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16. 연중 제2주간 월요일                                                                                히브5,1-10 마르2,18-22




                                                            삶은 고해苦海가 아니라 축제祝祭이다

                                                                         -분별의 지혜-



단식은 예로부터 자선과 기도와 더불어 전통적 수행이었습니다. 유다교인들은 일년에 한 번 속죄의 날에 의무적으로 단식하였고, 세례자 요한의 제자들은 스승의 고행을 본받아 자주 단식하였던 듯 합니다. 바리사이들은 매주 두 번 월요일과 목요일에 단식하였으나, 예수님의 제자들은 ‘먹보요 술꾼’으로 통한 스승의 영향으로 예수 생전에는 속죄의 날을 제외하고는 단식하지 않았습니다.


오늘 복음은 수행의 근본적 취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모든 수행자체가 절대적 가치를 지니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수행은 사랑의 표현일 뿐입니다. 단식의 수행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단식의 때를 알라는 것입니다. 수행자체에 매일 것이 아니라 사랑의 잣대로 분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단식에 대해 묻는 이들에게 한 말씀으로 정리해 주십니다.


“혼인잔치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는 동안에 단식할 수야 없지 않으냐? 신랑이 함께 있는 동안에는 단식할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이 신랑을 빼앗길 날이 올 것이다. 그때에는 그들도 단식할 것이다.”


혼인잔치는 종말론적 구원을 상징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시대야 말로 혼인잔치가 벌어지는 구원의 때로 정의하시며 단식의 때가 아님을 알려 주십니다. 여기까지가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후반부는 초대교회 관행의 반영입니다. 


교회시대 단식의 동기는 신랑이 떠나 혼인 잔치가 끝났기 때문에, 즉 예수님께서 죽으심으로 흥이 깨졌기 때문에 단식해야 한다는 취지가 위 말씀안에 담겨져 있습니다. 사실 1세기 교회는 단식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아마 예수님이 운명하신 금요일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1세기 말에는 수요일과 금요일에 단식했음을 디다케 문헌은 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의 우리는 어떻게 단식해야 하겠습니까? 분별의 지혜를 발휘하는 것입니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하루하루 주님과 함께 혼인잔치 같은 축제의 삶을 사는 것입니다. 하여 매일미사의 수행입니다. 고해인생을 축제인생으로 만들어 주는 미사은총입니다. 하루하루 주신 하느님의 선물의 날에 찬미와 감사를 드리며 기쁨의 축제같은 삶을 사는 것, 바로 이것이 분별의 지혜입니다. 


교회는 특별히 매주 금요일은 금육을 권하며 재의 수요일과 주님 수난 성금요일은 금육과 더불어 아침은 단식을 지킬 것을 권합니다. 바로 이날이 단식의 때로 가능한 한 준수하는 것입니다. 이밖에도 본인의 자발적 회개나 사랑의 동기로 단식할 수는 있겠지만 철저히 숨겨져 있는, 그러나 어려운 이웃과 내적으로 연대하는 겸손한 사랑의 단식이어야 합니다. 무겁고 어둔 단식이 아니라, 참으로 가볍고 밝은, 자유롭게 하는 단식이어야 합니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바로 이 말씀이 분별의 지혜를 대변합니다. 새 포도주의 은총을 담기에 적합한 늘 새 부대의 마음과 정신으로 사는 것입니다. 전통을 늘 오늘의 현실에 새롭게 비춰보며 적용해 사는 것입니다. 새 포도주를 헌 부대에 담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끊임없는 사고의 전환, 발상의 전환을 촉구하는 말씀입니다. 바로 이것이 축제의 삶을 사는 비결입니다. 


삶은 고해가 아니라 축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제의 삶을 사는 것입니다. 찬미와 감사, 기쁨과 평화의 축제입니다. 바로 오늘 히브리서의 대사제 예수님의 마음이 바로 분별의 잣대입니다. 누구보다 우리의 마음을 속속드리 이해하시고 공감하시며 늘 우리와 함께 하시는 대사제 예수님이십니다. 다음 말씀이 우리에겐 큰 위로와 격려가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아드님이시지만 고난을 겪으심으로써 순종을 배우셨습니다. 그리고 완전하게 되신 뒤에는 당신께 순종하는 모든 이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셨으며, 하느님에게서 멜키체덱과 같은 대사제로 임명되셨습니다.”


바로 여기서 기원하는 대사제 예수님의 온유와 겸손의 예수성심이요 이런 예수성심의 사랑이 분별의 잣대입니다. 우리 고난의 정체 역시 환히 밝혀 집니다. 우리 삶은 이런저런 무수한 고난과 시련을 통해 순종을 배워가는 ‘순종의 학교’라는 것입니다. 끊임없는 순종 수행을 통한 내적 성장과 성숙으로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신 주님께 이르고 우리의 분별의 지혜 역시 더욱 깊어질 것입니다.


우리의 영원한 대사제이신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분별의 지혜를 선사하시면 축제인생을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8 어떻게 살 것인가? -예수님 수난기로부터 배우는 가르침-2022.4.10. 주님 수난 성지 주일 미사 프란치스코 2022.04.10 248
787 우리는 주님의 종이다 -사랑의 관상가-2022.4.11.성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1 166
786 나는 누구인가? -삶은 선물膳物이자 과제課題이다-2022.4.12.성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2 213
785 삶의 중심 -영원한 도반, 주님과의 관계-2022.4.13.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3 179
784 파스카 예수님의 참 좋은 선물 -성체성사와 섬김의 사랑- 탈출12,1-8.11-14 1코린11,23-26 요한13,1-15 프란치스코 2022.04.14 208
783 예수님의 임종어臨終語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 “목마르다”, “다 이루어졌다”-2022.4.15.주님 수난 성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5 184
782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예수님,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2022.4.16.주님 부활 대축일 파스카 성야 미사 프란치스코 2022.04.16 311
781 파스카의 예수 그리스도님 -“사랑하라, 선포하라, 추구하라”-2022.4.17.주님 부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2.04.17 190
780 주님 부활 증인의 삶 -체험, 선포, 공부-2022.4.18.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8 163
779 내적혁명 -부활하신 파스카 주님과의 만남-2022.4.19.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9 164
778 참 좋은 구원의 선물 -부활하신 예수님과의 만남-2022.4.20.부활 팔일 축제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0 158
777 주님 부활 증인의 삶 -회개, 평화, 기쁨-2022.4.21.부활 팔일 축제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1 171
776 부활하신 파스카 주님과의 만남 -구원의 삶-2022.4.22.부활 팔일 축제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2 168
775 복음 선포의 삶 -경청敬聽, 순종順從, 선포宣布-2022.4.23.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3 181
774 자비의 여정 -하느님을 닮읍시다-2022.4.24.부활 제2주일(하느님의 자비주일) 프란치스코 2022.04.24 252
773 복음 선포의 사명 -안으로는 관상의 제자, 밖으로는 활동의 사도-2022.4.25.월요일 성 마르코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22.04.25 237
772 부활하신 파스카 주님 중심의 공동체 건설 -성령의 은총, 형제들의 노력-2022.4.26.부활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6 230
771 구원은 선택의 은총이다 -빛, 생명, 진리이신 주님을 선택하십시오-2022.4.27.부활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7 232
770 예닮의 여정 -참나의 삶; 사랑과 순종-2022.4.28.부활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8 185
769 분별력의 지혜 -모든 덕행의 어머니-2022.4.29.금요일 시에나의 가타리나 동정 학자(1347-138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4.29 179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