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7.24. 연중 제16주간 화요일                                                                     미카7,14-15.18-20 마태12,46-50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인가?

-기도, 공부, 실행-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예수님은 가슴 활짝 열고 예외없이 모두 당신의 참가족, 한가족 공동체에 초대하시고 환대하십니다. 어제 ‘예수님의 정체’에 대해 나눴다면 오늘 복음은 ‘예수님의 참가족에 대한 정체’를 나눕니다. 하여 오늘 강론 제목은 지체없이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인가?’로 정했습니다.


오늘 복음이 흡사 미사장면을 연상케 합니다. 마치 예수님을 중심으로 제자들이 미사를 드리는 장면 같습니다. 마침 그때 예수님의 혈연가족들이 방문하자 제자들과 예수님의 대화가 진행됩니다.


-제자;“보십시오, 스승님의 어머님과 형제들이 스승님과 이야기하려고 밖에 서 계십니다.”

 예수님;“누가 내 어머니고 누가 내 형제들이냐?”반문하시고, 당신 제자들을 가리키며 이르십니다. “이들이 내 어머니이고 내 형제들이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이들이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너무나 명쾌한 예수님의 답변입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를 중심으로 하여 예수님을 맏형으로 모시고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이들이 바로 예수님의 참가족이라는 것입니다. 바로 이런 예수님의 참가족임을 확인하고자 매일 공동전례를 거행하는 여기 수도자들입니다.


바로 이런 예수님의 참가족 공동체가 교회공동체요 수도공동체입니다. 문제는 외양이 아니라 내용입니다. 얼마나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며 아버지의 자녀답게 사는 것이냐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참가족 공동체를 위해 매일 ‘기도祈禱’하고 ‘공부工夫’하며 아버지의 뜻을 ‘실행實行’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혈연공동체보다 더 깊고 넓은 예수님의 참가족 믿는 이들 공동체입니다. 온 세상에 흩어져 있는 예수님 참가족 신자들 공동체입니다. 1인가구, 2인가구의 증가로 날로 혈연가족이 유명무실해진 반려동물, 반려식물의 시대같습니다. 이런 이들이 예수님의 참가족인 교회공동체에 속할 때 비로소 구원의 실현입니다. 물질문명의 홍수와 혼돈의 시대에 노아의 방주같은 예수님의 참가족 교회공동체입니다. 


어제 유력 정치인의 투신 자살에 참으로 마음이 아팠습니다. 참으로 약한 것이 하느님 믿음 없는 혈연 가족 공동체의 구성원입니다. 하여 자주 극단적으로 드는 예가 생각납니다. 


“물보다 진한게 피이고 피보다 진한게 돈이고 돈보다 진한게 하느님 믿음이다.”


제 나름의 생각이지만 많은 이들이 공감합니다. 돈이나 재산의 탐욕으로 혈연가족이 속절없이 무너지는 경우는 얼마나 많은지요. 혈연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고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하느님의 신망애信望愛 공동체로 업그레이드 되어야, 비로서 예수님의 온전한 참가족 공동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세상 곳곳에 흩어져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이들이 진정 예수님의 참가족입니다. 하여 인종과 국적, 문화, 언어를 다 달리해도 함께 미사를 봉헌하면 곧 예수님의 참가족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예수님의 참가족들이 미사를 봉헌하기 때문입니다.


저에게는 예수님의 참가족 공동체인 수도원을 찾아 면담고백성사를 보는 착한 분들 역시 말그대로 한 형제자매처럼 느껴집니다. 마치 예수님의 참가족 수도 공동체가 세상으로 널리 확장된 느낌도 듭니다. 세상을 떠날수록 역설적으로 세상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예수님의 참가족 수도공동체입니다.


예전에 수도원에 한 가족처럼 머물렀던 교구신부가 어제 방문하여 면담고백성사를 본후 조그만 선물을 하였습니다. 매일 본당 주변 냇가를 산책하며 주운 둥근 돌에 제 좌우명을 준비해온 펜으로 써주었습니다.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


새삼 교구신부역시 저와 같이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임을 느꼈습니다. 예수님의 참가족 공동체에 기도는 우선의 필수적 요소입니다. 끊임없는 기도가 아버지께 대한 사랑을 고무시키고 아버지의 뜻을 환기시켜 실행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함께 기도하지 않으면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 공동체는 불가능합니다. 


바로 오늘 끝나는 미카서가 좋은 본보기입니다. 마침 미카서는 예루살렘의 기도로 끝맺습니다. 당신 백성을 이집트 땅에서 나오실 때처럼 놀라운 일들을 보여달라는 간청후에 죄악의 용서와 주님의 성실과 자애를 간구하며 끝맺습니다.


“당신께서 저희의 모든 죄악을 바다 깊은 곳으로 던져 주십시오. 먼 옛날 당신께서 저희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대로 야곱을 성실히 대하시고 아브라함에게 자애를 베풀어 주십시오.”


그대로 우리가 바쳐야 할 간절한 기도입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실행할 때 그대로 응답되는 우리의 기도입니다. 주님은 당신의 뜻을 실행하는 우리의 죄를 없애 주시고 우리를 성실히 대하시며 자애를 베풀어 주십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끝으로 제 좌우명 애송시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시중 여섯째 연으로 강론을 마칩니다.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아버지의 집인 수도원에서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며


주님의 전사(戰士)로, 

주님의 학인(學人)으로, 

주님의 형제(兄弟)로 살았습니다.


끊임없이 이기적인 나와 싸우는 주님의 전사로

끊임없이 말씀을 배우고 실천하는 주님의 학인으로

끊임없이 수도가정에서 주님의 형제로 살았습니다.


하느님은 영원토록 영광과 찬미 받으소서.-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며, 주님의 전우애戰友愛, 주님의 학우애學友愛, 주님의 형제애兄弟愛로 하나되어 살 때 비로소 실현되는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 공동체입니다. 아멘





  • ?
    안젤로 2018.07.24 07:36
    매일 주시는 주님 말씀을 통해
    저희가 주님의 전사로써
    학인으로써 형제로써
    살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8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구원의 길-2017.8.11. 금요일 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11 141
1767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순교적 삶-2016.9.20. 화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09.20 312
1766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2016.8.5. 연중 제1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8.05 422
1765 어떻게 예수님의 친구가 되어 살 수 있는가? -그의 삶은 메시지였다-2017.5.19. 부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9 115
1764 어떻게 잘 사랑할 수 있을까요? -정주, 공부, 실천-2021.5.9.부활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5.09 122
1763 어떻게 좋은 땅의 사람이 될 수 있는가? -항구한 수행의 노력-2017.7.28.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7.28 147
1762 어떻게 주님을 맞이할 것인가? -누가 아름다운 사람인가?-2015.12.20. 대림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5.12.20 378
1761 어떻게 주님의 길을 잘 닦을 것인가? -회개, 위로, 기쁨-2017.12.10. 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0 172
1760 어떻게 죽어야 하나? -귀가준비-2018.10.2.연중 제2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2 140
1759 어떻게 죽어야 합니까? -마지막 유언-2017.4.14.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7.04.14 175
1758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1757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756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755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754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0
1753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1752 어린이를 사랑하라 -“우리는 누구나 ‘하느님의 어린이’입니다“-2022.8.13.연중 제13주간 프란치스코 2022.08.13 292
1751 어린이와 같이 되라 <어린이들을 사랑하신 예수님>2024.5.25.토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5 111
1750 어린이처럼-2015.10.1. 목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5.10.01 739
1749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니 예찬-2019.8.15.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5 221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