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1.8. 월요일 주님 세례 축일                                                                              이사42,1-4.6-7 마르1,7-11



평화의 복

-하느님의 종, 하느님의 자녀-



우리의 세례를 묵상하는 주님의 세례 축일 입당성가 가톨릭 성가 1장도 은혜로웠습니다.


"나는 굳게 믿나이다/진실하신 주님 말씀/성세 때에 드린 맹세 충실하게 지키리다

 주께서 나를 택하시여 교회로 부르시니/진심감사하나이다."


오늘 성탄시기 마지막 축일인 주님 세례 축일의 화답송 후렴 가사와 곡 역시 참 흥겹고 은혜로웠습니다.


“하느님이 당신 백성에게 평화의 복을 주시리라.”(시편29,11ㄴ).


복중의 복이, 가장 좋은 복이 평화의 복입니다. 주님은 세례성사에 이어 매일의 이 거룩한 성체성사를 통해 당신의 종이자 자녀들인 우리 모두에게 평화의 복을 주십니다.


어제 주님 공현 대축일에 이어 오늘 주님 세례 축일로서 성탄시기가는 끝나고 내일부터는 연중시기가 시작됩니다. 바야흐로 예수님의 공생애가, 우리의 평범한 일상이 시작됩니다. 오늘 예수님의 세례를 통해 우리의 세례를 묵상하게 됩니다. 감히 ‘예수님의 세례는 우리의 세례다’ 말하고 싶습니다.


우리 역시 세례를 통하여 예수님 닮기가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에게 세례를 주신 세례자 요한의 겸손이 두드러집니다. 예수님의 정체를 누구보다 잘 알았던 세례자 요한의 선포입니다.


“나보다 더 큰 능력을 지니신 분이 내 뒤에 오신다. 나는 몸을 굽혀 그분의 신발끈을 풀어 드릴 자격조차 없다. 나는 너에게 물로 세례를 주었지만, 그분께서는 너희에게 성령으로 세례를 주실 것이다.” 


참으로 ‘예수님이 누구신가?’하는 예수님 공부는 우리의 평생공부임을 깨닫습니다. 예수님이 얼마나 큰 능력을 지니셨는가는 광야에서의 사탄을 물리치는 모습에서 또 공생애 동안의 활동을 통해서 입증됩니다. 바로 이런 분께서 요르단에서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시니 겸손의 극치입니다.


겸손한 예수님에게 쏟아지는 하늘 은총이요 하느님 아버지의 신비체험입니다. 예수님께서 물에서 올라 오실 때 하늘이 갈라지며 성령께서 비둘기처럼 예수님께 내려오시는 것을 보시니 하늘과 땅, 하느님과 인간의 소통과 일치를 상징하는 은혜로운 장면입니다. 마침내 예수님의 세례를 통해 활짝 열린 하늘길, 하늘문이 되었습니다.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예수님의 신원이자 세례 받아 예수님과 하나됨으로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의 은혜로운 신원도 계시됩니다. 이제 우리 역시 하느님께서 사랑하는 자녀들이요 하느님 마음에 드는 자녀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닮아감으로 하느님의 사랑받는 자녀답게, 하느님 마음에 드는 자녀답게 살아야 하는 과제를 부여 받은 우리들입니다.


하느님의 자녀라는 우리의 신원이 참 자랑스럽습니다. 새삼 하느님의 자녀는 은총의 선물이자 과제임을 깨닫습니다. 세례 받았다 하여 하느님 자녀로서의 완성이 아니라 평생수행의 평생과제로 우리에게 부여되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자녀가 되는 것은 우리 인생의 궁극목표이며 이보다 중요한 과제도 없습니다. 


이사야 예언자의 말씀이 그대로 예수님의 세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습니다. 예수님뿐 아니라 세례를 통해 예수님과 하나된 우리의 신원도 환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예수님과 더불어 우리 또한 주님의 종입니다.


“여기에 나의 종이 있다. 그는 내가 붙들어 주는 이, 내가 선택한 이, 내 마음에 드는 이다. 내가 그에게 나의 영을 주었으니, 그는 민족들에게 공정을 펴리라.”


예수님은 물론 세례성사를 받아 파스카의 예수님과 하나된 우리 모두에게 주시는 말씀이며, 매일의 이 거룩한 성체성사를 통해 주님의 종이자 자녀로서의 우리의 은혜로운 신원을 확인하는 우리들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이 이사야 예언자를 통해 우리에게 주어집니다. 온유하고 겸손하며, 고요하고 조용하며, 섬세하고 자비로우며, 배려하고 존중하는 주님의 종, 주님의 자녀로서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끊임없는 회개를 통해 닮아가야할 예수님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그는 외치지도 않고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으며, 그 소리가 거리에서 들리게 하지 않으리라. 그는 부러진 갈대를 꺾지 않고, 꺼져가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라. 그는 지치거나 기가 꺾이는 일 없이 성실하게 공정을 펴리라.”


주님께서 주시는 평화의 복이 이렇게 살 게 합니다. 공정과 정의가 자비임을 깨닫습니다. 관상과 활동이 하나된 외유내강의 참된 신비가, 관상가의 면모를 봅니다. 그대로 예수님의 삶을 통해서 실현된 이상적 인간상이요 우리를 통해 실현되어야 할 모습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를 의로움으로 부르고 우리 손을 붙잡아 주시며 세상의 빛이 되게 하십니다. 예수님은 물론 우리에게 부여되는 거룩한 사명입니다.


“보지 못하는 눈을 뜨게 하고, 갇힌 이들을 감옥에서,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이들을 감방에서 풀어 주기 위함이다.”


바로 우리를 불러주신 궁극의 목적이 여기 있음을 봅니다. 주님은 우선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의 보지 못하는 눈을 뜨게 하고, 자기 안에 갇힌 우리를,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우리를 해방시켜 빛의 자녀가, 참자유인이 되게 하십니다. 


“주님, 저희가 성자의 말씀을 충실히 따르며, 언제나 하느님 마음에 드는 참된 자녀로 살아가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9 주님의 초대, 주님의 환대 -영원한 안식처-2021.7.15.목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8-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1.07.15 161
988 주님의 충복忠僕 -묵묵히, 충실히, 항구히-2019.11.12.화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1.12 195
987 주님의 파스카의 삶 -어둠에서 빛으로, 아픔에서 기쁨으로-2019.5.15.수요일 성 파코미오 아빠스(290-34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5.15 172
986 주님의 평생 전사 -주님과 함께 영적승리의 삶을 삽시다-2024.1.22.연중 제3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1.22 163
985 주님이 좋아하시는 참된 단식 -사랑과 정의-2019.3.8.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08 249
984 주님처럼 우리 모두 영원한 표징이 되어 삽시다 -구원, 회개, 희망, 겸손-2021.7.25.연중 제17주일(제1차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7.25 143
983 죽음을 배웁시다 -진리, 순종, 비움-2019.4.19. 주님 수난 성금요일(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9.04.19 232
982 죽음의 길, 생명의 길-2017.2.17. 연중 제6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2.17 122
981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사의 은총과 축복 “하느님은 사랑이시다”2024.6.2.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4.06.02 85
980 지금이 구원의 기회다 -명분名分과 실리實利- 프란치스코 2017.11.23 146
979 지금이 마지막 때입니다 -이제 다시 시작입니다-2015.12.31.목요일 성탄 팔일 축제 내 제7일 프란치스코 2015.12.31 350
978 지금이 바로 구원의 때입니다 -과거를 묻지 않는 하느님-2018.2.23. 사순 제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3 158
977 지도자들은 물론 사람들의 필수 덕목 -섬김과 배움, 자비와 지혜-2024.2.3.연중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3 130
976 지상 순례 여정중인 -이상적 천상 교회 가정 공동체-2023.5.7.부활 제5주일(생명 주일) 프란치스코 2023.05.07 276
975 지상 천국天國의 삶 -“두려워하지 마라”-2020.12.10.대림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0.12.10 121
974 지상 천국天國의 삶 -착하고 성실한 삶;사랑, 지혜, 깨어있음, 책임-2020.11.15.연중 제33주일(세계 가난한 이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11.15 103
973 지상 천국의 온전한 삶 -하느님 중심의 정주(定住)와 믿음과 사랑-2024.1.29.연중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1.29 159
972 지상地上에서 천국天國을 삽시다 -배움, 싸움, 깨어 있음-2019.12.1.대림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12.01 129
971 지상地上에서 천상天上의 삶을 -초월적 거점의 확보-2015.11.18. 연중 제3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11.18 225
970 지상에서 천국天國의 삶 -주님의 초대는 선물이자 과제이다-2023.11.7.연중 제31주간 프란치스코 2023.11.07 153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