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3.22. 사순 제3주간 수요일                                                                           신명4,1.5-9 마태5,17-19



사랑이 답이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



수도자의 모든 수행은 하느님 사랑의 표현입니다. 기도, 노동, 성독, 환대, 침묵등 모든 수행이 하느님 사랑의 표현입니다. 사실 잘 들여다 보면 수행 아닌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하여 수도생활을 수행생활이라 일컫기도 합니다. 어찌 수도자뿐이겠습니까? 믿는 이들 모두의 삶이 수행생활입니다. 그러니 억지로 마지못해 하는 수행이 아니라 기쁘게 자발적인 사랑의 수행이어야 합니다.


율법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하느님 사랑의 표현이 율법입니다. 그러니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법인 율법을 소홀히 대할 수 없습니다. 예수님의 다음 말씀이 참으로 엄중합니다.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폐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하러 왔다.”


율법과 계명에 대한 예수님의 사랑이 얼마나 극진하지 깨닫게 됩니다.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고 모두 소중히 받들어 실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랑에는 작고 큰 것이 없기에 모두가 지켜야 할 율법이요 계명이라는 것입니다. 


어떻게 이 모든 율법을 지킬 수 있습니까? 

사랑이 답입니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사랑은 모두입니다. 모든 율법은 상대적이지만 사랑은 영원하며 절대적입니다. 중요한 것은 율법이나 계명의 실천을 통해 하느님과 사랑의 관계를 심화하는 것입니다. 하느님과 사랑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삶도 더욱 자유로워집니다.


예수님뿐 아니라 신명기의 모세 역시 하느님의 법인 규정과 법규들을 충실히 지킬 것을 명령합니다.


“나는 주 나의 하느님께서 나에게 명령하신 대로 규정과 법규들을 너희에게 가르쳐 주었다. 너희는 그것들을 잘 지키고 실천하여라. 그리하면 민족들이 너희의 지혜와 슬기를 보게 될 것이다.”


사랑이 지혜입니다. 사랑이 자유입니다. 사랑이 생명입니다. 사랑으로 하느님 주신 율법이나 계명, 규정과 법규를 충실히 준수할 때 지혜로워지고 자유로워지고 활기넘치는 삶입니다. 마침내 사랑으로 모두를 행하게 되니 어느 율법이나 계명도 거스르지 않게 됩니다. 


참으로 중요한 것이 하느님과의 관계입니다. 모든 율법이나 계명이 하느님께 이르는 길입니다. 이들을 매개로 하느님과의 관계도 이루어집니다. 이들의 수행없이는 하느님을 만날 수도 없고 하느님과의 관계도 이루어 질 수 없습니다. 기도뿐 아니라 모든 수행의 궁극목표가 주님과의 관계를 깊이 하는 것입니다. 아, 하느님과 무관無關하게 남남으로 살아가는 이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우리가 부를 때마다 가까이 계셔 주시는 하느님입니다. 우리에게 참 좋은 하느님 사랑의 선물이 모든 계명과 율법입니다. 하느님을 사랑할 때 율법이나 계명은 모두 선물이 되지만 사랑이 사라지면 모두는 짐으로 변합니다. 


사랑이 답입니다. 사랑이 없으면 우리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사랑 있으면 무죄이지만 사랑 없으면 유죄입니다. 사랑만이 율법의 완성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의 참 좋은 사랑을 선물하시어 우리 모두 자발적 사랑의 기쁨으로 수행생활에 충실하게 하십니다. 


“주님, 저에게 생명의 길 가르치시니, 당신 얼굴 뵈오며 기쁨에 넘치리이다.”(시편16,1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9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인생 항해(航海)-2015.4.18. 부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4.18 449
3448 "나를 따라라." 2015.2.21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2.21 268
3447 "내 안에 머물러라"2015.5.6. 부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5.06 527
3446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사랑하라, 찬미하라, 기뻐하라-2016.4.10. 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16.04.10 2495
3445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사랑 예찬-2015.5.7. 부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5.07 357
3444 "당신은 누구요(Who are you)?"2015.3.24. 사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3.24 317
3443 "당신은 누구요?” -주님 사랑 안에 머무르십시오-2016.1.2. 토요일 성 대 바실리오(330-379)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330-3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1.02 389
3442 "들어라!" -행복하여라, 주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사람!-2017.4.12. 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4.12 151
3441 "박해를 각오하십시오." -성령, 치욕, 겸손-2017.12.26. 화요일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프란치스코 2017.12.26 150
3440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2018.4.7. 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07 134
3439 "어떻게 살아야 하나?" -'짐'이 아닌 '선물', '축복된 존재'로-2018.1.1.월요일 천주의 모친 성모 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1 228
3438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느님의 감동, 영적전쟁의 승리-2018.6.13. 수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13 316
3437 "오늘, 예수님을 뵈었습니다."2015.3.22. 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5.03.22 347
3436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요한19,5)"-2016.3.20. 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16.03.20 295
3435 "주님을 기억하라"-기억(anamnesis)에 대한 묵상-2016.3.24. 주님 만찬 성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6.03.24 274
3434 "주님을 찾아라." -우리의 유일한 평생과제-2017.1.29. 연중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7.01.29 184
3433 "평화가 너희와 함께!“-손을 잡아 주십시오-2015.4.19. 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15.04.19 385
3432 "하느님 소원을 풀어드립시다"-2015.6.28. 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프란치스코 2015.06.28 277
3431 "하느님의 얼굴을 뵙고 싶습니까?" -파스카의 삶, 하나뿐!-2018.5.3. 목요일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5.03 152
3430 "행복하여라, 평화의 사람들!"2017.5.16. 부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6 9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