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3.27. 사순 제4주간 월요일                                                                             이사65,17-21 요한4,43-54



유토피아의 꿈

-새 하늘과 새 땅-



이사야 예언자의 유토피아의 꿈이 퍽이나 고무적입니다. 새 하늘과 새 땅의 유토피아의 꿈입니다. 이런 유토피아의 꿈이, 비전이, 희망이 있어야 삽니다. 이런 이사야의 유토피아의 꿈을 고스란히 이어받어 사는 이들이 바로 ‘이상주의적 현실주의자’들인 우리 믿는 이들입니다.


다 잃어버려도 이런 유토피아의 꿈을, 희망을 잃어버려선 안 됩니다. 이런 꿈을, 희망을 잃으면 사람은 서서히 무너져 내리고 망가지기 시작합니다. 거칠어지고 짐승이 되어 버립니다. 인간 품위의 상실입니다. 이런 꿈이, 희망이 없는 곳, 바로 거기가 지옥입니다. 그러니 끝까지 지켜내야 할 하늘나라의 꿈, 유토피아의 꿈입니다. 바로 주님은 매일 미사은총으로 우리의 유토피아 하늘나라의 꿈을 새롭게 하고 또 실현시켜 줍니다.


“보라, 나 이제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리라. 예전의 것들은 이제 기억되지도 않고, 마음에 떠오르지도 않으리라. 그러니 너희는 내가 창조하는 것을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보라, 내가 예루살렘을 ‘즐거움’으로, 그 백성을 ‘기쁨’으로 창조하리라.”(이사65,17-18).


바빌론 유배이후 절망의 땅, 예루살렘에 대해 유토피아의 비전을 제시하는 이사야 예언자입니다. 바로 오늘 지금 여기가 예루살렘입니다. 언젠가 실현될 유토피아의 꿈이 아니라 오늘 지금 여기서 실현되기 시작한 유토피아의 꿈입니다. 


매일매일 새 하늘과 새 땅의 유토피아를 살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지금 여기서 '즐거움'의 예루살렘에서 '기쁨'의 백성으로 살아야 합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그렇게 창조해주시기 때문입니다. 이런 우리의 즐거움과 기쁨은 그대로 하느님의 즐거움이자 기쁨이 됩니다.


“나는 예루살렘으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고, 나의 백성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라. 거기에는 며칠 살지 못하고 죽는 아기도 없고, 제 수명을 채우지 못하는 노인도 없으리라.”(이사65,19-20ㄱ).


어떻게 이런 유토피아의 꿈을 살 수 있을까요? 보는 눈을 바꾸는 것입니다.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말씀을 통한 새로운 창조요, 믿음이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오늘 복음은 바로 예수님을 통해 실현되는 유토피아 세상을 보여줍니다. 왕실 관리의 믿음을 본받는 것입니다. 예수님과 왕실관리의 대화를 통해 왕실관리의 순수하고도 집요한 믿음을 봅니다.


-예수님;“너희는 표징과 이적을 보지 않고는 믿지 않을 것이다.”

 왕실관리;“주님, 제 아이가 죽기 전에 같이 내려가 주십시오.”

 예수님;“가거라. 네 아들이 살아날 것이다.”(요한4,48-50ㄱ).-


왕실관리는 예수님께서 자기에게 이르신 말씀을 믿고 떠나갔고 바로 그 순간 그의 아들은 살아났습니다. 하여 그와 그의 온 집안이 믿게 되었다 합니다. 믿는 대로 됩니다. 주님의 말씀을 믿었을 때 새 창조의 기적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은 살아있고 힘이 있습니다. 예나 이제나 하느님은 말씀을 통해 끊임없이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십니다. 


문제는 우리의 믿음입니다. 주님의 말씀을 믿을 때 비로소 회개와 더불어 새 창조의 기적이 일어납니다. 믿음의 눈만 열리면 우리의 삶은 하느님의 선물이자 기적임을 깨닫습니다. 저절로 찬미와 감사의 삶이요 바로 지금 여기서 실현되는 유토피아의 꿈,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입니다. 


언젠가의 유토피아 세상이 아니라 오늘 지금 여기서 우리 모두 살아야 하는 새 하늘과 새 땅의 유토피아 하늘나라입니다. 우리가 매일 평생 끊임없이 바치는 찬미와 감사의 공동 시편 전례 기도와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오늘 지금 여기서 새 하늘과 새 땅의 유토피아 하늘나라를 살게 하십니다.  끝으로 얼마 전 써놓았다 약간 개작한 ‘지상에서 천국을 산다.’라는 시를 나눕니다.


-없어도 있는 듯/어려워도 어렵지 않은 듯 

아파도 아프지 않은 듯/기쁘지 않아도 기쁜 듯 산다

웬만하면 다 지나쳐버린다/담아두지 않는다/물흐르듯 산다

무슨 말을 하랴/징징거리지 않고/추호도 내색하지 않고

그냥 흙되어 깊이 묻혀서 산다/밝고 바르게/자유롭게 자연스럽게 산다

지상에서 천국을 산다.-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3 배움의 여정 -하느님의 은총, 인간의 무지-2018.11.13.연중 제3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11.13 114
1412 자기 훈련(self-discipline) -내적 자유의 지름길-2018.11.12.월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1.12 114
1411 회개의 표징 -가난한 과부, 주님의 마음-2018.11.11.연중 제32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1.11 121
1410 하느님 중심의 삶 -참 아름답고 자유롭고 행복한 삶-2018.11.10.토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1.10 134
1409 성전 정화 -우리 삶의 중심인 성전-2018.11.9. 금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1.09 130
1408 하느님의 기쁨, 우리의 기쁨 -참된 회개-2018.11.8.연중 제3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08 101
1407 주님의 제자가 되기 위한 조건 -자발적 사랑의 버림과 따름-2018.11.7.연중 제3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07 103
1406 시詩같이 아름답고 기품있는 인생 -묘비명 시詩-2018.11.6.연중 제3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11.06 111
1405 모두가 ‘하느님의 선물’이다 -찬미와 감사의 응답-2018.11.5.연중 제3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05 129
1404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하라”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2018.11.4.연중 제31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1.04 162
1403 겸손을 사랑하라 -평생공부-2018.11.3.연중 제30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03 115
1402 깨어, 오늘 지금 여기서, 성인聖人처럼, 천국天國을 살자! -참 중요한 죽음의 귀가歸家준비-2018.11.2.금요일 죽은 모든 이들 기억하는 위령의 날 프란치스코 2018.11.02 171
1401 참된 소원所願 -성인聖人이 되는 것-2018.11.1.목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1.01 129
1400 구원의 생명으로 이끄는 좁은 문 -“하루하루 살았습니다”-2018.10.31.연중 제3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31 134
1399 하느님 나라의 삶 -그리스도 안에서 겨자씨같은, 누룩같은 삶-2018.10.30.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30 162
1398 하느님의 자녀답게, 빛의 자녀답게 -마음, 말, 행동- 1 프란치스코 2018.10.29 157
1397 영원한 화두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해주기를 바라느냐?”2018.10.28.연중 제30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0.28 150
1396 회개와 그리스도의 몸인 공동체 -사랑의 성장, 사랑의 성숙-2018.10.27.연중 제2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8.10.27 115
1395 부르심에 합당한 아름답고 지혜로운 삶 -일치의 삶(관상가), 시대의 징표(예언자)-2018.10.26.연중 제29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26 181
1394 성숙成熟의 여정중에 있는 교회 공동체 -사랑의 불, 창조적 분열, 참평화-2018.10.25.연중 제2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25 140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