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1.25. 연중 제33주간 토요일                                                                         1마카6,1-13 루카20,27-40



영원한 삶

-지금 여기서부터-



후회할 것 없습니다. 지금 여기서부터 영원한 삶을 살면 됩니다. 바로 주님 부활체험이 지금 여기서부터 영원한 삶을 살게 합니다. 이런 영원한 삶의 체험없이 맞이하는 죽음은 얼마나 당황스러울까요. 아주 예전에 읽은 일화가 생각납니다. 죽어 수의를 곱게 차려 입힌 친구의 시신을 접한 분의 탄식입니다.


“옷은 잘 차려 입었는데 갈 곳이 없구나!”


아마 세상 재미에 빠져 살다가 준비 없이 허무하게 죽음을 맞이한 친구에 대한 안타까운 탄식이겠습니다. 세례받으니 부를 '하느님' 이름 있어 좋다는 어느 분의 고백도 생각납니다. 죽음을 앞두고 이름 부르며 기도할 대상이 없을 때 얼마나 암담하겠는지요. ‘갈 곳이 없다!’ 바로 죽음을 앞둔 이들이 당황해 하는 것은 이런 절망감의 반영입니다. 이렇게 희망없이 맞이하는 죽음도 참 많을 것입니다. 오늘 제1독서 마카베오 상권에서 죽음을 맞이한 안티오코스 임금의 심정이 그러할 것입니다.


“내 눈에서는 잠이 멀어지고 마음은 근심으로 무너져 내렸다네.---내가 예루살렘에 끼친 불행이 생각나네.---그 때문에 나에게 불행이 닥쳤음을 깨달았네. 이제 나는 큰 실망을 안고 이국땅에서 죽어 가네.”


부귀영화를 맘껏 누리다가 이렇게 맞이하는 죽음이라면 얼마나 허망하겠는지요. 참 외롭고 쓸쓸해 보입니다. 누구나 맞이하는 철회할 수 없는 죽음입니다. 과연 말 그대로 주님께 희망을 두고 활짝 열린 마음으로 기쁘게 죽음을 맞이할 자, 얼마나 되겠는지요. 얼마전 단풍 찬란하던 가을 날의 순간적 체험도 잊지 못합니다. 저에겐 하나의 계시와도 같았습니다.


주일 미사 집전중 출입구 살짝 열린 문틈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정원의 단풍빛 황홀하던 순간적 모습입니다. 흡사 ‘현실의 창’이 순간 열리면서 쏟아져 내린 영원의 빛처럼 느껴졌습니다. ‘아, 하늘나라의 영원한 아름다움은 이런 것이겠구나!’ 하는 깨달음도 깊이 각인되었습니다. 순간 하늘나라 체험을 한 듯 기쁨 가득한 마음이었습니다. 바로 오늘 복음에서 주님은 부활후 내세 삶의 비밀을 환히 알려주십니다. 하여 주님은 부활논쟁을 말끔히 매듭짓습니다.


“이 세상 사람들은 장가도 들고 시집도 간다. 그러나 저 세상에 참여하고 또 죽은 이들의 부활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고 판단받는 이들은 더 이상 장가드는 일도 시집가는 일도 없을 것이다. 천사들과 같아져서 더 이상 죽는 일도 없다. 그들은 또한 부활에 동참하여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


주님 부활체험의 사람들은 죽어서가 아니라 이미 지금 여기서 부활의 영원한 삶을 앞당겨 삽니다. 이미 부활에 동참하여 하느님의 자녀가 됩니다. 그대로 세례성사, 성체성사의 은총입니다. 정말 이런 부활체험으로 하느님의 자녀로 살 때 천사들과 같아져서 참으로 자유로운 삶일 것입니다. 이미 지금 여기서 삶과 죽음을 넘어 영원한 삶을 살고 있기에 죽음의 두려움도 없어 평화로운 선종의 죽음도 맞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님은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입니다. 사실 하느님께는 모든 사람이 살아있는 것입니다. 사람 눈에 죽음이지 하느님 눈에는 모두가 당신 안에 살아있는 사람들입니다. 살아계신 하느님입니다. 살아있을 때 주님을 만나 주님 안에서 영원한 부활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의 구원자 그리스도 예수님은 죽음을 없애시고, 복음으로 생명을 환히 보여 주셨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 우리 모두 하느님의 자녀답게 영원한 부활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주님이 얼마나 좋으신지 너희는 맛보고 깨달아라. 행복하여라, 주님께 바라는 사람!”(시편34,9).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68 삶은 선택이다 -선택의 은총, 선택의 자유, 선택의 지혜-2023.2.23.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2.23 282
2967 의인이, 성인이 되는 길 -지혜, 선택, 훈련-2023.2.12.연중 제6주일 프란치스코 2023.02.12 282
2966 떠남의 여정 -참 아름답고 멋진 사부 성 베네딕도-2019.3.21.목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480-547) 별세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3.21 282
2965 기쁨의 여정 -주님과 함께 하는 사랑의 기쁨-2023.5.20.부활 제6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5.20 281
2964 하느님만을 찾는 신망애(信望愛)의 삶 -무지(無知)와 허무(虛無)에 대한 답은 ‘진리의 영’, 성령뿐이다-2023.5.17.부활 제6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5.17 281
2963 더불어(Together) 따름의 여정 -끊임없는 회개-2023.2.25.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2.25 281
2962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 -깨달음의 여정-2023.2.14.화요일 성 치릴로 수도자(827-869)와 성 메토디오 주교(820-88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2.14 281
2961 사랑의 지혜 -“죄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2023.3.27.사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7 281
2960 성령을 따르는 삶 -회개의 삶-2015.10.24. 연중 제2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4 281
2959 믿음은 무엇인가?--믿음의 전사戰士-2015.10.17. 토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순교자(35-11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10.17 281
2958 “내 사랑안에 머물러라” -지상천국의 삶, 사랑은 분별의 잣대-2023.5.11.목요일 성 오도, 성 마욜로, 성 오딜로, 성 후고, 복자 베드로 베네라빌리스와 클뤼니 수도원의 아빠스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5.11 280
2957 더불어(together) 순례 여정 -영원한 도반인 주님과 형제들과 함께-2023.5.3.수요일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23.05.03 280
2956 위로부터, 영에서 태어난 사람들 -하느님의 나라-2023.4.17.부활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7 280
2955 개안開眼의 여정 -무지無知에 대한 답答은 주님과의 만남뿐이다-2022.11.14.연중 제33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11.14 280
2954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늘 나라를 삽시다 -초대받은 손님들이 되어-2022.8.18.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8.18 280
2953 “이렇게 살고 싶다!” -“늘 옛스럽고, 늘 새롭게(Ever old, ever new)!”-2018.6.29. 금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6.29 280
2952 신비관상체험-사랑, 기도, 말씀, 침묵-2016.8.6. 토요일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프란치스코 2016.08.06 280
2951 삶의 중심-2015.9.24. 연중 제2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9.24 280
2950 주님의 부르심에 합당한 삶-2015.7.26. 연중 제17주일 프란치스코 2015.07.26 280
2949 올바로 ‘보는 눈(觀)’ -하느님 중심의 올바른 공동체관(共同體觀)-2023.8.16.연중 제19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6 279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