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9.23. 금요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코헬렛3,1-11 루카9,18-22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때를 아는 지혜, 때를 기다리는 믿음, 때를 받아들이는 겸손-


코헬렛은 신심깊은 가난한 자가 아닌 배부른 학자나 부자가 보아야 할 글입니다. 이들의 회개를 촉구하는 글입니다. 하느님 향한 신망애의 삶이, 기도가 빠졌을 때 코헬렛처럼 골수에 파고드는 허무라는 영혼의 질병입니다. 진정 하느님을 사랑하여 찬미의 감사의 삶을 사는 이에게는 이런 허무에 대한 사변은 애당초 불가능합니다.


모든 것에는 때가 있습니다. 어제 코헬렛은 허무로 시작해서 허무로 끝났는데 오늘은 때로 시작해서 때로 끝납니다. 아무도 이 때로부터 벗어나지 못합니다. 바로 때를 아는 것이 지혜요, 때를 기다리는 것이 믿음이요, 때를 받아들이는 것이 겸손임을 깨닫습니다. 또 때에 맞게 처신할 때 아름답습니다. 알고보면 모두가 하느님 은혜의 때요 하느님 선물의 때입니다.


“하늘 아래 모든 것은 시기가 있고,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태어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긴 것을 뽑을 때가 있다. 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할 때가 있고 기뻐할 뛸 때가 있다. 사랑할 때가 있고 미워할 때가 있으며, 전쟁의 때가 있고 평화의 때가 있다.”


마치 음악을 감상하는 기분입니다. 오늘 말씀 중 일부를 예로 들었습니다만 생각나는 대로 예를 들기로 하면, ‘건강할 때가 있으면 병들 때도 있고, 젊음의 때가 있으면 노년의 때도 있고, 만날 때가 있으면 떠날 때가 있고, 자리에 오를 때가 있으면 자리에서 내려올 때가 있다.’ 등 무궁무진합니다. 봄의 꽃필 때가 있으면 가을의 열매 익어가는 때가 있어, 요즘은 배열매 수확에 분주한 수도원의 풍경입니다.


삶의 리듬은 때의 리듬이요 이 리듬따라 살아가는 우리들입니다. 그러니 일희일비, 때에 휘둘릴 것이 아니라 때의 리듬 따라 충실히, 마치 파도타기하듯 살아가는 것이 지혜롭고 자유로운 삶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온갖 때를 길게 예로 든 코헬렛의 결론입니다.


“그분께서는 모든 것을 제때에 아름답도록 만드셨다. 또한 그들 마음속에 시간 의식도 심어 주셨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시작에서 종말까지 하시는 일을 인간은 깨닫지 못한다.”


오늘 여기 지금이 바로 살아야 할 제때입니다. 그러니 하느님을 사랑하고 찬미하며 제때에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 살아갈 때 아름답고 행복한 삶입니다. 코헬렛에 결정적으로 빠진 것이 바로 이런 하느님 찬미의 삶입니다. 


너무 사변에 치우치다보니 인격적 하느님을 잊었고, 살아계신 주님과의 만남이 없었습니다. 한마디로 하느님 찬미와 감사의 삶이 없었습니다. 살아계신 하느님을 믿고 희망하며 사랑하는 신망애信望愛의 삶이 통째로 빠져 있습니다. 살아계신 주님을 만나지 못하면 누구나 저절로 허무주의자, 회의주의자가 될 수뿐이 없습니다.


“나의 반석 주님은 찬미받으소서.”


화답송 후렴처럼 찬미의 고백이 코헬렛엔 없습니다. 결정적으로 코헬렛에 결핍된 것이 기도입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이 코헬렛에 대한 정답입니다. 코헬렛 주석의 마지막 일부를 소개합니다.


-코헬렛은 하느님에 대한 신뢰를 알지 못한다. 하느님에 대한 신뢰의 상실은 인간 자신을 포함한 모든 것에 대한 신뢰의 상실을 의미한다. 결국 결론은 “허무로다. 허무! 모든 것이 허무로다!”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코헬렛은 절대적인 것에 대한 향수를 품는다. 그는 자신의 전 존재를 투신하면서, 전통적 신앙이 거의 ‘학문적으로만’ 열어 둔 채 방치해 놓은 심연을 드러낸다. 오직 그리스도의 오심만이 그것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오늘 복음의 그리스도 예수님이 허무에 대한 유일한 처방임을 말합니다. 주님과 함께 할 때 ‘허무의 심연’은 ‘사랑의 충만’이 되며 여기서 끊임없이 샘솟는 찬미와 감사의 기도입니다. 


때를 아는 지혜와 때를 기다리는 믿음에, 때를 받아들이는 겸손에 살아계신 하느님과 사랑의 소통인 기도보다 더 좋은 수행은 없습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이 그 좋은 본보기입니다. 기도를 통해 질문의 때를 깨달은 예수님의 제자들을 향한 질문입니다.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하느님의 그리스도이십니다.”


베드로의 대답에 이어 즉시 이어지는 주님의 첫 번 째 수난예고입니다. 예수님은 기도를 통해 자신의 고난과 배척, 죽음과 부활의 때를 분명히 깨달았을 것이며, 제자들에게 지금이 바로 제자들에게 말해야 할 때임을 깨달았음이 분명합니다. 


하느님의 때와 하느님의 뜻이 늘 일치되었던 예수님의 삶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모든 하느님의 때에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며 살 수 있는 분별의 지혜를 주십니다.


“주님, 사람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보살피시나이까? 인간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헤아리시나이까? 사람이란 한낱 숨결같은 것, 그 세월은 지나가는 그림자 같사옵니다.”(시편144,3-4).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69 수행의 궁극목표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 둥글게 사는 것-2018.2.26. 사순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6 330
3168 희년(禧年)의 영성 -인간의 해방, 경제적 해방, 생태적 해방-2023.8.5.연중 제1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05 329
3167 주님의 기도 -기도가 답이다-2023.6.22.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2 329
3166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 중심의 삶과 기도, 그리고 지혜와 사랑-2022.9.18.연중 제25주일 프란치스코 2022.09.18 329
3165 비움의 훈련, 비움의 여정 -“축제인생을 삽시다! 고해인생이 아닌”-2022.9.15.목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15 329
3164 너는 나다-2015.12.18. 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2.18 329
3163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2015.4.7. 부활 팔일 축제 내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4.07 329
3162 새 하늘과 새 땅 -꿈꾸는 사람, 춤추는 사람-2015.3.16. 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3.16 328
3161 사부 성 베네딕도 예찬 -유럽의 수호자,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2023.7.11.화요일 유럽의 수호자 사부 성 베네딕도 아빠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7.11 327
3160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2015.6.29. 월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6.29 327
3159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삶을, 자연을 ‘렉시오 디비나(성독聖讀)’하기-2022.9.23.금요일 피에트니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23 326
3158 주님과 만남의 여정 -“평생, 하루하루, 날마다, 오늘 지금 여기서”2022.9.12.연중 제2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9.12 326
3157 성령 충만한 하늘 나라 공동체 -성령聖靈과 악령惡靈-2016.10.7. 금요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07 326
3156 참된 삶, 영원한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23.7.15.토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7.15 325
3155 영적승리 -하느님 중심의 삶-2022.10.7.금요일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07 325
3154 2017.3.18. 사순 제3주간 토요일-정두균 바오로와 유병은 율리안나의 혼인미사-참 좋은 사랑의 선물 프란치스코 2017.03.18 325
3153 성령의 선물-2016.5.15. 주일 성령 강림 대축일 (스승의 날, 가정의 날) 프란치스코 2016.05.15 325
3152 늘 하느님을, 하늘 나라를 꿈꾸십시오 -꿈은 이뤄집니다-2023.7.12.연중 제1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7.12 324
3151 민족의 화해와 일치 -평화공존-2023.6.25.주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프란치스코 2023.06.25 324
3150 영원한 삶 -주님을 섬기고 나누며 따르는 삶-2023.8.10.목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25-258) 축일 프란치스코 2023.08.10 32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