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2.4. 연중 제4주간 토요일                                                                            히브13,15-17.20-21 마르6,30-34



지옥地獄에는 한계限界가 없다

-관상과 활동-



제가 강론중에 괄호를 하고 한자나 영어를 덧붙이는 경우는 그 말뜻을 깊이 새기고자 하는 의도입니다. ‘지옥에는 한계가 없다’ 오늘 강론 제목은 전에도 수차 인용했던 괴테의 파우스트에 나오는 깊은 통찰이 함축된 말마디입니다. 새삼 지옥은 장소 개념이기 보다는 관계 개념임을 깨닫습니다. 


관계의 균형과 조화가 깨져 혼돈으로 무질서해질 때 바로 거기가 지옥이라는 것입니다. 새삼 분별의 지혜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하여 우리의 사부 성 베네딕도는 ‘분별력(discernment)’을 모든 덕행의 어머니라 일컫곤 합니다. 


오늘 복음 말씀을 묵상하면서 문득 떠오른 것이 괴테의 ‘지옥에는 한계가 없다’는 말마디입니다. 이 진리를 며칠전 공마리아 작가의 글에서 발견했고 그대로 공감하여 전문을 인용합니다.


“나는 지옥이 유황불이 타는 곳도 쇠사슬이 철렁거리고 몽둥이를 든 괴수가 보초를 서는 곳도 아닐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나는 지옥은 ‘무엇이든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곳’이란 것을 깨달았다. 모든 독재자들이 왜 마지막에 정신 착란으로 가는지도 얼핏 알 것 같았다. 아, 선악과는 그래서 반드시 낙원에 있어야 했던 것이다. 만일 선악과가 없었다면 신성한 금기가 없었다면 그건 이미 지옥이리라. 그래서 그 금기가 범해진 이후 아담과 하와는 낙원에서 살지 못했다. 하느님은 그들을 내쫓으신 게 아니었다. 그것은 장소의 문제가 아니었을 것이다.”


이래서 한계를 뜻하는 계명이나 규칙이 있고 법이 있습니다. 수도자들의 모든 수행도 한계의 수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부단한 한계의 훈련을 통해 참자유에 이릅니다. 죄로 인해 옥고를 치르는 이들은 한계의 수련을 받고 있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의 정주서원의 삶은 제자리에서 균형과 조화가 갖춰진 일과표에 따라 하느님을 찾으며 한계의 수행에 충실한 삶입니다. 삶의 균형과 조화가 깨진 혼란하고 무질서한 삶이라면 바로 거기가 지옥입니다. 그렇다면 반대의 말마디도 그대로 통합니다. ‘천국에는 한계가 있다.’ 


하여 분별의 지혜가 절실합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은 분별의 대가입니다. 예수님은 결코 활동과 관상의 균형과 조화를 깨지 않았습니다. 사도들이 예수님께 모여 와, 자기들이 한 일과 가르친 것을 다 보고하자 곧 관상적 휴식을 권합니다.


“너희는 따로 외딴 곳으로 가서 좀 쉬어라.”


예수님은 활동에 단호히 한계를 긋고 외딴 곳에서의 관상을 통해 주님 안에서 심신을 충전시킬 것을 명하십니다. 사실 예수님의 매일 일상은 낮의 활동과 밤의 외딴 곳에서의 관상의 리듬으로 이루어졌음을 봅니다. 결코 활동의 유혹에 빠져 이 한계를 무너뜨린 경우는 거의 없으셨습니다. ‘기도하고 일하라.’ 성 베네딕도 수도회의 모토가 바로 관상과 활동의 원리를 말해 줍니다. 오늘 히브리서 역시 관상과 활동의 조화를 가르쳐줍니다.


“형제 여러분, 예수님을 통하여 언제나 하느님께 찬양 제물을 바치십시오. 그것은 그분의 이름을 찬미하는 입술의 열매입니다. 선행과 나눔을 소홀히 하지 마십시오. 이러한 것들이 하느님 마음에 드는 제물입니다.”(히브13,15-16).


신약의 찬미제사는 마음으로부터 하느님을 찬미하는 ‘입술의 열매(호세14,3)’와 선행과 나눔의 거룩한 ‘삶의 열매(시편50,14.23)’를 바치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과 제자들의 삶의 리듬 역시 이러했습니다. 선행과 나눔의 활동을 통해 삶의 열매를 바친 후 외딴곳에서 관상적 휴식을 취하며 하느님 찬미의 입술의 열매를 바쳤음이 분명합니다.


관상과 활동의 균형과 조화를 통해 한계를 분명히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때로 한계를 벗어나고 싶은 유혹은 얼마나 많은지요. 일상의 한계에 충실한 것이, 또 서로의 영역의 한계를 지켜주는 것이 지혜요 겸손입니다. 공존의 평화와 일치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그러나 예외적인 상황이 있습니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예수님은 배에서 내리시어 많은 군중을 보시자 가엾은 마음이 드시어 외딴곳에서의 제자들과의 관상적 휴식을 포기하시고 그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십니다. 그들이 목자 없는 양들과 같았기 때문입니다. 새삼 예수님의 분별의 지혜가 빛을 발하는 장면입니다. ‘제자리’에서 ‘제때’에 ‘제일’을 하는 것이 바로 분별의 지혜입니다.


관상과 활동, 기도와 일은 영적 삶의 원리이자 리듬입니다. 우리의 영원한 목자이신 주님은 매일 거룩한 성전의 ‘외딴곳’에서의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관상적 휴식을 선사해 주시고 각자 활동의 자리로 파견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4 참 아름다운 하늘 나라 공동체의 행복한 삶 -회개, 추종, 일치-2020.1.26. 제3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1.26 146
1853 배움의 여정 -축복, 겸손, 깨어있음-2020.1.25.토요일 설 1 프란치스코 2020.01.25 121
1852 삶에 본질적인 것은 주님과 관계의 깊이다 -기도와 삶의 중심-2020.1.24.금요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1.24 203
1851 '제자리'와 '거리'를 지켜내는 일 -사랑과 지혜, 겸손- 2020.1.23.연중 제2주간 목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1.23 139
1850 주님의 전사戰士 -믿음과 사랑의 무장武裝-2020.1.22.연중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22 165
1849 판단의 잣대는 예수님 -사람이 먼저다-2020.1.21.화요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1.21 153
1848 판단의 잣대는 ‘주님의 뜻’이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2020.1.20.연중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20 160
1847 깨달음의 여정 -삶의 핵심은 주님과 우리의 관계이다- 2020.1.19.연중 제2주일, 이사49,3.5-6 1코린1,1-3 요한1,29-34 1 프란치스코 2020.01.19 144
1846 “나를 따라라” -참 나의 실현; 부르심과 응답-2020.1.18.연중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8 142
1845 하느님의 감동, 예수님의 감동, 우리의 감동 -아름다운 믿음과 사랑-2020.1.17.금요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251-356)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1.17 218
1844 내 탓이지 하느님 탓이 아니다 -매사 최선을 다하라-2020.1.16.연중 제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6 144
1843 기도와 삶 -기도가 답이다-2020.1.15.수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의 제자들 성 마오로와 성 쁠라치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1.15 237
1842 온전한 삶 -삶의 중심을 잡읍시다-2020.1.14.연중 제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4 109
1841 하느님의 나라 공동체 -꿈의 현실화-2020.1.13. 연중 제1주간 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1.13 121
1840 세례성사 은총의 축복 -하느님의 자녀답게, 아름답고 품위있게 삽시다-2020.1.12.주일 주님 세례 축일 프란치스코 2020.01.12 201
1839 작아지기(비움)의 여정 -참 하느님이시며 ‘영원한 생명’이신 예수님-2020.1.11.주님 공현 대축일 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1 165
1838 주님과 만남의 여정 -치유와 구원, 정화와 성화, 변모의 여정-2020.1.10. 주님 공현 대축일 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0 169
1837 우리는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戰士, 주님의 학인學人, 주님의 형제兄弟- ​​​​​​​2020.1.9.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9 153
1836 삶의 중심中心 잡기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2020.1.8.주님 공현 대축일 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8 196
1835 예수님처럼! -서로 사랑합시다-2020.1.7.주님 공현 대축일 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7 138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