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7.12. 연중 제14주간 목요일                                                            호세11,1-4.9ㅁ-9 마태10,7-15



하늘 나라

-영원한 꿈의 현실화-



비전이, 꿈이 있어야 삽니다. 예수님의 평생 비전이자 꿈은 하늘 나라였습니다. 예수님 자신이 하늘 나라 꿈의 실현이었습니다. 남을, 환경을 탓해 봐야 하나 도움이 못됩니다. 남을, 환경을 바꾸는 것보다 나를 바꾸는 것이 우선입니다. 나부터 하늘 나라를 사는 것입니다. 아주 예전에 인용했던 짧은 영어 글귀를 지금도 잊지 못합니다.


“As you are, so is the world(네 존재 만큼 세상도 그만큼 이다).”


참 좋은 말마디입니다. 나부터 바뀔 때 주변도 바뀝니다. 세상 어둠을 탓할 것이 아니라 묵묵히 나부터 작은 주님의 빛이 되어 살면서 밝아지는 세상입니다. 바로 이런 이가 성인입니다. 곳곳에서 작은 주님의 빛이 되어 사는 성인들 덕분에 유지되는 세상입니다. 


바로 오늘 예수님은 사도들을 세상에 당신의 빛으로 파견하십니다. 당신의 능력을 사도마다 가득 담아 주시어 세상에 파견하십니다. 사도들 하나하나가 하늘 나라의 실현입니다. 세상의 빛으로, 세상의 하늘 나라로 파견되는 사도들입니다.


“가서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하고 선포하여라.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 내어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져 주어라.”


예수님 당대의 사도들은 물론 오늘 우리 모두를 향한 말씀입니다. 우리를 당신의 사도로, 당신의 하늘 나라로 세상에 파견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사도들이 파견되는 세상은 그대로 인생고해의 현실입니다. 사도들이 파견되는 대상의 사람들이나 세상은 예나 이제나 똑같습니다. 마치 무지의 어둠속에 주님의 빛으로 파견되는 우리 같습니다. 


하늘 나라의 체험은 그대로 하느님 체험입니다. 진정 하느님을, 하늘 나라를 체험할 때 위와 같은 기적입니다. 하늘 나라의 실현과 더불어 치유의 구원입니다. 


“전대에 금도 은도 구리돈도 지니지 마라. 여행 보따리도 여벌 옷도 신발도 지팡이도 지니지 마라.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소유가 아닌 존재의 삶에 충실하라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투명한 현존으로 살라는 말씀입니다. 이래야 하느님 구원의 도구 역할을 잘 할 수 있습니다. 참으로 하늘 나라를 체험한 이들은 이처럼 소유욕에서 벗어나 본질적 이탈의 삶을 추구합니다.


“집에 들어가면 그 집에 평화를 빈다고 인사하여라.”


이웃의 환대에 대해 주님의 평화로 보답하는 사도들입니다. 하늘 나라의 뚜렷한 표징이 바로 주님의 평화입니다. 우리가 줄 수 있는 선물중에서 평화보다 더 좋은 선물도 없습니다. 하여 끊임없이 주님의 평화를 찾아 수도원을 방문하는 이들입니다. 참행복 선언중 주님의 다음 말씀도 기억할 것입니다.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릴 것이다.”


평화를 이루는 하느님의 자녀가 있는 곳, 바로 거기가 하늘 나라입니다. 그러니 나부터 하늘나라가 되어 사는 것이 우선입니다. 바로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느님의 자녀로, 평화의 사람으로 살아갈 때 실현되는 하늘 나라입니다. 얼마전 평양에서 있었던 농구 남북 선수들의 남북혼성팀 경기 때 ‘평화’ 와 ‘번영’이라는 팀 명칭도 참 신선한 기억으로 남아있습니다. 


제1독서의 호세아가 바로 예수님의 예표입니다. 그대로 하늘 나라의 실현입니다. 우리의 회개를 촉구하면서 하느님 마음을 상기시킵니다. 늘 하느님 마음을 우리 마음으로 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끊임없이 하느님 마음을 닮아갈 때 저절로 실현되는 하늘 나라입니다.


“나는 인정의 끈으로, 사랑의 줄로 그들을 끌어당겼으며, 젖먹이처럼 들어 올려 볼을 비비고, 몸을 굽혀 먹여 주었다. 내 마음이 미어지고, 연민이 북받쳐 오른다. 나는 타오르는 대로 내 분노대로 행동하지 않고, 에프라임을 멸망시키지 않으리라. 나는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이다.”


하느님 마음에 정통한 예수님이셨듯이, 하느님 마음에 정통한 호세아 예언자입니다. 모성적 특성의 하느님으로 계시됩니다. 이런 하느님의 무한한 연민의 사랑에서 나오는 구마이적, 치유이적입니다. 말 그대로 사랑의 기적입니다. 이런 하느님을 닮아갈수록 우리는 하느님의 투명한, 강렬한 현존이 되어 주님 구원의 도구로 살 수 있습니다. 오늘 다음 두 말씀이 깊은 울림으로 남아있습니다.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나는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이다.”


하느님을 닮아갈 때 저절로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는’ 참으로 자유로운 이탈의 삶도 실현될 것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무지의 어둠을 밝혀 주시고 각자 삶의 자리에서 하늘 나라를 살게 하십니다.


“주님, 당신 얼굴을 비추소서. 저희가 구원되리이다.”(시편80,4ㄴ). 아멘.

  • ?
    안젤로 2018.07.12 07:44
    저희가 하느님을 닮아 세상속에서 저희가 가지고 있는것을 나눌수 있는
    겸손과 자비를 베풀수 있도록 인도하여 주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8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구원의 길-2017.8.11. 금요일 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11 141
1767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순교적 삶-2016.9.20. 화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09.20 312
1766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2016.8.5. 연중 제1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8.05 422
1765 어떻게 예수님의 친구가 되어 살 수 있는가? -그의 삶은 메시지였다-2017.5.19. 부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9 115
1764 어떻게 잘 사랑할 수 있을까요? -정주, 공부, 실천-2021.5.9.부활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5.09 122
1763 어떻게 좋은 땅의 사람이 될 수 있는가? -항구한 수행의 노력-2017.7.28.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7.28 147
1762 어떻게 주님을 맞이할 것인가? -누가 아름다운 사람인가?-2015.12.20. 대림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5.12.20 378
1761 어떻게 주님의 길을 잘 닦을 것인가? -회개, 위로, 기쁨-2017.12.10. 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0 172
1760 어떻게 죽어야 하나? -귀가준비-2018.10.2.연중 제2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2 140
1759 어떻게 죽어야 합니까? -마지막 유언-2017.4.14.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7.04.14 175
1758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1757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756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755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754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0
1753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1752 어린이를 사랑하라 -“우리는 누구나 ‘하느님의 어린이’입니다“-2022.8.13.연중 제13주간 프란치스코 2022.08.13 292
1751 어린이와 같이 되라 <어린이들을 사랑하신 예수님>2024.5.25.토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5 113
1750 어린이처럼-2015.10.1. 목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5.10.01 740
1749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니 예찬-2019.8.15.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5 221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