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9.14. 수요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민수21,4ㄴ-9 요한3,13-17


                                                               바라봐야 할 유일한 대상

                                                                 -그리스도의 십자가-


바라봐야할 것이 있어야 삽니다. 제가 요셉수도원에 29년 동안 살면서 가장 많이 바라 본 것이 하늘과 불암산입니다. 눈들면 보이는 ‘언제나 그 자리’의 수도원 배경의 하늘과 산입니다. 


마침 수도형제들의 중지를 모아 만든 수도원 로고도 수도원을 배경한 하늘과 불암산이요, 제가 피정지도는 물론 만나는 이마다 ‘늘 하느님을 기억하라’고 휴대폰에 붙여 드리는 하늘과 산의 수도원 로고입니다.


“휴대폰의 하늘과 산의 로고를 볼 때 마다 ‘찬미 하느님!’ 화살 기도를 바치며 하느님을 기억하십시오. 하느님을 가리키는 ‘삶의 이정표’와 같은 로고입니다.”


휴대폰에 로고를 붙여드릴 때 마다 잊지 않고 하는 권고입니다. 이어 20년이 지난 지금도 하늘과 불암산을 바라볼 때마다 자주 외우는 ‘하늘과 산’이라는 자작 애송시가 있습니다. 


“하늘 있어/산이 좋고

산 있어/하늘이 좋다

하늘은 산에/신비를 더하고

산은 하늘에/깊이를 더한다

이런 사랑을/하고 싶다

이런 사이가/되고 싶다”


하느님과 우리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하늘과 산입니다. 때로 삶이 답답하고 막막할 때 마다, 저절로 눈들어 바라보는 하늘과 산은 저에겐 위로와 구원입니다. 늘 언제나 그 자리, 정주의 하늘과 산은 그대로 하느님 현존의 상징입니다.


“너희는 멈추고 하느님 나를 알라.”(시편46,11)


어제 새벽 산책 기도 중 멈춰 수도원 십자로 중앙의 예수부활상을 보는 순간 새삼 깨달은 시편 구절입니다. 마냥 앞만 보고 걷기만 할 것이 아니라, 때로 멈춰 하느님을 바라보는 것은, 하느님을 생각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제대로 가고 있는가 하는 삶의 방향이기 때문입니다. 하여 예수님도 외딴곳에서 밤마다 멈춰 기도하셨고, 우리 수도자들도 때 되면 멈춰 성전에서 기도를 바칩니다.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수도원을 찾는 이마다 예수 부활상 앞에 잠시 멈춰 마음에 새기는 바위판에 새겨진 위 성구입니다. “나다. 불안해하지 마라.” “나다. 걱정하지 마라.” “나다. 안심하여라.” 말마디로 바꿔 묵상해도 마음에 깊은 위로와 평화를 줍니다.


오늘 민수기의 하느님은 현명하셨습니다. 조급하여 자주 불평하며 당신과 모세에 대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바라볼 대상을 마련해 주셨기 때문입니다. 너무 잘 잊는 ‘망각의 동물’인 사람들이기에 늘 바라봐야 할 대상은 필수입니다.


“너는 불 뱀을 만들어 기둥 위에 달아 놓아라. 물린 자는 누구든지 그것을 보면 살게 될 것이다.”


기둥 위에 달린 불 뱀은 그대로 회개의 표징, 구원의 표징입니다. 불평하다 불 뱀에 물려 죽어가다 기둥 위에 달린 불 뱀을 보고 살아난 이들은 새삼 자신의 죄를 깊이 자각하며 회개하였을 것입니다. 저에겐 늘 그 자리, 정주의 ‘하늘과 불암산’이 마음에 깊은 안정과 평화를 주는 회개의 표징, 구원의 표징이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영원히 바라봐야 할 유일한 대상은 단 하나 그리스도의 십자가뿐입니다. 회개의 표징이자 구원의 표징인 파스카의 주님의 십자가 하나뿐입니다. 오늘 민수기의 기둥에 달린 불 뱀이 예표하는 것도 바로 이 구원의 십자가입니다.


“너희는 멈추고 하느님 나를 알라.”


오늘 성 십자가 현양 축일에 잘 들어 맞는 성구입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앞에 잠시 멈추어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아는 일보다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 믿는 사람은 누구나 사람의 아들 주님 안에서 영원한 생명을 얻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아래 멈춰 마음 깊이 묵상해야 할 오늘 복음 말씀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하느님께서 아들을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 아들을 통하여 구원을 받게 하시려는 것이다.”


영원한 구원의 표징은, 영원한 회개의 표징은 하느님의 영원한 사랑의 표현인 그리스도의 십자가뿐입니다. 주님은 죽으심으로써 우리의 죽음을 파멸하셨고 부활하심으로써 우리의 생명을 회복해 주셨으며, 이의 영원한 사랑의 표지가 바로 그리스도의 십자가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잠시 멈춰 당신을 모시는 우리 모두에게 한량없는 위로와 평화를 선사하십니다.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8 사람을 찾는 하느님 -환대의 사랑, 환대의 믿음-2023.7.1.연중 제1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7.01 334
1107 사람을 깨끗하고 거룩하게 히는 것 -사랑의 찬미와 감사의 기도와 삶-2019.2.13.연중 제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2.13 119
1106 사람은 무엇인가? -하느님의 모상, 하느님의 자녀-2019.7.25.목요일 성 야고보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7.25 200
1105 사람은 꽃이다 - 삶의 향기-2015.3.30. 성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3.30 408
1104 사람은 귀하고, 외롭고, 약하다-2015.10.4. 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 프란치스코 2015.10.04 303
1103 사도들의 사도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2017.7.22. 토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1 프란치스코 2017.07.22 497
1102 사도들의 사도 -마리아 막달레나-2016.7.22. 금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프란치스코 2016.07.22 439
1101 빛의 자녀답게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2017.3.26. 사순 제4주일 사무상16,1ㄱㄹㅁㅂ.6-7.10-13ㄴ 에페5,8-14 요한9,1-41 프란치스코 2017.03.26 182
1100 빛의 순례- 2015.2.4. 연중 제4주간 수요일(뉴튼수도원 86일째) 프란치스코 2015.02.04 294
1099 빛의 사람들 -구원은 은총이자 선택이다-2017.5.10. 부활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0 120
1098 빛속에서 친교親交를 나누는 삶 -무지無知의 악惡을 몰아내는 주님의 빛-2016.12.28. 수요일 죄 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16.12.28 174
1097 빛속에서 살아가십시오-2015.12.28. 월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15.12.28 313
1096 빛과 어둠의 싸움 -주님의 전사(戰士)-2015.4.15. 부활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4.15 422
1095 빛과 어둠의 싸움 -“회개하라! 기억하라! 잊지마라! 역사는 반복된다!”-2022.12.28.수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22.12.28 203
1094 빛 속의 정주(定住) 생활 -사랑의 계명 준수-2022.12.29.목요일 성탄 팔일 축제 제5일 프란치스코 2022.12.29 202
1093 빛 속에서의 삶 -끊임없는 회개가 답이다-2019.12.28.토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2.28 157
1092 빈틈과 제자리-2015.9.21. 월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15.09.21 250
1091 빈자貧者의 영성 -도반道伴과 기쁨-2016.5.31. 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 프란치스코 2016.05.31 372
1090 빈자(貧者;아나뷤anawim)의 영성 -시의 힘, 노래의 힘-2022.12.22.목요일 12월22일 프란치스코 2022.12.22 213
1089 비폭력적 사랑의 저항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2016.6.13. 월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6.13 210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