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2.1. 연중 제4주간 수요일                                                                               히브12,4-7.11-15 마르6,1-6



회개가 답이다

-믿음의 눈-



‘회개가 답이다.’ 오늘 강론 제목입니다. 회개를 통해 믿음의 눈이, 마음의 눈이 열려야 자기의 덫, 무지의 덫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 발상의 전환도 가능합니다. 삶도 유연해집니다. 


고향 사람들은 예수님을 잘 아는 듯 했지만 실은 몰랐습니다. 눈이 있어도 보지 못했습니다. 친숙함의 덫(the trap of familiarity)에, 무지의 덫에 빠져 예수님의 진상眞相을 볼 수 없었습니다. 예수님의 가르침에, 지혜에 놀랐지만 믿지는 못했습니다. 그대로 인간의 보편적 한계를 드러냅니다. 반면 예수님은 이들이 믿지 않는 것에 놀랐다 합니다. 


하여 “예언자는 어디서나 존경받지만 고향과 친척과 집안에서만은 존경받지 못한다.”는 예수님의 탄식이 뒤따릅니다. 그대로 실존적 체험의 반영입니다. 예수님께서 기적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할 수 없었습니다. 이들이 눈이 가려 믿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사실 믿음이 없으면 기적이 아무런 의미를 지닐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적이라고 말할 수조차 없습니다.


바로 고향 사람들의 회개가 필요한 순간이었습니다. 무지에 대한 유일한 처방은 회개를 통해 믿음의 눈이 열리는 것 하나 뿐입니다. 믿음의 눈이 열릴 때 비로서 삶은 기적임을 깨닫습니다. ‘회개의 여정’과 ‘개안開眼의 여정’은 함께 갑니다. 회개를 통해 믿음의 눈이 열릴 때 우리의 시련 역시 하느님의 훈육임을 깨닫습니다. 


비로소 이런저런 모든 시련이 의미를 지닙니다. 일상의 모두를 겸손의 훈육, 비움의 훈육으로, 영적 성장의 계기로 삼습니다. 결코 마음의 상처로 남겨 두지 않습니다. 이 모두가 회개의 은총입니다. 히브리서의 말씀이 적절하고 위로가 됩니다.


“여러분의 시련을 훈육으로 여겨 견디어 내십시오. 모든 훈육이 당장은 기쁨이 아니라 슬픔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훈련된 이들에게 평화와 의로움을 가져다 줍니다.”


우리의 모든 일상의 크고 작은 시련을 주님의 훈육으로 깨닫게 하는 것이 바로 회개의 은총입니다. 회개로 믿음의 눈이 열린 이들은 유혹에 빠지지 않고 일상의 크고 작은 시련 모두를 주님의 훈육의 계기로 삼아 기꺼이 견뎌냄으로 평화와 의로움의 열매를 맺습니다.


바로 복음의 예수님이 그 좋은 본보기입니다. 예수님은 고향 사람들의 반응에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않으시고 본연의 사명에 충실하십니다. 결코 자기연민의 덫에 빠질 주님이 아니십니다. 마을을 두루 돌아 다니시며 가르치신후 이어 열 두 제자를 파견하십니다. 


그러고 보니 삶은 흡사 장애물 경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곳곳에 널려 있는 무수한 장애물들이요, 믿음의 눈이 열려 장애물의 실체를 파악할 때 비로소 장애물의 덫에 걸리지 않고 잘 통과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훈육의 계기, 겸손의 계기, 비움의 계기로 삼아 영적성장과 성숙으로 나아갑니다. 하여 모든 사람과 평화롭게 지내며 거룩하게 살 수 있습니다.


그러니 히브리서의 말씀대로 우리 모두 심기일전心機一轉, 다시 일어나 맥풀린 손과 힘 빠진 무릎을 바로 세워 바른 길을 달려가십시다. 마음을 바로 잡는 데는 바른 몸 동작이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하여 절름거리는 다리는 접질리지 않고 오히려 낫게 될 것입니다. 


우리에게 주어지는 일상의 크고 작은 시련은 모두 주님의 훈육으로 알아 견디어 낼 때 겸손입니다. 겸자무적謙者無敵입니다. 경천애인敬天愛人의 겸손한 자에게는 적이 없습니다. 겸손이 지혜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믿음의 눈을 열어 주시어 매사 겸손의 수련으로 삼아 무지의 덫에, 자기의 덫에 걸리지 않게 해주십니다. 


“주님의 자애는 영원에서 영원까지 그분을 경외하는 이에게 머무르리라.”(시편103, 17ㄱ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3 회심回心의 은총 -복음 선포의 사명-2018.1.25. 목요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1.25 210
2332 파견받은 존재의 삶 -평화의 선물-2018.1.26. 금요일 성 티모테오와 성 티토 주교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1.26 139
2331 감사하라, 죄도, 약함도 은총이다 -빛과 어둠-2018.1.27. 연중 제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7 163
2330 권위있는 삶 -실행, 일치, 자유, 섬김-2018.1.28. 연중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1.28 142
2329 삶의 중심中心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2018.1.29. 연중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9 313
2328 믿음이 답이다 - -간절懇切하고 항구恒久한 믿음-2018.1.30. 연중 제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30 155
2327 믿음의 눈 -회개가 답이다-2018.1.31. 수요일 성 요한 보스코 사제(1815-188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1.31 231
2326 내 삶의 성경책 -한결같은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의 삶-2018.2.1. 연중 제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1 171
2325 봉헌奉獻이 답이다 -봉헌의 생활화生活化-2018.2.2. 금요일 주님 봉헌 축일(봉헌생활의 날) 1 프란치스코 2018.02.02 220
2324 지혜가 답이다 -외딴곳을 마련하라-2018.2.3. 연중 제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3 166
2323 주님과의 만남이 답이다 -만남의 축복-2018.2.4. 연중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2.04 262
2322 예수님이 답이다 -우리의 ‘홈쉬트 홈home! sweet home’인 예수님-2018.2.5. 월요일 성녀 아가다 동정 순교자(+25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2.05 194
2321 영원한 반려자 -주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8.2.6. 화요일 성 바오로 미끼(1164-1597)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2.06 166
2320 사랑이 답이다 -순수純粹, 지혜智慧, 겸손謙遜-2018.2.7. 연중 제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7 214
2319 믿음의 전사戰士 -전사戰死해야 전사戰士다-2018.2.8. 연중 제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8 126
2318 “에파타!-열려라!” -지금 주님을 만남이 답이다-2018.2.9. 연중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9 382
2317 환대歡待의 사랑 -경청傾聽이 우선이다-2018.2.10. 토요일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480-543)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2.10 180
2316 삶의 목표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2018.2.11. 연중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2.11 151
2315 주님 표징들로 가득한 세상 -삶은 일상日常이자 이벤트Event이다-2018.2.12. 연중 제6주간 1 프란치스코 2018.02.12 114
2314 자기인식 -인생은 선물이자 과제이다-2018.2.13. 연중 제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3 190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