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9. 연중 제4주간 월요일                                                                 2사무15,13-14.30;16,5-13ㄱ 마르5,1-20



삶의 중심中心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



평범해 보이나 가장 중요한 말마디가 중심입니다. ‘중심이 없다’, ‘중심이 약하다’, ‘중심을 잃다’, ‘중심을 잡다’ 등 자주 듣는 말마디입니다. 사제생활 초기부터 강론에 자주 등장한 주제 역시 중심입니다. 삶의 어려움이나 비극은 대부분 삶의 중심을 잃음에서 기인합니다.


국어사전에서 중심의 뜻을 찾아 봤습니다. ‘1.사물의 한가운데가 되는 곳, 2.매우 중요한 기본이 되는 부분, 3.주관이나 줏대’ 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삶의 중심은 ‘그리스도’ 또는 ‘하느님’이라 고백합니다. 요즘 많이 보급된 향심기도(centering prayer) 역시 하느님 중심을 향하는 기도라는 뜻입니다.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라는 바오로의 고백은 제 사제서품 25주년 은경축 상본의 성구이자 제 좌우명이기도 합니다. 바로 그리스도가 제 삶의 중심이라는 고백입니다. 이 성구를 잊지 못함은 제 동창 사제의 고백 때문입니다. 


“성소가 흔들릴 때마다 이 성구를 생각하고 짐을 풀었습니다. ‘그리스도’대신 다른 말마디, ‘여자’ ‘돈’ ‘지위’ ‘명예’ 등 무슨 말을 넣어도 마음이 허전했습니다. ‘그리스도’를 넣어야 마음이 꽉 차는 느낌에 편안했습니다. 하여 서품 제의도 이 성구를 디자인한 무늬를 넣었습니다.”


수십년이 지났어도 생생히 기억하는 강론에도 수차례 인용했던 예화입니다. 오늘 복음의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과 제1독서 사무엘 하권의 ‘다윗’이 좋은 대조를 이룹니다. 전자는 중심을 잃은 사람이고 후자 다윗은 중심이 확고한 사람입니다.


중심을 잃었을 때 누구나의 가능성이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입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이 있어야 할 중심에 더러운 영이 자리 잡았을 때 비참한 내적분열의 인간으로의 전락轉落입니다. ‘미쳤다’는 것은 완전히 중심을 잃었다는 뜻입니다. 중심이신 그리스도를 잃는 것은 동시에 참나를 잃는 것을 뜻합니다. 급기야 사람에서 괴물怪物이나 폐인廢人으로의 전락입니다.


중심을 잃었을 때 더러운 영이 들려 고립단절의 삶이요, 또 고립단절의 삶이 중심을 잃게 합니다. 더러운 영이 상징하는 바 소외로 인한 우울증, 치매등 온갖 정신질환입니다. 마을이, 가족이 사라지는 세태에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일수록 삶의 중심을 잡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그는 무덤에서 살았는데, 어느 누구도 더 이상 그를 묶어 둘 수가 없었다. 이미 여러 번 족쇄와 쇠사슬로 묶어 두었으나, 그는 쇠사슬도 끊고 족쇄도 부수어 버려 아무도 그를 휘어잡을 수 없었다. 그는 밤낮으로 무덤과 산에서 소리를 지르고 돌로 제 몸을 치곤 하였다.”


바로 이게 지옥입니다. 고립단절되었을 때 인간 누구나의 가능성입니다. 중심을 잃어 미쳤을 때 괴물怪力의 괴물怪物로 전락한 인간의 모습입니다. 참 사람으로 산다는 것은 얼마나 지난한 수행을 필요로 하는지요! 마침내 삶의 중심이신 주님을 만나 중심을 회복함으로 제정신으로 돌아가 복음선포자가 된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입니다. 


“집으로 가족들에게 돌아가, 주님께서 너에게 해주신 일과 자비를 베풀어 주신 일을 모두 알려라.”


더러운 영의 중심 자리에 주님이 자리잡음으로, ‘괴물’에서 ‘사람’으로 돌아 와 회복된 관계속에서 복음 선포자의 정상인으로 살게 된 더러운 영이 들렸던 사람입니다. 


치유보다는 예방이 백배 낫습니다. 평소 삶의 중심이신 주님을 늘 확인하고 날로 신망애信望愛 관계를 깊이하는 것이 유비무환의 지혜입니다. 이래야 더러운 영의 유혹에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 누구 그 무엇도, 아무리 사랑스런 반려견, 반려식물도 삶의 중심이신 주님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제1독서에서 반란자 아들 압살롬을 피해 달아나는 다윗의 처지는 얼마나 비참한지요!


‘다윗은 올리브 고개를 오르며 울었다. 그는 머리를 가리고 맨발로 걸었다. 그와 함께 있던 이들도 모두 제 머리를 가리고 울면서 계속 올라갔다.’


죄는 용서받았지만 죄에 대한 보속으로 고난의 행군이 시작된 다윗의 처지가 불행의 극치입니다. 이런 고난의 수행을 통해 비우고 비워져 겸손을 배우는 다윗입니다. 이런 비참한 극한 상황의 시련 중에서도 다윗이 더러운 영이 들려 미치지 않을 수 있었음은 확고한 하느님 중심 때문이었습니다. 사울 집안의 친척 가운데 한 사람인 시므이의 저주에 대한 다윗의 대응에서 그의 하느님 중심의 확고한 믿음이 잘 드러납니다.


“내 배 속에서 나온 자식도 내 목숨을 노리는 데, 하물며 이 벤야민 사람이야 오죽 하겠소? 주님께서 그에게 명령하신 것이니 저주하게 내버려 두시오. 행여 주님께서 나의 불행을 보시고, 오늘 내리시는 저주를 선으로 갚아 주실지 누가 알겠소.”


이런 극한적 수모의 상황 속에서 다윗의 무한한 인내와 여유와 낙관, 모두가 하느님 중심의 확고한 믿음에서 기인함을 깨닫습니다. 이런 하느님 중심의 확고한 믿음이 있었기에 다윗은 이런 극한 상황의 고난을 겸손과 믿음의 수련으로 삼아 잘 통과했습니다. 


호랑이 한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했습니다. 어떤 상황속에서도 중심만 잃지 않으면 삽니다. 더러운 영도 침입하지 못합니다. 늘 그리스도가, 하느님이 삶의 중심이 될 때, 공동체는 물론 각자는 내적일치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평생 끊임없이 정성껏 바치는 미사와 시편공동전례기도는 ‘일치의 중심’이신 주님과의 신망애 관계를 깊이하는 참 고마운 수행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안팎의 더러운 모든 영들을 몰아내시고 당신 중심의 내적일치의 참 사람, 하느님의 자녀로 살게 하십니다. 아멘.


  • ?
    안젤로 2018.01.29 11:30
    항구한 믿음만이 우리 삶에 중시을 주님으로 할 수있습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4 참으로 행복하게 살고 싶습니까? -찬미, 기억, 순종, 추종-2018.8.26. 연중 제21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26 119
1333 무엇이 본질적인 삶인가? -하느님 중심의 삶-2018.8.25. 연중 제20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8.08.25 102
1332 만남의 여정 -살아계신 주님과 늘 새로운 만남-2018.8.24. 금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8.24 123
1331 축제祝祭인생이냐 또는 고해苦海인생이냐? -삶은 축제祝祭이다-2018.8.23.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8.23 163
1330 하늘 나라의 삶 -자비가 답이다-2018.8.22. 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22 149
1329 하느님이 답이다 -영원한 삶의 모델이신 예수님-2018.8.21. 화요일 성 비오 10세 교황(1835-191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21 136
1328 영원한 생명 -포기, 희사, 추종-2018.8.20. 월요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1090-115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20 123
1327 지혜와 자비의 행복한 삶 -무지로부터의 해방-2018.8.19. 연중 제20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19 140
1326 하늘 나라의 삶 -사랑, 회개, 순수, 동심童心의 회복-2018.8.18.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8 163
1325 성덕聖德의 소명召命 -혼인, 이혼, 독신-2018.8.17. 연중 제19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7 176
1324 하늘 나라의 삶 -자비와 용서가 답이다-2018.8.16. 연중 제1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6 158
1323 오, 우리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쁨, 평화, 희망-2018.8.15. 수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8.15 200
1322 회개의 여정 -들음, 회개, 겸손-2018.8.14. 화요일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1894-194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14 146
1321 참 매력적인 파스카의 예수님 -배려와 여유, 유머와 지혜, 그리고 사랑-2018.8.13. 연중 제19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3 189
1320 행복한 성공적 광야 순례 여정의 삶 -기도, 사랑, 생명의 빵-2018.8.12. 연중 제19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12 177
1319 믿음의 여정 -믿음이 답이다-2018.8.11. 토요일 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11 189
1318 하느님 중심中心의 삶 -섬김, 따름, 나눔-2018.8.10. 금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8.10 118
1317 배움의 여정 -주님과 나, 그리고 이웃을 알아가는-2018.8.9. 연중 제18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9 142
1316 영적 탄력 -믿음, 희망, 사랑-2018.8.8. 수요일 성 도미니코 사제(1170-122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08 137
1315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두려움에 대한 답은 예수님뿐이다-2018.8.7. 연중 제18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7 138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