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0.3. 연중 제26주간 화요일                                                                            즈카8,20-23 루카9,51-56



내적순례여정



오늘 복음을 묵상하면서 3년전 산티아고 순례여정이 생각났습니다. 프랑스땅 생장피드포르를 출발해 피레네산맥을 넘어 스페인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이르기까지 장장 800km, 2000리에 이르는 순례길이었습니다. 아마 지금도 그곳에서는 순례자들의 여정은 계속되고 있을 것입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과 제자들의 예루살렘을 향한 순례길에 있었던 일을 보도합니다.


‘하늘에 오르실 때가 차자,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으로 가시려고 마음을 굳히셨다.’


예수님과 제자들은 말 그대로 우리 순례여정공동체를 상징합니다. 산티아고 대신 예루살렘을 향한 순례여정입니다. 예루살렘이 상징하는 바, 우리 믿는 이들의 영원한 본향인 하느님의 도시, 하느님의 집입니다. 즈카르야의 예언이 예수님과 그 일행을 통해, 또 우리를 통해 실현되고 있습니다.


“자, 가서 주님께 은총을 간청하고 만군의 주님을 찾자.”


주님께 은총을 간청하고 만군의 주님을 찾고자 영적 예루살렘과도 같은 이 거룩한 파스카 축제 미사에 참석하고 있는 우리들입니다.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는 순례여정중인 우리에게 다음 말씀도 실감나게 마음에 와 닿습니다.


“우리도 여러분과 함께 가게 해 주십시오. 우리는 하느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계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마치 우리 수도자들을 향한 하느님을 목말라 수도원을 찾는 이들의 내면의 목소리처럼 들립니다. 사실 하느님을 찾는 우리의 순례여정에 함께 하고자 많은 이들이 끊임없이 수도원을 찾습니다. 산티아고나 예루살렘이 상징하는바 우리 인생순례여정의 궁극 목적지인 하느님입니다. 우리 믿는 이들은 모두 순례여정중인 교회공동체에 몸담고 있는 순례자들입니다. 


우리는 목표없는 정적靜的인 공동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우리의 영원한 본향인 하느님의 집을 향한 내적여정중에 있는 역동적力動的공동체입니다. 물도 고이면 썩듯이 순례여정을 멈추고 안주하기 시작하면 공동체는 역동성을 잃고 표류漂流하여 타락하기 십중팔구입니다. 궁극의 하느님 비전을, 예루살렘 목적지를 잊어 버렸을 때 탈선입니다. 


바로 예수님 일행의 순례여정공동체를 맞이하지 않은 사마리아인들에 대한 야고보와 요한의 과격한 반응이 그렇습니다. 잠시 눈이 가려 본질적 목표를 잊어버렸기에 지엽적 사소한 일로 대사大事를 그르치려 합니다.


“주님, 저희가 하늘에서 불을 내려 저들을 불살라 버리기를 원하십니까?”


예수님은 예루살렘 목적지에 대한 선명한 의식으로 깨어 있었기에 지체없이 분별의 지혜를 발휘하십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의 어리석음을 꾸짖으시고 다른 마을을 통해 예루살렘 본연의 순례길에 오르십니다. 예루살렘이 상징하는바 우리의 내적순례여정의 궁극 목적지인 하느님이자 하느님의 집입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하느님의 집을 향해 내적순례여정중에 있습니다. 


제가 자주 드는 비유가 생각납니다. 우리의 평생내적순례여정을 하루로, 또는 일년사계로 압축할 때 어느 시점에 와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끊임없이 흐르는 시간입니다. 과연 내 나이는 오전인가 오후인가, 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어느 철에 속해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를 깊이 묵상하다보면 남은 순례여정에 대한 각오도 새로워질 것입니다.


거룩한 하느님의 도시 예루살렘이 상징하는 바 참 심오합니다. 바로 예루살렘은 예수님의 죽고 부활하신 파스카 신비의 구원의 이루어진 곳입니다. 과정과 목표는 하나입니다. 매일의 거룩한 미사를 통해 예루살렘을 압당겨 살고 있는 우리들입니다. 바로 파스카 미사축제가 벌어지는 오늘 지금 여기가 우리의 궁극 목적지인 영적 예루살렘입니다. 


매일 파스카의 신비를, 파스카의 기쁨을 살게하는 주님의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탈선 없이, 현세의 유혹에 빠짐없이 성공적 내적순례여정의 삶을 살게 합니다. 끝으로 자작 좌우명 애송시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중 한 연으로 강론을 마칩니다.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끊임없이 

하느님 바다 향해 흐르는 강(江)이 되어 살았습니다. 

때로는 좁은 폭으로 또 넓은 폭으로

때로는 완만(緩慢)하게 또 격류(激流)로 흐르기도 하면서

결코 끊어지지 않고 계속 흐르는 '하느님 사랑의 강(江)'이 되어 살았습니다.

하느님은 영원토록 영광과 찬미 받으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8 사람이, 우리의 내면인 마음밭이 문제다 -답은 은총과 수행-2021.7.23.연중 제1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3 141
1047 섬김의 사랑,섬김의 권위 -너희는 모두 형제다-2021.3.2.사순 제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3.02 141
1046 평화의 길 -기도, 회개, 용서-2020.6.25.목요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6.25 141
1045 “위에서, 영에서 태어난 삶” -공동체 기도를 통한 성령충만한 삶-2020.4.20.부활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0.04.20 141
1044 의롭고 신비롭고 거룩한 삶 -하느님과 함께 하는 ‘임마누엘’의 삶-2020.3.27.사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27 141
1043 성령을 사랑하십시오 -성령과 믿음-2019.10.19.연중 제2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9 141
1042 참 기쁜 소식 -“하느님께서 당신 백성인 우리를 찾아 오셨다!”-2019.9.17.화요일 성녀 힐데가르트 동정(1098-1179)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9.17 141
1041 “늘 옛스런, 늘 새로운 파스카의 삶” -Ever old, ever new-2019.6.29.토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6.29 141
1040 단 하나의 所願 -영원한 현역의 주님 전사戰士로, 학인學人으로 사는 것-2019.6.20.연중 제1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6.20 141
1039 깨어 있어라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2018.10.24.연중 제29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24 141
1038 진리의 영 -성령이 답이다-2018.5.9. 부활 제6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8.05.09 141
1037 “나를 따라라.” -회개한 죄인罪人, 치유받은 병자病者-2018.2.17.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7 141
1036 살아계신 주님과의 만남 -치유와 자유, 찬양과 기쁨-2017.10.30.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30 141
1035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구원의 길-2017.8.11. 금요일 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11 141
1034 인간이란 무엇인가?-관상가, 시인, 신비가--2017.2.7. 연중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2.07 141
1033 신神의 한 수手 -의인義人 요셉-2016.12.18. 대림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6.12.18 141
1032 지상에서 천상天上의 삶을-2016.11.16. 수요일 성녀 제르트루다(1256-1302) 동정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16 141
1031 지혜롭고 겸손한, 부요하고 자유로운 삶-2016.9.1. 연중 제2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9.01 141
1030 최후심판의 잣대-2016.2.15. 사순 제1주간 프란치스코 2016.02.15 141
1029 삶의 중심 -중심, 정주, 성숙-2015.8.17. 연중 제2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8.17 141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