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6.20. 연중 제11주간 화요일                                                                         2코린8,1-9 마태5,43-48



원대한 목표

-완전한 사람이 되는 것-



주님의 소원은 무엇인지 아십니까? 우리의 원대한 목표는, 평생과제는 무엇인지 아십니까? 참으로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자녀가 되는 것입니다. 하늘의 우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우리도 완전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아버지의 자녀가 될 수 있겠습니까? 어떻게 해야 완전한 사람이 될 수 있겠습니까?


답은 단 하나 사랑뿐입니다. 사랑이 답입니다. 세상에 태어난 단 하나의 목적은 사랑으로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것, 완전한 사람이 되는 것 하나뿐입니다.세례받았다 하여 하느님의 자녀가 아니라 평생과제의 사랑을 통해 하느님의 자녀가, 완전한 사람이,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가는 것입니다. 


흔히 수도원에 온 것은 무엇을 ‘하기 위해서(to do)’가 아니라 하느님의 사람이 ‘되기 위해서(to be)’ 왔다고 합니다. 그러니 평생 하느님의 사람이 되는 일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 하루하루 하느님의 사람이 되어 가는 것이 바로 우리 수행이 궁극으로 목표하는 바입니다.


예수님은 여덟가지 참 행복에 이어 우리의 의로움이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함으로 하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길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바로 여섯가지 대당명제로 율법의 완성에 이를 수 있는 길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1.성내지도 마라.

2.남의 아내를 탐내지 마라.

3.아내를 소박하지 마라.

4.맹세하지 마라.

5.보복하지 마라.

6.원수도 사랑하여라.


이렇게 여섯가지입니다. 이 모두의 궁극의 답은 사랑뿐임을 깨닫습니다. 오늘은 결론처럼 마지막으로 원수사랑을 다룹니다. 오늘 본기도 역시 오늘 말씀에 잘 어울립니다.


“하느님,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모든 율법의 완성이라고 하셨으니, 저희가 그 사랑의 정신으로 하느님의 계명을 지켜,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소서.”


예수님은 우리 모두에게 궁극의 사랑의 과제를 제시하십니다.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마치 전권의식을 지닌 하느님처럼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사랑하고 박해하는 자들을 위해 기도하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의 마음을 한없이 넓혀 하느님의 사랑에 까지 이르게 하라는 것입니다. 이래야 비로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의 자녀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느님을 닮으라고 하느님의 모상대로 지음받은 우리들입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하느님을 닮을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 사랑뿐입니다. 악인에게나 선인에게나 당신의 해가 떠오르게 하시고, 의로운 이에게나 불의한 이에게나 비를 내려주시는 대자대비大慈大悲하신, 공평무사公平無私하신 하느님의 사랑을 닮으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대한 목표를 두고 평생 사랑공부에 매진邁進하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편협한 이기적 사랑에 낙심하지 말고 늘 새롭게 시작하라는 것입니다. 하느님 사랑에 비하면 우리의 사랑은 영원한 초보자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자각이 우리를 겸손에 이르게 하고 더욱 하느님의 자비를 청하게 합니다. 이런 사랑도 은총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우리를 사랑하는 이들만 사랑한다면 무슨 상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그것은 누구나 합니다. 우리가 자기 형제들에게만 인사한다면, 우리가 남보다 잘하는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이것 역시 누구나 합니다. 한 마디로 살아있는 모든 이들을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의 끼리끼리 사랑을 넘어, 국적, 종교, 인종, 지역, 빈부, 학벌, 계층,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모두를 망라한 사람들을 차별없이 평등히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모두가 하느님의 자녀요 형제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불가에서 말하는 살아있는 모든 피조물인 중생들까지 사랑하는 것입니다. 하느님 보시기에 참 좋았던 세상을 사랑하는 것, 이 또한 하느님의 뜻입니다. 무절제한 난개발과 낭비로 인해 너무 혹사 착취당하는 하나뿐인 지구요, 동물 학대 또한 도를 넘고 있는 오늘의 현실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야 말로 하느님 사랑의 롤모델입니다. ‘그분께서는 부유하시면서도 우리를 위하여 가난하게 되시어, 우리는 그 가난으로 부유하게 되도록 하셨습니다’(2코린8,9ㄴ).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필립비서 2장의 그리스도의 비움 찬가도 맥을 갈이 합니다. 


예수님처럼 사랑을 통한 끊임없는 자기비움의 ‘텅 빈 충만充滿의 사랑’이 진정 자기실현이요 하느님을 닮는 길임을 깨닫습니다. 우리가 이렇게 살 수 있음도 하느님의 끊임없는 자기비움의 텅 빈 충만의 사랑 덕분임을 깨닫습니다. 예전에 써놨던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라는 자작시가 생각납니다.


-커져서/텅빈 공空이 되고

 작아져/흔적없는 무無가 되어/살 수는 없을까

 물러나/하늘 배경이 되고

 내려와/땅 마당이 되어/살 수는 없을까

 참 아름답고 향기로운/무아無我의 삶이겠다/진아眞我의 삶이겠다

 하느님같은 사랑이겠다/하느님은 사랑이시다-1999.12.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하느님의 사랑’이 되어가게 하시며 당신의 소원을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마태5,48).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3 성령을 사랑하십시오 -성령과 믿음-2019.10.19.연중 제2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9 141
1412 성령을 따르는 삶 -회개의 삶-2015.10.24. 연중 제2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4 281
1411 성령에 따른 삶 -무지에 대한 답은 예수님과 미사뿐이다-2019.1.28.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1.28 183
1410 성령에 따른 삶 -기도와 순종-2020.10.17.토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35-11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0.10.17 121
1409 성령께서 하시는 일 “아름다운 삶”2024.5.7.부활 제6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5.07 98
1408 성령께 마음을 열라 -성령의 인도引導 따라 사는 삶-2022.5.24.부활 제6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5.24 199
1407 성령 충만한 하늘 나라 공동체 -성령聖靈과 악령惡靈-2016.10.7. 금요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07 326
1406 성령 충만한 삶 -평화, 전례, 친교, 선교-2023.5.28.성령 강림 대축일(청소년 주일) 프란치스코 2023.05.28 264
1405 성령 예찬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가 답이다-2020.5.19.부활 제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19 136
1404 성독(聖讀;Lectio Divina)의 여정 -내적변화와 풍요로운 부활의 삶-2022.9.17.토요일 성녀 힐데가르트 동정 학자(1098-1179)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17 223
1403 성덕聖德의 소명召命 -혼인, 이혼, 독신-2018.8.17. 연중 제19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7 176
1402 성덕(聖德)의 여정 -진복팔단(The Beatitudes)의 실천- 2023.6.12.연중 제10주간 월요일 ​​​​​​​ 프란치스코 2023.06.12 319
1401 성공적 인생항해(人生航海) 비결-2015.6.21. 연중 제12주일 프란치스코 2015.06.21 287
1400 성가정의 배경; 의인 성 요셉 -우리 모두가 임마누엘입니다-2020.12.18.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0.12.18 100
1399 성가정 교회 공동체- 2015.12.27. 주일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가정 성화 주간) 프란치스코 2015.12.27 431
1398 성가정 교회 공동체 -하느님의 참 좋은 치유와 구원의 선물-2023.12.31.주일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31 137
1397 성가정 교회 공동체 -선택된 사람, 거룩한 사람, 사랑받는 사람답게-2019.12.29. 주일(가정 성화 주간)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2.29 237
1396 성가정 공동체 -중심, 기도, 공존, 사랑-2020.12.27.주일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가정성화주간) 1 프란치스코 2020.12.27 139
1395 성 십자가 예찬 -기도와 회개의 표징이자 구원의 이정표-2020.9.14.월요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14 173
1394 성 베네딕도는 누구인가?-2015.7.11. 토요일 유럽의 수호자 사부 성 베네딕도 아빠스(480-54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7.11 332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