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30. 연중 제4주간 월요일                                                                                  히브11,32-40 마르5,1-20



예수님이 답이다



"예수님이 답이다."

오늘 말씀 묵상 중 문득 떠오른 말마디입니다. 유비무환입니다. 예수님을 삶의 중심에 모시고 살아야 안전합니다. 삶의 중심, 삶의 의미, 삶의 방향인 예수님을 잃으면 누구나의 가능성이 오늘 복음의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입니다. 설상 더러운 영이 들렸더라도 진정 주님을 만난다면 치유도 가능하지만 치유보다는 예방이 백배 낫습니다.


“아무것도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라.”(성규4,21)

“그리스도보다 아무것도 더 낫게 여기지 말 것이니, 그분은 우리를 다함께 영원한 생명으로 인도하실 것이다.”(성규72,11-12).


성 베네딕도 역시 그의 규칙에서 그리스도 예수님을 삶의 중심에 두고 사랑할 것을 신신당부하십니다. 예수님이 답입니다. 예수님을 삶의 중심에 모시고 믿고 사랑하며 살아갈 때 어떤 처지에서든지 항구하고 충실할 수 있습니다.


“항상 기뻐하십시오. 늘 기도하십시오. 어떤 처지에서든지 감사하십시오.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서 여러분에게 바라시는 하느님의 뜻입니다.”(1테살5,16-18).


이렇게 그리스도 예수님을 삶의 중심에 모시고 항상 기뻐하고 늘 기도하며 어떤 처지에서든지 감사하며 깨어 살 때 더러운 영도 얼씬 못합니다. 주님이 아니시면 오늘 복음의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에 대한 대책은 전무합니다. 그 누구도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을 제어할 수가 없습니다.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은 삶의 중심을, 삶의 의미를 잃고 흡사 괴물이 된 사람을 상징합니다. 극심한 내적 분열의 상징입니다. 밤낮으로 무덤과 산에서 소리를 지르고 돌로 제 몸을 치며 자해합니다. 주님과의 관계, 공동체와의 관계가 끊어져 고립단절 됐을 때의 지옥같은 비극적 장면입니다.


“더러운 영아, 그 사람에게서 나아가라.”(마르5,8).


마침내 예수님은 더러운 영을 축출하시고, 제정신이 든 마귀들렸던 이를 제 삶의 자리로 복귀시키십니다. 동터오는 태양 앞에 사라지는 밤의 어둠처럼, 빛이신 주님 앞에 어둠의 더러운 영도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더러운 영이 들렸던 이는 예수님과 같이 있게 해 주십사 청했지만, 허락하지 않으시고 집으로 보내십니다.


“집으로 가족들에게 돌아가, 주님께서 너에게 해 주신 일과 자비를 베풀어 주신 일을 모두 알려라.”(마르5,19).


예수님을 삶의 중심에 모시고, 복음 선포의 삶에 충실하라는 말씀입니다. 이래야 완전 치유요 다시는 더러운 영에 들리지 않습니다. 각자 삶의 자리가 바로 복음 선포의 장場임을 깨닫습니다. 세상 곳곳에 널려있어 호시탐탐 유혹의 기회를 노리고 있는 더러운 영들입니다. ‘악의 평범성’이라는 말도 있듯이 늘 깨어 있어야 더러운 영에 들리지 않습니다.


오늘 제1독서 히브리서 11장 후반부 말씀은 전반부에 이어 온통 믿음의 용사들에 대한 이야기들입니다. 마지막 11장 39-40절 말씀은 믿음의 증인들에 대한 결론입니다.


“이들은 모두 믿음으로 인정을 받기는 하였지만, 약속된 것을 얻지는 못하였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더 좋은 것을 내다보셨기 때문에, 우리 없이 그들만 완전하게 될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을 통해 비로소 약속된 것을 얻게 됨을 깨닫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그분의 약속이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믿음이 있기에 그리스도께 희망을 두고 온갖 고난을 참으며 올바르게 살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이야말로 하느님 구원 약속의 실현입니다. 


어찌보면 오늘날의 우리만큼 주님을 믿기에 좋은 환경, 좋은 조건은 없을 것입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미사에 참여할 수 있고, 약속의 실현인 그리스도 예수님과 늘 함께 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빛이신 주님과 함께 할 때 더러운 영의 자리는 없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안에 잠재해 있는 더러운 영들을 말끔히 일소시켜 주시어 우리 모두 내적일치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주님께 희망을 두는 모든 이들아, 마음을 굳게 가져라.”(시편31,25).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98 하닮의 여정 -주님의 일꾼, 주님의 전사, 자비의 전사-2023.6.19.월요일 성 로무알도 아빠스(951-102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19 336
3097 참된 신자의 행복한 삶 -성소, 친교, 선교-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2023.6.18.연중 제11주일 프란치스코 2023.06.18 316
3096 “성화(聖化)되십시오!” -성화의 여정-2023.6.17.토요일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17 316
3095 사랑의 여정, 사랑의 학교 -“예수 성심의 사랑이 답이다”- 사랑도 선택이자 훈련이요 습관이다-2023.6.16.금요일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 대축일(사제성화의 날) 프란치스코 2023.06.16 315
3094 “화해하여라!” -사랑의 화해도 은총이자 선택이요 훈련이자 습관이다- 내 안의 괴물들을 사랑의 인내와 훈련으로 길들이기2023.6.15.연중 제1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5 309
3093 사랑은 율법의 완성 -사랑이 답이다-2023.6.14.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4 311
3092 세상의 소금과 빛 -“예수님을 열렬히 한결같이 사랑하십시오”-2023.6.13.화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13 310
3091 성덕(聖德)의 여정 -진복팔단(The Beatitudes)의 실천- 2023.6.12.연중 제10주간 월요일 ​​​​​​​ 프란치스코 2023.06.12 323
3090 예닮의 여정 -사랑의 성체성사의 은총-2023.6.11.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6.11 276
3089 떠남의 여정 -찬미, 봉헌, 자선, 사랑이 답이다-2023.6.10.연중 제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0 274
3088 하느님 찬미가 답이다 -찬미 예찬-2023.6.9.연중 제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9 278
3087 찬미받으소서 -사랑의 찬미, 찬미의 기쁨, 찬미의 행복-2023.6.8.연중 제9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8 271
3086 ‘살아 계신’ 주님과 만남의 여정 -희망과 기쁨, 찬미와 감사-2023.6.7.연중 제9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7 279
3085 하느님 중심의 삶 -주님의 전사, 분별의 지혜, 영적승리의 삶-2023.6.6.연중 제9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6 270
3084 영적승리의 삶 -예수성심의 성인들-2023.6.5.월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675-75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05 277
3083 사랑의 삼위일체 하느님 -성인이 됩시다-2023.6.4.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6.04 270
3082 자아초월의 여정 -그리스도의 사랑이 되기(Becoming the Love of Christ)-2023.6.3.토요일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03 270
3081 하느님 중심의 삶 -열매, 성전, 기도, 용서-2023.6.2.연중 제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2 273
3080 개안(開眼)의 여정 -“주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2023.6.1.목요일 성 유스티노 순교자(100-16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01 260
3079 우정의 여정 -주님과 더불어 도반 형제들과의 우정-2023.5.31.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 프란치스코 2023.05.31 27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