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21. 토요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히브9,2-3.11-14 마르3,20-21



미쳐야(狂) 미친다(及)

-제대로 미치면 성인(聖人), 잘못 미치면 폐인(廢人)-



아마 오늘 복음은 가장 짧은 복음에 속할 것입니다. 단 두절입니다. 오늘의 강론 역시 짧습니다. 이 복음을 묵상할 때 마다 늘 한눈에 와닿는 대목은 마지막 절, ‘그들은 예수님께서 미쳤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입니다. 


‘미쳐야 미친다.’ 오늘 강론 제목입니다.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합니다. ‘제대로 미치면 성인, 잘못 미치면 폐인’, 아주 예전에 인용했던 구절도 생각이 납니다. 옛 초등학교 교사 시절 선배 교사들의 충고와 답변도 생각납니다.


“이 선생, 쉽게 살아. 왜 그렇게 힘들게 사나?”

“저에겐 이렇게 사는 것이 쉽습니다.”


철저히 원칙대로 살려는 열정을 빗댄 충고에 솔직한 제 답변입니다. 미쳐야 미칩니다. 바로 성인들이나 각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분들이 이를 입증합니다. 이의 가장 좋은 본보기가 오늘 복음의 예수님입니다. 


바로 이에 대한 반응이 예수님의 친척들은 물론이고 예루살렘에서 내려온 율법학자들입니다. 율법학자들은 예수님이 베엘제불에게 사로잡혔다느니 또는 마귀 두목의 힘을 빌어 마귀를 쫓아낸다느니 하고 떠들어 댑니다(마르3,22). 정상인들의 시각에는 정말 예수님의 행태는 이해하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어찌 예수님뿐이겠습니까? 보통 사람들의 생각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모든 것을 다 버리고 예수님을 따른 제자들과 그 후예들인 수도자들 역시 정상인들의 시각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미친 행위처럼 보일 것입니다. 


제대로 미치면 성인이고 잘못 미치면 폐인입니다. 하여 세상에는 성인들도 많고 폐인들도 많습니다. 끊임없는 열정과 회개로 새로움을 추구하는 제대로 미친 거룩한 사람들입니다. 제대로 미친 사람들에게 발견되는 순수와 열정이요 이들을 통해 우리는 신선한 자극을 받습니다. 


하여 제대로 미친 사람들 때문에 세상은 끊임없이 조금씩 진보한다 믿습니다. 하느님께 희망과 기쁨을 둔 제대로 미친 사람들, 이들의 고독과 외로움, 내외적 고통과 시련은 얼마나 크겠는지요? 하느님만이 아실 것입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의 은총이 우리를 제대로 미친 거룩한 사람으로 변모시켜 줍니다. 나태와 타성에서 벗어나 초발심의 자세로 끊임없이 하느님을 찾게 합니다. 오늘 제1독서 히브리서의 고백이 참 고맙습니다.


“하물며 영원한 영을 통하여 흠없는 당신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신 그리스도의 피는 우리의 양심을 죽음의 행실에서 얼마나 더 깨끗하게 하여 살아 계신 하느님을 섬기게 할 수 있겠습니까?”(히브9,14).


바로 이 거룩한 성체성사의 은총을 상징합니다. 우리의 영원한 새계약의 중개자이시며 대사제이신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깨끗한 양심으로 살아 계신 하느님을 섬기며 제대도 미친 성인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오늘 성녀 아녜스 기념일의 아침성무일도 즈카르야 노래 후렴과 저녁성무일도 마리아의 노래 후렴이 참 아름답습니다. 주님께 제대로 미친 성녀 아녜스의 두가지 고백으로 강론을 마칩니다.


“보라, 나는 내가 갈망하는 것을 보았고, 희망하는 것을 얻었으며, 지상에서 온 마음으로 사랑한 분을 만났도다.”

“성녀 아녜스는 둘 팔을 벌리고 기도하였도다. 내가 사랑하고 찾으며 갈망하던 아버지 당신께 가나이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89 하느님의 선물-끊임없이 복을 내려 주시는 하느님-2016.12.19. 대림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2.19 136
888 그리스도 우리의 평화 -우리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지니고 있습니다-2016.8.30. 연중 제2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8.30 136
887 삶의 중심과 질서 -기도와 일-2024.1.10.연중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1.10 135
886 하늘에 보물을 쌓는 시(詩)같은 인생 -기뻐하십시오, 감사하십시오, 겸손하십시오-2023.12.17. 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23.12.17 135
885 기도와 믿음 -믿음의 치유와 구원-2022.1.7.주님 공현 대축일 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07 135
884 하늘 나라의 삶 -주님의 종이 되어 어린이처럼 사십시오-2021.8.14.토요일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1894-194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8.14 135
883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오늘 지금 여기가 구원의 꽃자리 천국天國이다-2021.5.21.부활 제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5.21 135
882 우리의 기쁨은 하느님의 기쁨 -매사 최선을 다합시다-2021.2.11.연중 제5주간 목요일(세계 병자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2.11 135
881 회개와 구원의 더불어 여정 -‘천국입장은 단체입장만 허용된다!’-2020.10.24.연중 제2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24 135
880 삶의 중심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주님-2020.5.8.부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08 135
879 참 행복 -거룩하고 아름답고 향기로운 삶과 죽음-2020.4.28.부활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28 135
878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아브라함의 참 자손-2020.4.1.사순 제5주간 수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4.01 135
877 품위있고 온전한 삶 -시련, 기쁨, 믿음, 인내, 지혜-2020.2.17.연중 제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17 135
876 새 사람의 삶 -사랑하라, 그리고 또 사랑하라-2019.9.12.연중 제2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12 135
875 구원의 여정 -회개, 순종, 축복, 분별-2019.8.1. 목요일 성 알폰소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01 135
874 참으로 행복하고 싶습니까? -하느님 중심의 삶-2019.2.17. 연중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2.17 135
873 “에파타!”, “열려라!” -유혹에 빠지지 않기-2019.2.15.연중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2.15 135
872 하느님 중심의 삶 -관상과 활동의 조화-2019.1.16.연중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16 135
871 참된 수행자修行者의 삶 -기본에 충실한 삶-2018.3.7. 사순 제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07 135
870 어떻게 살 것인가? -‘씨뿌리는 활동가, ’좋은 땅’의 관상가로-2018.1.24. 수요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1.24 135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