의 교회 공동체 -그리스도 예수님 중심의 공동체-2023.5.25.목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5.25 260
637 개안(開眼)의 여정 -“주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2023.6.1.목요일 성 유스티노 순교자(100-16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01 260
636 간절(懇切)하고 항구(恒久)한 기도-2015.2.26. 사순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2.26 261
635 인생 광야 순례 여정 -성령 안에서 승리와 기쁨의 여정-2016.2.14. 사순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16.02.14 261
634 가라지 악의 세력에 대한 참 좋은 처방 -행복하여라, 주님의 집에 사는 이들!-2016.7.23. 연중 제16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7.23 261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