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10.31. 연중 제31주간 월요일                                                                             필리2,1-4 루카14,12-14


                                                                    그리스도 중심의 삶


요즘 국기문란, 국정농단 사건으로 인해 시국이 매우 엄중하고 긴박하게 돌아갑니다. 마침 오늘은 10월 묵주기도의 성월, 끝날이고, 내일 부터는 11월 위령성월의 첫날로 말 그대로 깨어 기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문득 인도의 성자 간디가 말한 일곱가지 사회악이 생각납니다.


-1.원칙없는 정치, 2.노동없는 부, 3.양심없는 향락, 4.인격없는 지식, 5.도덕성없는 상업, 6.인간성없는 과학, 7.희생없는 종교-


그대로 오늘의 현실에도 적용되는, 우리의 회개를 촉구하는 만고불변의 진리입니다. 예전 어느 신부님의 ‘첫 단추를 잘못끼면 아무리 끼워도 헛수고다.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첫 단추부터 다시 끼워야 한다. 한 번 거짓말하게 되면 계속 거짓말하게 된다.’는 참된 회개를 촉구하는 평범한 말씀도 생각납니다. 


그분은 또 거짓 회개를 우의雨衣를 입고 샤워하는 것에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이들이 우의를 벗고 진짜 때를 벗기는 회개의 샤워를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첫 단추부터 다시 끼우는 것이, 늘 새롭게 정직하게 시작하는 것이 바로 회개입니다. 정직이 얼마나 중요한 품성인지 깨닫습니다. 간디는 ‘I was wrong(내가 잘못했다)’의 명수였다라는 글귀가 지금도 생각납니다. 자기의 잘못을 즉시 인정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회개의 삶입니다.


이 모두는 ‘그리스도 중심의 삶’으로 수렴됩니다. ‘나 중심의 삶’이 아닌 '그리스도 중심의 삶'입니다. 부단히 그리스도 중심에 내 삶을 비춰보는 끊임없는 회개의 삶입니다. 오늘 말씀도 그리스도의 중심의 삶의 관점에서 보면 그 의미가 환히 들어납니다. 제1독서 바오로 사도의 말씀입니다.


“무슨 일이든 이기심이나 허영심으로 하지 마십시오. 오히려 겸손한 마음으로 서로 남을 자기보다 낫게 여기십시오. 저마다 자기 것만 돌보지 말고 남의 것도 돌보아 주어야 합니다.”


이래야 공동체가 평화롭습니다. ‘나 중심의 공동체 삶’이 아니라 ‘그리스도 중심의 공동체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바로 공동체의 중심에 온유와 겸손, 사랑과 정의, 기쁨과 평화, 섬김과 나눔의 그리스도께서 현존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회개란 ‘나 중심의 삶’에서 ‘그리스도 중심의 삶’으로의 끊임없는 전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바치는 시편성무일도와 미사의 공동전례기도시간 역시 끊임없이 ‘그리스도 중심의 삶’을 확인해 주는 은총의 회개 시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 중심의 삶이란 끊임없는 회개의 삶이자 끊임없이 자기를 비우는 삶입니다. 그리스도를 중심에 모시기에 가능한 삶입니다. 끊임없이 자신을 비울 때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텅 빈 충만한 삶입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 말씀은 하느님의 타산打算없는 일방적 사랑의 본보기같습니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의 끼리끼리 주고 받는 울타리 사랑안에서 과감히 벗어나 없는 이들에게 무상無償의 사랑을 쏟으라는 것입니다. 말그대로는 아니더라도 이런 사랑의 정신으로 살라는 것입니다. 그대로 하느님 사랑을 본받는 일입니다.


“네가 잔치를 베풀 때에는 오히려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여라. 그들이 너에게 보답할 수 없기 때문에 너는 행복할 것이다. 의인들이 부활할 때에 네가 보답을 받을 것이다.”


그리스도 중심의 삶의 절정을 보여주는 사랑의 실천입니다. 보답할 수 있는 사람들이 아닌 보답할 수 없는 사람들을 적극 배려하고 도우라는 말씀입니다. 그대로 하느님을 돕는 일이요 무사無私하고 순수한 사랑입니다. 사실 우리는 하느님으로부터 알게 모르게 얼마나 많은 사랑을 무상으로 받고 살아가는지요.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잔치를 통해 우리 영적 장애인들을, 영적 다리저는 이들을, 영적 눈먼 이들을 초대하여 당신 무상의 사랑으로 배불리시고 치유해 주시며, 우리 모두 그리스도 중심의 삶을 살게 해 주십니다.


“주님께는 자애가 있고 풍요로운 구원이 있네.”(시편130,7).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89 평생공부 -참 사람眞人이 되는 공부-2018.6.18. 연중 제1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18 127
2788 하느님 섭리의 발자취 -내 삶의 성경책-2017.7.31. 월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7.31 127
2787 참사람이, 성인이 되고 싶습니까? -끊임없는 회개-2017.10.1. 연중 제26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0.01 127
2786 아름답다! ‘빈 손’, ‘빈 마음’이여! -빈 마음에서 샘솟는 하느님 찬미-2017.12.22. 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2 127
2785 삶의 조각彫刻 -기쁨의 원천原泉-2018.2.20. 사순 제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0 127
2784 회개悔改가 답答이다 -부패腐敗인생이 아닌 발효醱酵인생을 삽시다-2018.2.21. 사순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1 127
2783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순교적 삶-2018.9.20. 목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2-1846)와 성 정하상 바오로(1795-1839)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27
2782 살아 있는 교회 -예수님 중심의 교회-2019.1.18. 연중 제1주간 금요일(일치주간) 1 프란치스코 2019.01.18 127
2781 거룩한 사람이 되는 것 -평생과제-2019.3.11.사순 제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11 127
2780 주 예수 그리스도님을 사랑합시다 -분별의 잣대는 예수님-2019.9.6.연중 제2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6 127
2779 주님과 만남의 여정旅程 -경청傾聽, 회개悔改, 연민憐愍, 진실眞實, 겸손謙遜-2020.3.10.사순 제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10 127
2778 하느님 중심의 삶 -영광과 자유-2020.4.7.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7 127
2777 ‘더불어(together)’, 구원의 여정 -“우리는 ‘섬島’도 아니고, ‘경주競走’중에 있지도 아니하다”-2020.4.12.주일 부활 대축일 낮미사 1 프란치스코 2020.04.12 127
2776 두려워하지 마라 -늘 우리와 함께 계신 주님-2020.10.16.연중 제28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16 127
2775 평생 사랑 공부 -1.하느님 사랑, 2.나 사랑, 3.이웃 사랑, 4.자연 사랑-2020.10.25.연중 제30주일 1 프란치스코 2020.10.25 127
2774 묵묵히, 충실히, 간절히, 깨어, 한결같이 -진인사대천명의 삶-2021.1.27.연중 제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1.27 127
2773 날로 깊어지는 주님 향한 신망애信望愛의 삶 -한결같은, 시종여일始終如一의 삶-2021.1.28.목요일 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1.28 127
2772 하느님 중심의 삶을 삽시다 -회개, 겸손, 기쁨-2021.2.17.재의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17 127
2771 예수님은 봄이다 -십자가의 예수님을 바라 봅시다-2021.3.23.사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3.23 127
2770 예수님은 부활하셨습니다 -파스카의 삶-2021.4.5.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05 127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