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3.13. 사순 제4주간 화요일                                                                          에제47,1-9.12 요한5,1-16



주님과의 만남

-주님은 우리 삶의 중심中心이시다-



만남중의 만남이 주님과의 만남입니다. 생명의 주님을 만나야 삽니다. 주님은 우리 삶의 중심이십니다. 그러니 주님을 찾아야 합니다. 말그대로 ‘참으로 살기위해’ 주님을 찾아야 합니다. 주님을 간절히 찾을 때 주님을 만납니다. 오늘 복음 묵상중 떠오른 시편입니다.


“하느님 내 하느님, 당신을 애틋이 찾나이다

 내 영혼이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

 물기없이 마르고 메마른 땅,

 이 몸은 당신이 그립나이다.”(시편63,2)


오늘 복음의 벳자타 못 가 병자들의 심정이 이러했을 것입니다. ‘벳자타’란 뜻은 ‘자비의 집’입니다. 여기 요셉수도원 본관의 명칭과 일치합니다. 자비의 집은 바로 주님의 집입니다. 벳자타 못 주변 치유받기를 소망하며 기다리고 있는 병자들의 모습이 흡사 주님을 중심으로 모여든 인간 군상을 상징하는 듯 합니다. 


간절한 믿음으로 주님을 찾을 때 주님을 만납니다. 서른 여덟 해나 누워 앓으면서 결코 포기하지 않고 주님을 찾은 병자의 간절하고 항구한 열정의 믿음이 놀랍습니다. 진짜 벳자타 못, 생명의 주님께서 이 병자를 찾으셨습니다. 가뭄에 바짝 마른 대지를 적시는 봄비처럼 병자를 찾아오신 주님이십니다. 더불어 떠오르는 봄비라는 자작시입니다.


“메마른 대지/촉촉히 적시는 봄비

 하늘은총/내 딸 아이/하나 있다면

 이름은/무조건 ‘봄비’로 하겠다”


메마른 대지를 촉촉이 적시는 생명의 봄비 은총처럼 38년 동안 앓던 중풍병자를 찾아 오신 자비하신 주님이십니다. 중풍병자는 물론 마치 미사에 참석한 우리 모두를 향한 다음 주님의 말씀입니다.


“건강해지고 싶으냐?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라.”


그러자 즉시 그 사람은 건강하게 되어 자기 들것을 들고 걸어갑니다. 이제 치유 받았으니 벌떡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네 인생 힘차게 살아가라는 것입니다. 마치 미사가 끝나 치유받고 떠나는 이들을 상징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 중풍병자는 자주 들것을 보며 주님의 치유은총에 감사했을 것입니다.


간절한 믿음과 권위있는 주님 말씀과의 만남이 이런 치유 기적을 발생했습니다. 중풍병자 역시 하느님을 찾으라는 참 좋은 믿음의 표징, 회개의 표징, 구원의 표징입니다. 


파스카의 예수님이 진짜 벳자타 못, 자비의 집, 주님의 집임을 깨닫습니다. 참 은혜롭게도 오늘 에제키엘서의 말씀이 그대로 오늘 복음의 예수님을 통해 실현됩니다. 매월 첫 주일 미사전 성수 축복시 성가 67장도 바로 오늘 말씀에 근거합니다.


“성전 오른편에서 흘러 내리는 물을 보았노라/알렐루야

 그 물이 가는 곳마다/모든 사람이 구원되어 노래하리라/알렐루야”


얼마나 은혜로운 성가인지요. 파스카의 주님을 통해 완전 실현된 에제키엘의 예언입니다. 바로 다음 에제키엘서 대목은 주님의 성전인 파스카의 주님으로부터 끊임없이 흘러내리는 풍성한 미사은총을 상징합니다. 


“이렇게 이 강이 닿는 곳마다 모든 것이 살아난다. 이 강가 이쪽저쪽에는 온갖 과일나무가 자라는데, 잎도 시들지 않으며 과일도 끊이지 않고 다달이 새 과일을 내놓는다. 이 물이 성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그 과일은 양식이 되고 잎은 약이 된다.”


마침내 구약성경의 예언은 새로운 성전인(요한2,21)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통해 실현됩니다. 곧 그분의 옆구리에서(요한19,34) 흘러 내리는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하는 생명수의 은총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이 되었습니다. 다음 묵시록의 천상미래를 앞당겨 살게하는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그 천사는 또 수정처럼 빛나는 생명수의 강을 나에게 보여 주었습니다. 그 강은 하느님과 어린양의 어좌에서 나와 도성의 거리 한 가운데를 흐르고 있었습니다. 강 이쪽저쪽에는 열두 번 열매를 맺는 생명나무가 있어서 다달이 열매를 내놓습니다. 그리고 그 나뭇잎은 민족들을 치료하는데에 쓰입니다.”(묵시22,1-2)


에제키엘의 예언이 주님의 성체성사를 통해 이미 실현되기 시작했고 그 완성은 천상미래에서 이뤄짐을 봅니다. 바로 이런 비전이 주님께서 우리 모두에게 주시는 참 좋은 희망의 선물입니다. 


생명의 주님이십니다. 생명의 주님은 우리 삶의 중심입니다. 마르지 않는 생명의 샘 주님이십니다. 그러니 생명의 주님을 찾으십시오. 주님을 만날 때 충만한 생명, 영원한 생명의 구원입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내가 생명의 빵이다. 나에게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고 나를 믿는 사람은 결코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요한6,35). 아멘.

  • ?
    안젤로 2018.03.13 10:47
    생명의 주님이십니다. 생명의 주님은 우리 삶의 중심입니다. 마르지 않는 생명의 샘 주님이십니다. 그러니 생명의 주님을 찾으십시오. 주님을 만날 때 충만한 생명, 영원한 생명의 구원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89 하느님의 선물-끊임없이 복을 내려 주시는 하느님-2016.12.19. 대림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2.19 136
888 그리스도 우리의 평화 -우리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지니고 있습니다-2016.8.30. 연중 제2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8.30 136
887 삶의 중심과 질서 -기도와 일-2024.1.10.연중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1.10 135
886 하늘에 보물을 쌓는 시(詩)같은 인생 -기뻐하십시오, 감사하십시오, 겸손하십시오-2023.12.17. 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23.12.17 135
885 기도와 믿음 -믿음의 치유와 구원-2022.1.7.주님 공현 대축일 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07 135
884 하늘 나라의 삶 -주님의 종이 되어 어린이처럼 사십시오-2021.8.14.토요일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1894-194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8.14 135
883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오늘 지금 여기가 구원의 꽃자리 천국天國이다-2021.5.21.부활 제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5.21 135
882 우리의 기쁨은 하느님의 기쁨 -매사 최선을 다합시다-2021.2.11.연중 제5주간 목요일(세계 병자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2.11 135
881 회개와 구원의 더불어 여정 -‘천국입장은 단체입장만 허용된다!’-2020.10.24.연중 제2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24 135
880 삶의 중심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주님-2020.5.8.부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08 135
879 참 행복 -거룩하고 아름답고 향기로운 삶과 죽음-2020.4.28.부활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28 135
878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아브라함의 참 자손-2020.4.1.사순 제5주간 수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4.01 135
877 품위있고 온전한 삶 -시련, 기쁨, 믿음, 인내, 지혜-2020.2.17.연중 제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17 135
876 새 사람의 삶 -사랑하라, 그리고 또 사랑하라-2019.9.12.연중 제2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12 135
875 구원의 여정 -회개, 순종, 축복, 분별-2019.8.1. 목요일 성 알폰소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01 135
874 참으로 행복하고 싶습니까? -하느님 중심의 삶-2019.2.17. 연중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2.17 135
873 “에파타!”, “열려라!” -유혹에 빠지지 않기-2019.2.15.연중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2.15 135
872 하느님 중심의 삶 -관상과 활동의 조화-2019.1.16.연중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16 135
871 참된 수행자修行者의 삶 -기본에 충실한 삶-2018.3.7. 사순 제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07 135
870 어떻게 살 것인가? -‘씨뿌리는 활동가, ’좋은 땅’의 관상가로-2018.1.24. 수요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1.24 135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