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2.15. 연중 제6주간 수요일                                                                     창세8,6-13.20-22 마르8,22-26



봉헌奉獻의 삶

-개안開眼의 여정-



영적 삶에 도약이나 비약은 없습니다. 꾸준한 성장과 성숙이 있을 뿐입니다. 몸은 노쇠해 가도 내적성장과 성숙은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끊임없는 내적성장과 성숙을 위해 삶의 중심과 질서는 필수입니다. 삶의 중심이 확고해야 삶의 질서가 뒤따르고 삶도 단순해 집니다.


오늘 창세기의 노아와 복음의 예수님이 그 모범입니다. 바로 하느님이 이분들의 삶의 중심이었습니다. 홍수가 시작되고 40일 지난 후 노아의 조치가 아주 침착하고 질서정연합니다. 까마귀를 보낸 후 이어 비둘기를 보내 땅의 사정을 탐색한 후 마침내 땅위 물이 마른 것을 알자 방주에서 나와 우선 한 일이 봉헌이었습니다.


‘노아는 주님을 위하여 제단을 쌓고, 모든 정결한 짐승과 모든 정결한 새들 가운데에서 번제물을 골라 그 제단 위에 바쳤다.’


주님께 제단을 쌓고 제물을 봉헌함으로 삶의 중심을 잡고 새 삶을 시작하는 노아입니다. 우리 역시 날마다 주님을 위하여 미사제단을 쌓고 찬미와 감사의 제물을 봉헌함으로 새롭게 새날을 시작합니다. 삶의 허무와 무의미에 답은 봉헌뿐입니다. 미사가 아니더라도 기도의 제단에 자신을 봉헌함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영적 습관은 정말 바람직합니다.


노아의 이야기는 초대교회에서 세례의 상징이었다 합니다. 말그대로 죽고 부활한 세례의 상징과 잘 어울리는 장면입니다. 주님께서는 그 향내를 맡으시고 마음 속으로 다짐하십니다. 번제물의 향내는 그대로 노아의 영혼의 향내를 상징합니다. 노아의 제단에 봉헌이 얼마나 정성되고 진실된지 깨닫습니다. 


“사람의 마음은 어려서부터 악한 뜻을 품기 마련, 내가 다시는 사람 때문에 땅을 저주하지 않으리라. 이 번에 다시는 어떤 생물도 파멸시키지 않으리라. 땅이 있는 한, 씨뿌리기와 거두기, 추위와 더위, 여름과 겨울, 낮과 밤이 그치지 않으리라.”


바로 우리에게 하느님께서 선사하신 자연의 리듬이자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질서 잡힌 삶의 현장입니다. 이런 자연의 리듬에 따라 내적으로 깊어져야 하는 우리의 영적 삶임을 깨닫습니다. 


삶의 중심에 주님을 모시고 있을 때 자연의 리듬에 충실한 삶입니다. 모든 것은 때가 있습니다. 오늘날의 문제는 이 자연 리듬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자연의 리듬과 함께 가는 신체의 리듬입니다. 자연 리듬이 무너지면서 삶은 혼란해지고 온갖 심신의 시련과 질병이 시작됩니다. 우선적으로 지켜할 바 자연 리듬에 따른 삶입니다. 


오늘 복음에서도 예수님의 눈먼이의 점진적인 치유과정이 인상적입니다. 역시 이 눈먼이의 치유이야기도 초대교회에서는 세례의 상징이었다 합니다. 예수님과 가까워짐에 따라 밝아지는 영적 시력을 상징합니다. 


‘그분께서 다시 그의 두 눈에 손을 얹으시니 그가 똑똑히 보게 되었다. 그는 시력이 회복되어 모든 것을 뚜렷이 보게 된 것이다.’


세례 받음으로 영의 눈이 열려 영적시력을 회복한 우리들입니다. 그러나 한 번으로 끝나는 치유가 아닙니다. 끊임없는 내적성장과 더불어 점진적으로 밝아져야 하는 우리 마음의 눈입니다. 어찌보면 삶은 ‘개안開眼의 여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점점 주님과 가까워지면서 밝아지는 마음의 눈, 영의 눈입니다. 바로 삶의 중심과 질서가 잡혀 있을 때 주시는 주님의 은총입니다. 


몸은 노쇠해 가도 영적성장과 성숙은 계속 되어야 합니다. 교회의 세례성사에 이은 평생성사인 성체성사와 고해성사의 은총이 또 매일 평생 끊임없이 이어지는 시편공동전례기도의 은총이 우리 삶의 중심과 질서를 잡아주고 날로 우리의 영적 시력을 좋게 해줍니다. 


주님은 날마다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제단을 쌓고 당신께 감사와 찬미 제물을 바치는 우리 모두에게 영적시력의 회복과 더불어 한량없는 축복을 내려 주십니다.


“내게 베푸신 모든 은혜, 무엇으로 주님께 갚으리오? 구원의 잔 받들고, 주님의 잔 받들고 주님의 이름 부르리라.”(시편116,12-13).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89 영적전쟁의 승리를 위하여 -주님의 전사戰士-2016.1.31. 연중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6.01.31 240
2688 하느님은 누구인가? -언제나 우리를 먼저 초대 하시는 분-2022.12.7.수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2.07 239
2687 어떻게 살아야 하나? -사랑이 답이다-2022.10.31.연중 제31주간 월요일 PACOMIO 2022.10.31 239
2686 믿음의 승리, 믿음의 전사 -사랑, 한결같고 항구한 기도와 믿음-2020.8.16.연중 제20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8.16 239
2685 아름답고 행복한 삶 -아름다운 삼위일체 하느님 닮기-2019.6.16.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6.16 239
2684 파스카의 삶 -기도가 답이다-2019.4.12.사순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2 239
2683 답은 가까이 있다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예수님-2017.5.12. 부활 제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5.12 239
2682 “두려워하지 마라” -주님은 우리 삶의 최고의 가이드이시다-2016.7.12. 연중 제1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7.12 239
2681 항구하고 한결같은 간절한 기도-기도 예찬--2016.2.18. 사순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2.18 239
2680 내 삶의 성경聖經책 렉시오 디비나 -회심回心의 여정-2016.1.29. 연중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1.29 239
2679 “Because it’s 2015” -“2015년 이잖아요!”-2015.11.8. 연중 제32주일 프란치스코 2015.11.08 239
2678 희망의 사람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2015.10.27.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7 239
2677 참된眞 삶-비전,마음, 말씀-2015.8.30. 연중 제22주일 프란치스코 2015.08.30 239
2676 기도의 사람 -아브라함의 웃음-2015.6.26. 연중 제1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06.26 239
2675 율법의 완성-2015.6.10.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6.10 239
2674 믿음의 은총과 훈련 -두려움에 대한 답은 믿음뿐이다-2023.1.28.토요일 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1.28 238
2673 우리의 우선적 영적 의무 -하느님 사랑의 찬미-2017.11.3. 연중 제3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1.03 238
2672 질그릇에 담긴 보물 -하느님의 힘, 예수님의 생명-2016.7.25.월요일 성 야고보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6.07.25 238
2671 모두가 섭리攝理다-2015.12.17. 대림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12.17 238
2670 주님 중심의 참가족 교회 공동체 -"주님의 전사답게, 학인답게, 형제답게, 자녀답게 삽시다"-2023.9.26.연중 제2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9.26 237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