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7.21.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탈출11,10-12,14 마태12,1-8



사랑의 호수

-예수성심의 사랑이 분별의 잣대이다-



두 예화로 강론을 시작합니다. 요즘 계속되는 무더위에 꽤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수도원 정문길을 들어서면 맑게 흐르는 물길이 눈에 띱니다. 약 20일 동안 계속되는 물길입니다. 길 한복판에서 샘물이 솟아 작은 내를 이루어 흐르는 모습입니다. 처음에는 맑은 물이 퐁퐁 솟았는데 요즘 많이 줄기는 했어도 계속 솟아 흐릅니다. 저뿐만 아니라 대부분 형제들이 알고 있습니다.


“정문길 위에 샘물이 솟듯 계속 솟아 흐릅니다. 이런 샘이 우리 마음 안에, 수도원내에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빗물입니다. 좀 지나면 끝날 것입니다. 샘에서 계속 물이 솟는다면 호수도 만들 수 있지요.”


수사님과 말을 주고 받으면서 사랑의 샘, 사랑의 호수에 대해 묵상했습니다. 끊임없이 생명수가 샘솟는 ‘사랑의 샘’, ‘사랑의 호수’같은 우리 마음이라면, 수도공동체라면 참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어제 아침 식사때는 형제들이 만들어준 양파즙에 요쿠르트를 발효시킨 음료수를 마시며 수도공동체의 사랑에 감격했습니다. ‘아, 우리 수도공동체는 마르지 않는 사랑의 샘, 사랑의 호수같구나.’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사실 수도원은 존재자체로 사막같은 세상에 생명의 오아시스, 사랑의 호수같은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떠오른 정지용의 ‘호수’란 시와 제 자작시 ‘나무와 호수’입니다.


-얼굴 하나야 /손가락 두 개로/푹가리지만

 보고싶은 마음/호수만 하니/눈을 감을 수 밖에-


-나무에게/하늘은/가도가도/멀기만 하다

 아예/호수가 되어/하늘을 담자.-


마르지 않는 ‘사랑의 호수’같은 우리 마음입니다. 끊임없이 사랑이 샘솟는 마음이요, 공동체라면 그대로 하늘을 담은 사랑의 호수입니다. 참 좋은 사랑의 공동체는 그대로 사랑의 호수요 사실 공동체의 성원 하나하나는 사랑의 호수같은 마음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것이 진정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최고의 선물입니다.


사랑이 답입니다. 사랑이 분별의 잣대입니다. 사랑이 율법의 완성입니다. 사랑이 절대적 법이요 모든 것은 사랑 앞에 상대화됩니다. 사랑만이 우리를 자유롭고 행복하게 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사건의 발단은 제자들이 안식일에 배가 고파서 밀 이삭을 뜯어 먹음으로 시작됩니다. 


“보십시오. 선생님의 제자들이 안식일에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마태12,2).


안식일법이 분별의 잣대가 된 바리사이들의 문제제기입니다. 바리사이들에게는 제자들의 배고픈 현실보다는 안식일법이 우선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다윗과 그 일행이 사제가 아니면 먹을 수 없는 제사 빵을 먹었던 경우와 안식일에 사제들이 성전에서 안식일을 어겨도 죄가 되지 않는다는 율법의 예를 들면서 다음 말씀으로 논란을 말끔히 정리하십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성전보다 큰 이가 여기에 있다.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지 너희가 알았다면, 죄 없는 사람을 단죄하지 않았을 것이다. 사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마태12,6-8).


사랑은 상식입니다. 비상한 사랑이 아니라 상식적 사랑입니다. 율법을 어기는 것이 죄가 아니라 사랑을 어기는 것이, 사랑에 거슬리는 것이 죄입니다. 주님께서 바라시는 바 자비임을 알 때 결코 죄 없는 사람을 단죄하지 않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성전보다 크신 분이며 안식일의 주인입니다. 분별의 잣대는 안식일법이 아니라, 예수 성심의 사랑입니다. ‘예수님은 어떻게 하셨을까?’ 예수성심의 사랑을 분별의 잣대로 삼는 다면 매사 올바르고 지혜로운 분별일 것입니다. 그러니 사랑의 호수같은 우리 마음이나 공동체는 바로 예수 성심의 사랑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제1독서 탈출기의 주제는 파스카 축제입니다. 이집트의 압제로부터 결정적 해방을 기념하는 파스카 축제입니다.


“이 날이야말로 너희의 기념일이니, 이날 주님을 위하여 축제를 지내라. 이를 영원한 규칙으로 삼아 대대로 축제일로 지내야 한다.”(탈출12,14).


파스카 축제날이 바로 사랑의 호수입니다. 파스카 축제를 지내며 하느님 사랑으로 새롭게 충전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입니다. 구약의 파스카 축제는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로 완성되었습니다. 하여 우리는 부활대축일은 물론 매주일, 아니 매일미사를 통해 주님의 파스카 축제에 참여합니다. 주님은 매일의 파스카 축제의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사랑의 호수가 되어 파스카의 기쁨을 살게하시며 고해인생을 사랑의 축제인생으로 변모시켜 주십니다. 


“내게 베푸신 모든 은혜, 무엇으로 주님께 갚으리오? 구원의 잔 받들고, 주님의 이름을 부르리라.”(시편116,12-13). 아멘.

  • ?
    아녜스 2017.07.21 07:17
    수도공동체 존재 자체가 저희에게는 쉴 만한 물가이고 사랑의 샘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8 평생 공부 -예수님을 알고 나를 아는 공부-2021.8.5.연중 제18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8.05 138
967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삼위일체 하닮의 여정-2021.5.30.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청소년 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5.30 138
966 참 크고 깊고 고요한 분; 성 요셉 -정주, 경청, 순종-2021.3.19.금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3.19 138
965 영원한 회개의 표징이신 예수님 -겸손, 순수, 지혜-2021.2.24.사순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24 138
964 지상에서 하느님의 나라, 천국을 삽시다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2021.1.24.연중 제3주일(하느님의 말씀 주일) 프란치스코 2021.01.24 138
963 우리는 모두 성인입니다 --내 성덕 점수는 얼마나 될까?-2020.11.1.주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01 138
962 영원한 생명의 구원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2020.10.5.연중 제27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05 138
961 하루하루가 좋은 날입니다 -일일시호일-2020.10.3.연중 제2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03 138
960 우리 모두 하느님의 천사들이다 -찬미와 심부름-2020.9.29.화요일 성 미카엘, 성 가브리엘, 성 라파엘 대천사와 모든 거룩한 천사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29 138
959 아름답고 향기로운 떠남 -평화의 선물-2020.5.12.부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12 138
958 예수님처럼! -서로 사랑합시다-2020.1.7.주님 공현 대축일 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7 138
957 영혼의 쉼터 -주님과의 만남과 치유-2019.9.4.연중 제2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4 138
956 사유하라! -예수님이 답이다-2019.6.15.연중 제10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6.15 138
955 지상천국地上天國의 행복한 삶 -믿음, 사랑, 희망-2019.4.7.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4.07 138
954 삶과 전례의 일치 -버림, 따름, 보상-2019.3.5. 연중 제8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05 138
953 그리스도인과 세상 -세상을 사랑하지 마라-2017.12.30.토요일 성탄 팔일 축제 내 제6일 프란치스코 2017.12.30 138
952 평생학생 -서로 사랑하여라-2018.5.14.월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2 프란치스코 2018.05.14 138
951 귀가歸家 준비 -하느님이 미래이자 희망이다-2017.11.22. 수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26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22 138
950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두려움에 대한 답은 예수님뿐이다-2018.8.7. 연중 제18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7 138
949 귀가歸家 준비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2018.5.18. 부활 제7주간 금요일 2 프란치스코 2018.05.18 138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