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9. 월요일 주님 세례 축일                                                                               이사42,1-4.6-7 마태3,13-17



예수님은 어떤 분이신가?

-하느님의 의로움만 찾고 살았던 분-



어제의 주님 공현 대축일에 이어 오늘은 주님 세례 축일입니다. 역시 주님의 진면목이 잘 드러나는 오늘의 세례 축일입니다. 바야흐로 내일부터는 예수님의 공생애가 펼쳐지는 연중시기의 시작입니다. ‘예수님은 어떤 분이신가?’ 오늘 강론의 주제입니다. 


예수님은 평생 하느님의 의로움만 찾고 살았던 분이셨습니다. 의로움은 바로 하느님의 뜻에 대한 새롭고 근본적인 충실성입니다. 전적으로 하느님 중심의 삶을 뜻합니다. 예수님의 우선적 관심사는 하느님의 의로움이셨습니다. 매사 분별의 잣대는 의로움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산상설교 중에도 ‘너희는 먼저 하느님의 나라와 그분의 의로움을 찾아라.’라고 말씀하시며 하느님의 의로움을 강조하셨습니다. 참 행복 선언 중 한 대목도 생각납니다.


“행복하여라,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 그들은 흡족해질 것이다.”(마태5,6).


또 이어지는 제자들의 의로운 삶에 대한 강조입니다. 의로움은 예수님의 영원한 화두였음을 봅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마태5,20).


이 의로움에 대한 주석입니다. ‘이 의로움은 이 세상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정의만도 아니다. 그것은 나날이 완성을 향하여 나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나오는 행위의 의로움일 것이다. 이것은 또한 인간 정의正義의 근원이다.’


오늘 1독서의 ‘주님은 내가 의로움으로 너를 부르고, 네 손을 붙잡아 주었다.’ 라는 말씀도 흡사 주님의 종 예수님에 대한 말씀처럼 들립니다. 예수님은 당신의 세례 요구를 극구 사양하는 요한에게 한 말씀으로 정리해 주십니다.


“지금은 이대로 하십시오. 우리는 이렇게 해서 마땅히 모든 의로움을 이루어야 합니다.”


바로 이런 하느님의 의로움에 대한 깊은 자각에서 예수님의 자기 비움의 겸손과 자비, 가난한 이들과의 연대가 시작되었음을 봅니다. 오늘 이사야서에 소개되는 주님의 종은 그대로 의로운 예수님을 지칭하는 듯 합니다. 


“내가 그에게 나의 영을 주었으니, 그는 민족들에게 공정을 펴리라. 그는 외치지도 않고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으며, 그 소리가 거리에서 들리게 하지도 않으리라. 그는 부러진 갈대를 꺽지 않고, 꺼져가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라. 그는 성실하게 공정을 펴리라.”


반복되는 ‘공정을 펴리라’라는 말마디입니다. 그대로 주님의 종인 예수님의 겸손하고 자비로운 모습입니다. 바로 이런 삶을 통해 실현되는 하느님의 의로움입니다. 하느님의 의로운 종의 모습은 다음 구절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내가 너를 빚어 민족들의 빛이 되게 하였으니, 보지 못하는 눈을 뜨게 하고, 갇힌 이들을 감옥에서, 어둠 속에 있는 앉아 있는 이들을 감방에서 풀어 주기 위함이다.”


그대로 예수님의 공생애를 요약하는 말씀입니다. 이런 의로움에 대한 깊은 자각에서 연유된 예수님의 자발적 세례임을 깨닫습니다. 이런 예수님에 대해 감격하신 하느님의 응답이 세례를 받으시고 물에서 올라 오실 때 펼쳐지는 아름다운 장면입니다.


“그때 그분께 하늘이 열렸다.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영이 비둘기처럼 당신 위로 내려 오시는 것을 보셨다.”


참 아름다운 한 폭의 그림같습니다. 마침내 하늘이 열리고 하느님의 영이 당신 위에 머무심으로 하느님의 의로움은 예수님을 통해 완전히 실현되게 되었습니다. 이어 하늘에서 들려오는 하느님의 음성입니다.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이 말씀 체험이 예수님을 평생 하느님의 의로움을 실천하며 ‘사랑받는 아드님 답게’ 살게 한 원동력이 되었음을 봅니다. 


예수님의 세례를 통해 새삼 우리의 세례를 상기하게 됩니다. 하느님은 우리를 통해서도 당신의 의로움이 실현되기를 바라십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의 성령을 선사하시어 우리 모두 당신의 의로운 사람으로 살게 하십니다. 아침 성무일도 즈가리야의 노래 아름다운 후렴으로 강론을 마칩니다.


“그리스도 세례를 받으심으로 온 세상이 성화되었으니, 그분은 우리 죄를 사해 주시어, 물과 성령으로 우리 모두 깨끗하여 졌도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9 찬양과 감사의 삶 -참행복-2022.10.15.토요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15 205
2848 사랑의 주님과 일치의 여정 -“두려워하지 마라”-2022.10.14.연중 제2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10.14 199
2847 사랑의 찬미, 찬미의 기쁨, 찬미의 훈련 -희망(꿈), 열정, 찬미-2022.10.13.연중 제28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10.13 197
2846 행복하여라, 성령으로 사는 사람들! -성령만이 무지에 대한 답이다-2022.10.12.연중 제28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10.12 209
2845 자유의 여정 -하느님 중심의 삶-2022.10.11.연중 제2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10.11 213
2844 회개의 표징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2.10.10.연중 제28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10.10 186
2843 치유의 여정 -겸손과 순종, 만남과 치유, 감사와 찬양-2022.10.9.연중 제28주일 프란치스코 2022.10.09 213
2842 참행복의 발견과 선택 -말씀의 경청, 실천, 믿음-2022.10.8.연중 제2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10.08 193
2841 영적승리 -하느님 중심의 삶-2022.10.7.금요일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07 325
2840 항구하고 간절한 기도와 삶 -“청하여라, 찾아라, 두드려라”-2022.10.6.목요일 성 브루노 사제 은수자(1030-110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06 229
2839 주님의 기도 -기도 역시 평생 배움의 훈련이다-2022.10.5.연중 제2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10.05 189
2838 회심의 여정 -무지에 대한 답은 회심뿐이다-2022.10.4.화요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2-122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04 266
2837 사랑의 여정, 사랑의 훈련, 사랑의 전사 -사랑밖엔 길이 없다-2022.10.3.연중 제27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10.03 227
2836 믿음의 여정, 믿음의 훈련, 믿음의 전사 -인내, 격려, 겸손-2022.10.2.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 프란치스코 2022.10.02 190
2835 해피 엔딩 -결국은 잘 될 것입니다-2022.10.1.토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01 193
2834 회개의 생활화 -하느님 공부;기도와 말씀-2022.9.30.금요일 성 예로니모 사제 학자(340-42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30 210
2833 참 고마운 천사들 -하느님의 심부름꾼들-2022.9.29.목요일 성 미카엘과 모든 거룩한 천사 축일 프란치스코 2022.09.29 258
2832 믿음의 시험 -예수님을 따르려면-2022.9.28.연중 제26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9.28 205
2831 영적 승리의 삶 -우리는 “주님의 전사들”입니다-2022.9.27.화요일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1581-166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27 192
2830 바다같은 가장 큰 믿음의 사람 -환대, 겸손, 관대-2022.9.26.연중 제2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9.26 258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