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9.4. 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테살4,13-18 루카4,16-30



성령의 선물

-늘 푸른 기쁨의 삶-



참 좋은 선물이 기쁨입니다. 기쁨의 서비스입니다. 돈없어도 할 수 있는 참 좋은 선물이 기쁨으로 활짝 피어난 꽃같은 웃음입니다. 어제 방문했던 사제로부터 들은 평범한 이야기들이 깊은 여운으로 남았습니다.


“기쁨으로 사목하는 사제들이 많지 않을 것입니다. 타성에 젖어 직업상 그냥 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알게 모르게 이런저런 죄들이 기쁨을 빼앗아 갑니다. 기쁨의 선물을 빼앗아가는 도둑이 죄입니다. 병원 건강진단검사 받으러 갔을 때 의사들의 태도도 기쁨이 없었고 기계적이었습니다. 얼마나 피곤해 보이던지 제가 의사같았고 의사가 환자같았습니다.”


새삼 기쁨이 얼마나 중요한 선물이지 깨닫습니다. 기쁨 역시 성령의 선물입니다. 성령의 선물인 기쁨을 막는 것이 바로 죄입니다. 성령의 열매이자 선물은 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호의, 선의, 성실, 온유, 절제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막는 법은 없습니다. 참 좋은 성령의 샘에서 샘솟는 참 좋은 덕의 선물들입니다. 성령이 진정한 희망입니다.


비온 후 맑게 소리 내며 흐르는 시냇물은 언제 봐도 마음을 밝고 기쁘게 합니다. 비온 후 수도원 정문앞 길가에서 퐁퐁 맑게 샘솟던 모습도 참 보기 좋았습니다. 늘 맑게 샘솟던 우물이, 늘 맑게 흐르던 시냇물이 말랐을 때의 마음 같다면 참 안타까울 것입니다. 


시냇물은, 샘물은 말라도 우리 마음만은 늘 끊임없이 맑게 흐르는 기쁨의 강같았으면, 맑게 샘솟는 기쁨의 샘같았으면 좋겠습니다. 바로 성령께 마음을 열 때 성령의 선물이 맑게 흐르는 강같은 삶으로 맑게 샘솟는 샘같은 마음으로 바꿔 줍니다. 어제 써놨던 이런 소망이 담긴 글을 나눕니다.


“당신은/언제나 거기 그 자리

 늘 푸른 하늘입니다/늘 푸른 산입니다

 늘 푸른 나무입니다/늘 푸른 바다입니다

 늘 맑게 흐르는 강입니다/늘 맑게 샘솟는 우물입니다

 당신이 되고 싶습니다”


물론 당신이 지칭하는 대상은 주님이십니다. 성령 충만한 삶일 때 주님을 닮아 늘 푸른 삶에 늘 맑게 흐르는 강같은 삶, 늘 맑게 샘솟는 우물같은 삶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의 성령을 충만히 받아 파견되는 예수님의 모습이 그러합니다. 이사야 예언자의 말씀에서 자신의 사명을 발견한 예수님이십니다.


-주님께서 나에게 기름을 부어주시니

 주님의 영이 내 위에 내리셨다

 주님께서 나를 보내시어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

 잡혀간 이들에게 해방을 선포하며

 눈먼이들을 다시 보게 하고

 억압받는 이들을 해방시켜 내보내며 

 주님의 은혜로운 해를 선포하게 하셨다.-


얼마나 아름다운 성령충만한 모습인지요. 그대로 우리에게 실현되는 미사은총이요, 주님과 함께 이런 해방된 모습으로 주님 해방의 일꾼으로 세상에 파견되는 우리들입니다. 다음 주님 말씀은 회당에 있던 이들은 물론 미사에 참석한 우리를 대상으로 합니다.


“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


‘오늘’에 강조점이 있습니다. 참으로 성령을 통해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오늘’ 주님의 미사은총입니다. 예수님의 첫출발은 나자렛 고향에서 배척받으심으로 좌절로 끝나지만 예수님은 실패에 연연하지 않고 그들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미련없이 홀가분한 모습으로 구름처럼, 바람처럼 떠나니 성령 따라 흐르는 자유로운 모습입니다. 


제1독서의 주님의 재림과 죽은 이들의 문제에 대한 바오로의 가르침도 성령의 계시이자 선물입니다. 죽음이 마지막이 아니며 부활의 관문임을 깨닫게 하시니 이 또한 성령의 은총입니다.


“여러분은 희망을 가지지 못하는 사람들처럼 슬퍼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돌아가셨다가 다시 살아나셨음을 믿습니다. 이와 같이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통하여 죽은 이들을 그분과 함께 데려가실 것입니다.---이렇게 하여 우리는 늘 주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이러한 말로 서로 격려하십시오.”


우리는 사나 죽으나 영원히 주님과 함께 하는 늘 푸른 삶입니다. 죽음도 주님과 함께 하는 우리를 갈라놓지 못합니다. 이 또한 성령께서 주시는 깨달음의 선물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과 함께하는 늘 푸른 삶을, 늘 맑게 샘솟는, 늘 맑게 흐르는 기쁨의 삶을 살게 하시며 말씀하십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28,20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4 봉헌의 여정 -사랑의 봉헌, 봉헌의 기쁨, 봉헌의 행복, 봉헌의 아름다움-2020.2.8.토요일 툿징 포교 베네딕도 서울 수녀원 은경축 미사 1 프란치스코 2020.02.08 283
1013 봉헌의 삶 -날마다 성전 봉헌 축일이다-2021.5.29.토요일 요셉 수도원 성전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5.29 185
1012 봉헌생활의 축복 -“제 눈이 주님의 구원을 보았습니다.”-2016.2.2. 화요일 주님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6.02.02 455
1011 봉헌奉獻이 답이다 -봉헌의 생활화生活化-2018.2.2. 금요일 주님 봉헌 축일(봉헌생활의 날) 1 프란치스코 2018.02.02 220
1010 봉헌奉獻의 축복 -봉헌 에찬禮讚- ​​2021.2.2.화요일 주님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2.02 95
1009 봉헌奉獻의 삶 -개안開眼의 여정-2017.2.15. 연중 제6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2.15 122
1008 봉헌奉獻은 허무虛無에 대한 답이다 -봉헌의 축복祝福-2017.2.2. 목요일 주님 봉헌 축일(봉헌생활의 날) 1 프란치스코 2017.02.02 196
1007 봄이 온다 -부활의 희망-2018.3.30. 주님 수난 성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30 166
1006 봄날같은 삶 -신비체험의 일상화日常化-2021.2.28. 사순 제2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2.28 122
1005 본질에 충실한 삶 -중심과 질서-2023.1.11.연중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1.11 200
1004 복음선포자의 삶-2016.4.25. 월요일 성 마르코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16.04.25 217
1003 복음선포의 여정旅庭과 사명使命 -주님, 비전, 도반道伴-2018.10.18.목요일 성 루카 복음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0.18 468
1002 복음선포의 삶 -복음 선포의 자리는 오늘 지금 여기-2018.4.25. 수요일 성 마르코 복음 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4.25 248
1001 복음선포의 삶 -그리스도 닮기-2016.10.23. 연중 제30주일(민족들의 복음화를 위한 미사) 프란치스코 2016.10.23 108
1000 복음선포의 사명 -찬미와 감사, 겸손과 깨어있음-2017.4.25. 성 마르코 복음 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17.04.25 118
999 복음 선포의 선교사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2020.6.11.목요일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11 128
998 복음 선포의 삶 -예수님을 알아가는 참공부-2020.4.18.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18 136
997 복음 선포의 삶 -안으로는 제자, 밖으로는 사도- “기쁜 소식을 전하는 이들의 발이 얼마나 아름다운가!”2023.10.22.연중 제29주일(전교주일) 민족들의 복음화를 위한 미사 프란치스코 2023.10.22 161
996 복음 선포의 삶 -사랑, 겸손, 깨어있음, 믿음-2020.4.25.토요일 성 마르코 복음 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4.25 217
995 복음 선포의 삶 -기도(신비가), 공부(학자), 일(선교사)-2020.10.18.민족들의 복음화를 위한 미사(연중 제29주일;전교주일) 1 프란치스코 2020.10.18 142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