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1.9. 목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에제47,1-2.8-9.12 요한2,13-22



성전 정화

-성체성사의 은혜-



요즘 수도원에 피정 오시는 분들에게 자주 드리는 말씀입니다.


“여러분은 축복받으신 분들입니다. 여러분은 가장 아름다운 계절, 가장 아름다운 날, 가장 아름다운 곳 주님의 집에 가장 아름다운 분, 주님을 만나러 오셨습니다. 이제부터 가장 아름다운 분 주님을 만났으니 주님을 닮아 아름답게 사셔야 합니다.”


수도원은 흔히 주님의 집이라 부릅니다. 고향집을 찾듯이 많은 이들이 수도원을 찾습니다. 영혼의 보금자리, 영혼의 고향집 같은 수도원입니다. 수도원을 찾는 많은 자매들이 이구동성의 말들은 친정집에 온 듯 마음이 편하다는 것입니다. 


“주님의 집에 가자할 제 나는 몹시 기뻤노라.”

산티아고 순례시, 늘 끊임없이 흥겹게 노래했던 시편 짧은 기도입니다.


“주님의 집에 사는 자, 얼마나 행복되리.”

성가정 축일 미사때 화답송 후렴 역시 자주 노래하는 시편구절입니다.


“만군의 주님이여, 계시는 곳, 그 얼마나 사랑하오신고.

 그 안이 그리워, 내 영혼 애태우나이다.

 실로 당신의 궐내라면, 천날보다 더 나은 하루,

 악인들의 장막 안에 살기보다는,

 차라리 하느님 집 문간에 있기 소원이니이다.”(시편84장 참조).


주님의 집을 그리워하는 심정이 구구절절 잘 표현된, 역시 제가 좋아하는 시편입니다. 주님을 사랑하는 이들은 주님을 사랑하듯 주님의 집인 성전을, 성전안에서 끊임없이 거행되는 미사전례를 사랑합니다. 믿는 이들 삶의 가시적 중심이 성전이자 미사전례입니다.


우리들은 주님의 집인 성전을 통해, 주님의 미사전례를 통해 사랑하는, 살아계신 주님을 만납니다. 또 이런 주님을 만나야 살 수 있고, 비로소 영혼의 위로와 치유, 정화와 성화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오늘 복음에서 주님의 성전정화 사건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주님은 끈으로 채찍을 만드시어 양과 소와 함께 그들을 모두 성전에서 쫓아내시고 환전상들의 돈을 쏟아 버리시고, 비둘기 파는 자들에게는, “이것들을 여기서 치워라. 내 아버지의 집을 장사하는 집으로 만들지 마라.”하고 이르십니다. 제자들은 “당신 집에 대한 열정이 저를 집어 삼킬 것입니다.”라는 성경에 기록된 말을 상기합니다.


성전정화사건에 이은 유다인들의 항의에 대한 주님의 다음 말씀이 오늘 복음의 핵심입니다.


“이 성전을 허물어라, 그러면 내가 사흘 안에 다시 세우겠다.”


주님께서 성전이라 하신 것은 당신 몸을 두고 하신 말씀이었고 부활후에야 비로서 제자들은 이를 깨닫습니다. 바로 이 거룩한 성체성사를 통해 이뤄지는 주님의 몸인 성전입니다. 미사가 거행됨으로 우리가 주님의 한 몸을 이루기에 보이는 성전도 비로소 주님의 집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미사의 은혜가 참으로 큽니다. 미사의 은총으로 보이는 가시적 성전은 물론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와 더불어 각자 성전인 우리도 정화되고 성화되기 때문입니다. 오늘 에제키엘서의 말씀대로 세상 역시 하느님의 은총, 미사의 은총으로 살아갑니다. 미사은총이 흡사 세상을 향해 끊임없이 흘러가는 ‘은총의 강’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이 강이 흘러가는 곳마다 온갖 생물이 우글거리며 살아난다. 이 물이 닿는 곳마다 바닷물이 되살아나기 때문에, 고기도 많이 생겨난다. 이렇게 이 강이 닿는 곳마다 모든 것이 살아난다.”(에제47,9)


이런 하느님 은총, 미사 은총으로 세상은 살아나고 주님의 몸인 교회공동체도, 더불어 주님의 성전인 우리 각자도 끊임없이 정화되고 성화되며, 성장하고 성숙되어 갑니다. 바오로 사도 역시 우리 모두 각자가 주님의 성전임을 환기시킵니다.


“여러분이 하느님의 성전이고 하느님의 영께서 여러분 안에 계시다는 것을 모릅니까? 누구든지 하느님의 성전을 파괴하면 하느님께서도 그자를 파멸시키실 것입니다. 하느님의 성전은 거룩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바로 하느님의 성전입니다.”(1코린3,16-17)


이어지는 바오로 사도의 다음 같은 맥락의 말씀도 감동적입니다.


"여러분의 몸이 여러분 안에 계시는 성령의 성전임을 모릅니까? 그 성령을 여러분이 하느님에게서 받았고, 또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의 것이 아님을 모릅니까? 하느님께서 값을 치르고 여러분을 속량해 주셨습니다. 그러니 여러분의 몸으로 하느님을 영광스럽게 하십시오,"(1코린6,19-20)


우리 하나하나가 주님의 거룩한 성전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세상을 살리시고 당신의 성전인 우리를 정화하시고 성화하십니다. 바로 오늘 에제키엘서 마지막 아름다운 말씀이 주님의 미사은혜의 풍부함을 상징합니다. 흡사 잃었던 에덴동산을 찾은 듯 합니다. 아니 한층 업그레이드 된, 우리의 영원한 꿈이자 비전인 복락원復樂園 에덴 동산을 보는 듯 합니다.


“이 강가 이쪽저쪽에는 온갖 과일나무가 자라는데, 잎도 시들지 않으며 과일도 끊이지 않고 다달이 새 과일을 내놓는다. 이 물이 성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그 과일은 양식이 되고 잎은 약이 된다.”(에제47,12)


우리의 영원한 생명의 양식이 되고 약이 되는 이 거룩한 성체성사의 은총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8 모두가 하느님 손안에 있다 -의연毅然히, 묵묵히默默히, 충실充實히, 항구恒久히-2018.8.2. 연중 제1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2 157
1987 슬기로운 삶 -주님과 앎의 깊이-2018.8.31. 연중 제2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31 157
1986 비우고 비워 하늘이 되고 싶다 -사랑, 지혜, 기쁨-2018.1.15. 월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의 제자 성 마오로와 쁠라치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1.15 157
1985 하느님의 자녀답게, 빛의 자녀답게 -마음, 말, 행동- 1 프란치스코 2018.10.29 157
1984 어떻게 살 것인가? -문제와 답도 내안에 있다-2019.1.30. 연중 제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30 157
1983 참 행복한 예닮 삶의 여정 -신뢰, 기도, 비움-2019.4.14. 주님 수난 성지 주일 루카19,28-40 1 프란치스코 2019.04.14 157
1982 파스카의 기쁨 -사랑하라, 함께하라, 천상의 것을 추구하라-2019.4.21.주님 부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9.04.21 157
1981 영원한 반려자 -주님과의 영적 우정-2019.7.22.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7.22 157
1980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예수님의 제자답게-2019.9.8.연중 제23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9.08 157
1979 이탈의 여정 -사랑의 이탈, 이탈의 자유-2019.10.2.연중 제26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02 157
1978 무욕의 행복 -믿음이 답이다-2019.10.21.연중 제29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21 157
1977 빛 속에서의 삶 -끊임없는 회개가 답이다-2019.12.28.토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2.28 157
1976 믿음과 실천 -자기 버림, 제 십자가, 주님 따름-2020.2.21.연중 제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21 157
1975 떠남의 여정, 파스카 여정 -만남, 축복, 도반, 약속, 말씀, 떠남-2020.3.8.사순 제2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08 157
1974 하느님 사랑의 승리 -알렐루야, 예수님께서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2020.4.11.주님 부활 대축일; 토요일 파스카 성야 미사 ​​​​​​​ 1 프란치스코 2020.04.11 157
1973 날마다 새로워지고 깊어지는 영적 삶 -늘 처음처럼, 마지막처럼-2020.7.23.연중 제16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7.23 157
1972 주님의 착하고 성실한 종의 삶 -전례와 삶-2020.11.18.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18 157
1971 두려워하지 마라 -주님은 늘 우리와 함께 계신다-2021.7.10.연중 제1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0 157
1970 영적 승리의 삶 -예수님 모범, 예수님 사랑, 예수님 추종-2021.8.10.화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25-258)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8.10 157
1969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파스카 예수님의 사랑밖엔 답이 없습니다- 2021.9.9.연중 제23주간 목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9.09 157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