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3.25. 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이사7,10-14;8.10ㄷ 히브10,4-10 루카1,26-38



우리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



사순시기 대축일의 배치가 참 절묘합니다. 이동 경축으로 3월20일 요셉 대축일을 지낸후 오늘 3월25일은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입니다. 십자가의 여정 중에 오아시스 쉼터와 같은 대축일입니다. 요셉 대축일의 주인공이 요셉이었다면 오늘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의 주인공은 마리아입니다.두 분 다 주님께 무한한 신뢰를 받았던 분이십니다. 오늘 복음 서두의 말씀이 감동적입니다. 하느님께서 주도권을 잡고 겸손히 활동하시는 모습입니다.


‘하느님께서는 가브리엘 천사를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이라는 고을로 보내시어, 다윗 집안의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를 찾아가게 하셨다.’(루카1,26-27).


요셉대축일 복음에서 친히 요셉을 찾았던 주님의 천사가 이번에는 하느님의 심부름으로 마리아를 찾습니다. 주님은 참 겸손하고 부지런하십니다. 주님의 천사와 마리아의 만남은 그대로 주님과의 만남을 상징합니다. 마리아를 향한 가브리엘 천사의 전갈이 참 은혜롭습니다.


1.“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께서 너와 함께 계신다.”(루카1,28).


제가 고백성사 보속으로 가장 많이 써드리는 말씀 처방전 구절로 모두가 좋아합니다. 주님과의 만남을 통해 축복 받은 존재임을 깨닫는 마리아입니다. 바로 우리가 잊고 지내는 우리의 진면목입니다. 마리아는 물론이고 세례 받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 하나하나의 존귀한 신원을 가리킵니다. 우리 모두 은총이 가득한 이들이여, 주님 또한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놀라운 축복인지요. 매일 미사를 통해 깨닫는 진리입니다. 


이어지는 대목에서 마리아의 관상적 면모가 잘 들어납니다. 마리아는 몹시 놀랐지만 이 인사말이 무슨 뜻인가 하고 곰곰이 생각하였다 합니다. 마리아의 주님 말씀에 활짝 깨어 열려있는 깊은 침묵이 인상적입니다. 바로 마리아의 이런 면이 하느님의 총애를 받기에 합당한 모습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의 천사와 마리아의 주고 받는 대화가 참 흥미진진합니다. 이런 일련의 주고 받는 대화의 기도를 통해서 마리아의 내적 삶의 깊이가 얼마나 깊은지 깨닫습니다. 이렇게 마리아와 대화하면서도 주님은 내심 조마조마하셨을 것입니다. 일방적으로 일하시는 주님이 아니라 마리아의 자발적 응답을 통해서만 일하시는 주님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마리아의 응답은 오늘 복음의 절정입니다.


2.“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1,38).


아, 마침내 삶의 의미를 발견한 마리아입니다. 마리아의 이 응답이 나오기전 온 우주가 쥐죽은 듯 고요했다는 어디선가 읽은 아오스팅 성인의 주석도 생각납니다. 마리아의 ‘예스Yes’의 응답에 세상 구원 역사의 성패가 달렸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역사적인, 인류역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된 복된 사건입니다. 마리아의 응답이 있었기에 주님의 구원역사도 차질없이 펼쳐질 수 있게 되었으니 하느님도 마리아가 참으로 고마웠을 것입니다. 어느 학자는 이런 마리아를 일컬어 우리가 하느님께 내보일 수 있는 ‘인류의 자부심’이라 했습니다. 


우리가 자주 바치는 삼종기도는 바로 오늘 복음에 근거합니다. 마리아의 응답을 통해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졌듯이 우리를 통해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며 바치는 삼종기도입니다. 마침내 마리아의 순종을 통해서 오늘 제1독서 이사야의 예언이 완전히 실현됨을 봅니다.


“보십시오. 젊은 여인이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할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와 함께 계시기 때문입니다.”(이사7,14ㄴ.10ㄷ).


마리아의 순종의 응답을 통해 하느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 임마누엘 하느님이신 예수님과 영원히 함께 살게 된 우리들입니다. 마리아 성모님을 그대로 닮은 예수님의 순종의 고백도 마리아 성모님의 고백과 일맥상통합니다. 히브리서의 예수님은 시편을 인용해 고백합니다. 바로 오늘 화답송 후렴입니다.


3.“주님, 보소서, 당신 뜻을 이루려 제가 왔나이다.”(시편40,8ㄴ.9ㄱ).


바로 주님께서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평생 화두로 삼아야 할 말씀입니다. 이 ‘뜻’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단 한 번 바쳐짐으로써 우리 모두는 거룩하게 되었고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체험하는 진리입니다. 


예수님은 우리 삶의 원형이자 모범입니다. 바로 예수님처럼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이 우리 삶의 의미이자 목표임을 깨닫습니다.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에 주님께서 우리 모두에게 일깨워 주신 참 귀한 진리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 천사를 통해 우리 각자에게 말씀하십니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께서 너와 함께 계신다.”(루카1,28).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3 성화(聖化)의 여정 -“주님, 저희를 진리로 거룩하게 해 주십시오”-2023.5.24.부활 제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5.24 269
1492 성체성사적 파스카의 사랑과 삶 -기억, 전례, 섬김-2021.4.1.주님 만찬 성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01 125
1491 성체성사적 삶과 회심 -주님과의 일치-2021.4.23.부활 제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23 139
1490 성전정화의 은총 -전우애, 학우애, 형제애의 성김 공동체-2021.5.28.연중 제8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5.28 108
1489 성전정화-기도와 말씀을 통한 주님과의 일치-2016.11.18. 연중 제3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1.18 224
1488 성전정화 -성전정화의 일상화- “하루하후, 날마다, 평생-”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9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마카4,36-37.52-59 루카19,45-48 프란치스코 2023.11.24 160
1487 성전의 정화淨化와 성화聖化 -사랑이 답이다-2021.3.7.사순 제3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3.07 122
1486 성전 정화淨化 -천상낙원의 실현-2016.11.9. 수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6.11.09 142
1485 성전 정화-2015.11.20. 연중 제3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1.20 297
1484 성전 정화 -성체성사의 은혜-2017.11.9. 목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09 119
1483 성전 정화 -끊임없이 정화되고 성화되어야 하는 주님의 집-2017.11.24. 금요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1785-1839)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24 144
1482 성전 정화 “여러분이 바로 하느님의 성전입니다”2024.5.30.목요일 요셉수도원 성전 봉헌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4.05.30 119
1481 성전 정화 -정화淨化와 소통疏通의 중심이신 그리스도-2018.3.4. 사순 제3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3.04 147
1480 성전 정화 -은총의 강, 생명수의 강-2023.5.30.수도원 성전 봉헌 축일(2006년) 프란치스코 2023.05.30 259
1479 성전 정화 -우리가 ‘하느님의 성전’이다-2019.11.9.토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1.09 185
1478 성전 정화 -우리 하나하나도 옹달샘 성전이다-2020.11.9.월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09 93
1477 성전 정화 -우리 삶의 중심인 성전-2018.11.9. 금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1.09 130
1476 성전 정화 -삶의 중심, 삶의 의미인 성전-2023.11.9.목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23.11.09 165
1475 성전 정화 -삶의 중심, 기도와 말씀의 집, 사랑과 평화의 집-2020.11.20.연중 제3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0.11.20 172
1474 성전 정화 -말씀의 은총-2018.11.23.연중 제3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23 118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