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25. 수요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사도22,3-16 마르16,15-18



회심과 복음 선포의 삶



오늘은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입니다. 성인의 회심 체험은 언제 읽어도 흥미진진합니다. 진정 주님을 만날 때 내적변화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빛입니다. 주님의 체험은 바로 빛의 체험입니다. 빛의 체험에 자연스럽게 뒤따르는 회심의 체험입니다. 


하느님은 당신이 선택하신 자를 결코 놓치지 않습니다. 하느님은 이미 성 스테파노가 순교할 당시 시종일관 함께 하던 사울을 눈여겨 보고 계셨음이 분명합니다. 다음 묘사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그를 성 밖으로 몰아내고서는 그에게 돌을 던졌다. 그 증인들은 겉옷을 벗어 사울이라는 젊은이의 발앞에 두었다.’(사도7.58).


이어 박해의 최선두에 섰던 사울이었습니다. 하느님은 때가 되자 결정적 순간에 개입하십니다. 주님의 체험도 순전히 은총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사도행전 바오로 사도의 회심의 체험은 실제 바오로 사도의 고백입니다. 


바오로의 주님과의 만남이 참으로 극적입니다. 다마스쿠스 도상에서 하늘로 부터의 큰 빛의 체험과 동시에 이어지는 주님과 주고 받는 대화입니다.


“사울아, 사울아, 왜 나를 박해 하느냐?”

“주님, 주님은 누구십니까?”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다.”


박해받는 이들과 하나되신 주님이심을 깨닫습니다. 바로 이웃을 통해 만나는 주님이요 이것이 그리스도교의 신비주의의 요체입니다. 이 바오로의 결정적이고 충격적인 주님의 체험이, 빛의 체험의 그의 인생을 완전히 바꿨습니다. 바오로뿐 아니라 그리스도교의 획기적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함께 있던 이들은 빛을 보았지만 바오로의 주님과 깊은 내적체험을 알아채지 못했습니다. 이어 회심한 바오로와 주님과의 대화입니다.


“주님, 제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

“일어나 다마스쿠스로 들어가거라. 장차 네가 하도록 결정되어 있는 모든 일에 관하여 거기에서 누가 너에게 일러 줄 것이다.”


이로서 바오로의 결정적 주님의 체험, 빛의 체험, 회심의 체험은 끝납니다. 바오로는 눈부신 빛 때문에 앞을 볼 수가 없어 다른 이들의 손에 이끌려 다마스쿠스에 들어갑니다. 완전히 바오로의 영적 죽음을 상징합니다. 하느님의 사람, 하나니아스를 만나 ‘사울 형제 눈을 뜨십시오.’ 하고 말하는 순간 바오로는 눈을 뜹니다. 


말그대로 회심의 체험은 죽고 부활하신 파스카의 주님 체험임을 깨닫습니다. 이제 과거의 사울은 죽고 바오로로 부활한 것입니다. 완전한 내적변화요 보는 눈도 바뀌었습니다. 마음의 눈이 활짝 열린 바오로입니다. 이어지는 하나니아스의 간절한 권고입니다.


“그러나 이제 무엇을 망설입니까? 일어나 그분의 이름을 받들어 부르며 세례를 받고 죄를 용서 받으십시오.”


세례를 통해 죄를 용서 받고 거듭 새롭게 태어난 바오로입니다. 이런 주님의 체험에서 ‘이제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계신 주님이 사시는 것’이란 바오로의 고백이 나왔음을 봅니다. 과거와 완전히 결별하고 주님 안에서 새롭게 태어나 영원한 삶을 살게 된 바오로입니다.


바오로의 회심 축일을 통해 우리의 회심과 세례 체험을 생각하게 됩니다. 바오로의 극적 체험과는 달리 신자들마다 그 회심 체험의 양상을 다 다를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주님의 주도적 은총의 결과요, 단 한번의 회심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생 계속되는 ‘회심의 여정’이라는 것입니다. 


주님의 체험, 빛의 체험, 회심의 체험을 통해 계속되는 내적변화요 날로 새로워지고 깊어져가는 주님과의 관계입니다. 자신의 회심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웃에의 복음 선포의 사명을 통해 완성되는 회심입니다. 회심의 자연스런 결과가 이웃에의 복음 선포입니다. 복음의 열한 제자뿐 아니라 우리 모두를 향한 주님의 명령입니다.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복음 선포의 사명보다 더 엄중한 사명도 없습니다. 복음 선포는 우리 믿는 이들의 존재이유입니다. 세상의 한복판 내 삶의 자리에서 내 삶자체로 죽고 부활하신 파스카의 주님을 선포하는 것입니다. 나를 통해 좋으신 주님을 만나게 하는 것입니다. 그 누구도 복음 선포의 사명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만나는 모든 이에게 주님이 얼마나 좋으신지 맛보고 깨닫게 하는 복음 선포의 삶입니다.


주님과의 만남은 빛의 체험이자 회심의 체험입니다. 바오로와 같은 비상한 회심체험이기 보다는 알게 모르게 끊임없이 계속되는 평범한 일상에서의 회심체험입니다. 우리가 매일, 평생, 규칙적으로 거행하는 성전에서의 거룩한 공동전례기도가가 평범한 일상에서의 회심체험의 원천입니다. ‘회심의 시스템’과도 같은 수도원의 일과표가 ‘회심의 일상화日常化’를 이루어 줍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과 만남을 통해 회심한 우리 모두를 강복하신 후, 당신 복음 선포의 일꾼으로 세상에 파견하십니다. 하여 미사의 마침 예식은 파견으로 끝맺습니다.


“주님과 함께 가서 복음을 전합시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 주님의 제자가 되어 -“예수님 처럼, 예수님 따라 살기”-2024.3.27.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7 126
68 참 사람의 영원한 본보기 “그리스도 예수님” -예닮의 여정-2024.3.28.목요일 주님 만찬 성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8 152
67 어떻게 살아야 하나? 예수님처럼 -주님의 섬김의 종답게, 순종의 대사제답게, 진리의 왕답게-2024.3.29.주님 수난 성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9 155
66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우리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부활하셨습니다!-2024.3.30. 파스카 성야 프란치스코 2024.03.30 193
65 “축하합니다!” -예수님 부활 만세, 우리들 부활 만세- “우리의 생명이신 그리스도”2024.3.31.주님 부활 대축일 낮미사 프란치스코 2024.03.31 116
64 예수님 부활 -사실인가? 또는 가짜뉴스인가?- “주께서 참으로 부활하셨도다. 알렐루야!” 2024.4.1.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1 127
63 부활하신 주님과 “만남과 회개의 여정” -만남, 회개, 치유-2024.4.2.부활 팔일 축제내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2 129
62 파스카의 기쁨, 파스카의 여정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 “평생 날마다 주님 ‘파스카의 꽃’으로 삽시다!” ​​​​​​​2024.4.3.부활 팔일 축제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3 124
61 “어떻게 살 것인가?” -주님의 참사람이 되어-2024.4.4.부활 팔일 축제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4 121
60 내 희망 “그리스도 살아 계시다!(Christ is Alive!)”2024.4.5. 부활 팔일 축제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5 114
59 무지(無知)에 대한 답(答)은 “진리(眞理)이신 주님과 ‘만남의 여정’뿐이다”2024.4.6.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6 120
58 아름다운 사람들이여! -깨어나라, 감사하라, 찬미하라- 자비하신 주님을!2024.4.7.부활 제2주일(하느님 자비의 주일) 프란치스코 2024.04.07 124
57 순종과 비움의 여정과 순교영성 -마리아 성모님의 삶-2024.4.8.월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4.04.08 130
56 믿음의 여정 -“다 이루어졌다.”(요한19,30)-2024.4.9.화요일 베네딕도회 전 수석아빠스(2000-2016) 노트커 볼프 아빠스(1940.6.21.-2024.4.2.) 사도10,34-36.37ㄱ.42-43 요한5,24-29 프란치스코 2024.04.09 112
55 구원은 선물이자 선택이다 -주님을 선택하라, 주님을 사랑하라-2024.4.10.부활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4.10 133
54 어떻게 살 것인가? -예닮의 여정- “주님을 믿어라, 주님을 사랑하라”2024.4.11.목요일 성 스타니슬라오 주교 순교자(1030-1079)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4.11 118
53 분별력의 지혜 -자비와 지혜의 주님-2024.4.12.부활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4.12 127
52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인생 항해 여정- 부활하신 주님 중심의 공동체2024.4.13.부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4.13 128
51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 -"평화가 너희와 함께!"-부활하신 주님과 만남의 삶, 회개의 삶, 증인의 삶- 2024.4.14.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24.04.14 120
50 영원한 생명을 찾는 삶 -땅에서도 하늘의 별처럼 살아가는 이들-2024.4.15.부활 제3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4.15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