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8.1. 수요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 기념일

예레15,10.16-21 마태13,44-46



참 보물, 참 행복의 발견

-하느님, 예수님, 하늘 나라-



참 보물을 발견해야 비로소 치유되는 정신질환입니다. 참 보물을 발견하지 못해 파생되는 온갖 영육의 질병들입니다. 참보물을 발견할 때 비로소 치유되는 영육의 질병들입니다. 


여러분은 참으로 행복합니까? 참으로 자유롭습니까? 참으로 건강합니까? 방법은 단하나 참 보물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거짓 보물이 아니라 참 보물입니다. 참 보물을 지녀야 비로소 행복할 수 있고 자유로울 수 있고 건강할 수 있습니다. 참 보물이신 주님을 모시고 행복하고 자유로운 참 부자로 살기위해 이 미사에 참석한 우리들입니다.


평생을 살아도 참 보물을 찾지 못한 채 살 수 있고, 거짓 보물을 참 보물인양 착각하고 살 수 있습니다. 아예 참 보물을 찾으려는 열정이나 갈망도 없이 바쁘게 그냥 피상적으로 살 수도 있습니다. 참 보물을 지니고도 무지無知로 몰라서 가난하고 불행하게 사는 사람들도 참 많습니다.


참 보물을 찾는 사람입니다. 마음이 여전히 외롭고 쓸쓸하며, 허전하고 공허한 것은 참 보물을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밥은 배로 채울 수 있어도 무한한 마음은 세상 그 누구로도, 그 무엇으로도 채울 수 없습니다. 참 보물이 참 행복입니다. 참 보물을 발견해야 비로소 충만한 마음의 참 행복입니다.


누구나에게 열려 있는 참 보물의 발견가능성입니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참 보물을 지니고 행복하고 자유롭게 참 부자로 살 수 있습니다. 눈만 열리면 온통 하느님 보물로 가득한 세상임을 볼 것입니다. 


무엇이 참 보물입니까? 하느님이, 예수님이, 하늘 나라가 참 보물입니다. 돈도 집도 사람도 부귀영화도 참 보물이 아닙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거짓 보물을 찾아, 거짓 보물에 집착하여 아까운 시간과 정력을 낭비하는 지요.


간절히, 항구히 찾을 때 발견되는 참 보물 하느님이요 예수님이요 하늘나라입니다. 하느님, 예수님, 하늘나라, 세가지 보물이 아니라 참 보물에 대한 세 표현입니다. 다음 시편의 고백이 바로 하느님이 참 보물임을 웅변합니다.


“하느님, 당신은 저의 하느님, 저는 새벽부터 당신을 찾나이다. 제 영혼 당신을 목말라 하나이다. 물기 없이 마르고 메마른 땅에서, 이 몸은 당신을 애타게 그리나이다.”


오늘 제1독서 예레미야서에서 예레미야가, ‘아, 불행한 이 몸! 어머니 어쩌자고 날 낳으셨나요?’, 내적 악전고투惡戰苦鬪중에 말씀을 통해 참 보물 하느님을 만나 기뻐하는 모습도 감동적입니다.


“당신 말씀을 발견하고 그것을 받아 먹었더니, 그 말씀이 제게 기쁨이 되고, 제 마음에 즐거움이 되었습니다. 주 만군의 하느님, 제가 당신의 것이라 불리기 때문입니다.”


이어지는 하느님께 대한 예레미야의 탄식과 투정에 대한 하느님의 격려의 화답입니다. 바로 예레미야의 영원한 참 보물은 늘 함께 계신 하느님이심을 깨닫습니다.


“내가 너를 요새의 청동벽으로 만들어 주리라. 그들이 너를 대적하여 싸움을 걸겠지만, 너를 이겨 내지 못하리라.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너를 구원하고 건져낼 것이기 때문이다.”


이어 예수님이 우리의 참 보물임은 웅변하는 성가 61장도 생각납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와 바꿀 수는 없네/이 세상 부귀 영화와 권세도

 우리를 위하여 돌아가신/예수의 크옵신 사랑이여

 세상 즐거움 다 버리고/세상 명예도 다 버렸네

 주 예수 그리스도와 바꿀수는 없네/세상 어떤 것과도.”-


루카복음중 예수님께서 마르타에게 하신 말씀에서도 바로 예수님 당신이 참 보물임을 암시합니다.


“마르타야, 마르타야! 너는 많은 일을 염려하는 구나, 그러나 필요한 것은 한 가지뿐이다, 마리아는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빼앗기지 않을 것이다.”


참 보물 예수님의 말씀을 경청한 마리아에 대한 칭찬과 격려가 함축된 말씀입니다. 참 보물 예수그리스도를 만나 평생 헌신해온 바오로의 고백 역시 기억하실 것입니다.


“나의 간절한 기대와 희망은, 내가 어떠한 경우에도 부끄러운 일을 당하지 않고, 언제나 그러하였듯이 지금도, 살든지 죽든지 나의 이 몸으로 아주 담대히 그리스도를 찬양하는 것입니다. 사실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


예수님의 영원한 꿈이자 참 보물은 하늘 나라였고, 참 많이 예로 드셨던 하늘 나라 비유들입니다. 오늘 복음의 보물의 비유와 진주 상인의 비유가 짧지만 강렬합니다.


“하늘 나라는 밭에 숨겨진 보물과 같다. 그 보물을 발견한 사람은 그것을 다시 숨겨 두고서는 기뻐하며 돌아가서 가진 것을 다 팔아 그 밭을 산다.”


“하늘 나라는 좋은 진주를 찾는 상인과 같다. 그는 값진 진주를 하나 발견하자, 가서 가진 것을 모두 처분하여 그것을 샀다.”


값싼 은총이 없듯이 값싼 보물도 없습니다. 간절히 항구히 온 힘을 다해 열정적으로 찾아야 발견되는 참 보물입니다. 참 기쁨도, 참 행복도 이런 참 보물을 발견할 때 비로소 선물처럼 주어집니다. 보물이, 진주가 상징하는바 참 보물인 하느님이자 예수님이자 하늘나라입니다. 바로 이 참 보물을 발견해야 참 기쁨, 참 행복입니다. 어디가 참 보물이 묻혀있는 곳입니까? 


바로 오늘 지금 여기가 보물밭입니다. 내 마음이 바로 보물밭입니다. 보물을 찾으려 멀리 밖에 갈 필요가 없습니다. 눈 만 열리면 여기서 참 보물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하느님을, 예수님을 만나 하늘 나라를 살 수 있습니다.  


이미 세례받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들은 바로 참 보물을 지닌 참 행복한 부자들입니다. 그러나 한 두 번 발견하여 찾았다 하여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매일 평생 끊임없이 새롭게 찾아 만나야 하는 참 보물 하느님이자 예수님이요, 살아야 하는 참 보물 하늘 나라입니다. 


성서는 온통 참 보물인 주님을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오늘 기념하는 알퐁소 성인은 물론 모든 성인들이 참 보물 주님을 만나 참 자유롭고 행복한 부자로 살다가 하느님 나라로 가셨습니다. 


하여 참 보물이신 주님을 만나 하늘 나라를 살고자 참 보물밭 하느님의 성전에서 매일 평생 끊임없이 하느님 찬미와 감사의 공동전례기도를 바치는 우리 수도자들입니다. 이 거룩한 미사시간 우리 모두 참 보물인 주님을 모심으로 영육이 치유되고 참 자유롭고 행복한 부자들로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

늘 우리 곁에 계신 참 보물이신 파스카의 예수님이십니다. 아멘.







  • ?
    안젤로 2018.08.01 07:32
    주님 저희가 주님을 향한 항구한 믿음으로 주님을 모시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4 믿음의 형제자매들 -하느님을 감동시키는 믿음-2019.10.6.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 1 프란치스코 2019.10.06 160
1893 하느님 -자연과 인간의 무지와 허무에 대한 답答-2019.10.15.화요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0.15 160
1892 판단의 잣대는 ‘주님의 뜻’이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2020.1.20.연중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20 160
1891 우리의 평생 과제이자 목표 -하느님을 닮아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것-2020.2.23. 연중 제7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2.23 160
1890 삼위일체의 삶 -늘 새롭고 아름답고 행복한 삶-2020.6.7.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6.07 160
1889 예수님과 더불어 우리도 부활하였습니다! -빛과 생명과 희망으로-2021.4.3. 성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03 160
1888 선택받은 우리들의 복된 삶 -환대歡待와 경청敬聽-2021.10.11.연중 제2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11 160
1887 바라봄의 관상 -하느님 나라의 표징을 읽고 삽시다-2021.11.26.연중 제3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26 160
1886 새해 2022년 소원 -“어둠속의 빛”-2022.1.3.주님 공현 대축일 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03 160
1885 성화(聖化)의 여정 -성인(聖人)이 되는 것은 우리의 거룩한 소명(召命)이다-2023.11.22. 수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23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22 160
1884 성전정화 -성전정화의 일상화- “하루하후, 날마다, 평생-”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9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마카4,36-37.52-59 루카19,45-48 프란치스코 2023.11.24 160
1883 하느님 믿음-2015.10.29.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9 161
1882 떠남의 여정-2016.2.4. 연중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2.04 161
1881 “내 말을 들어라(Listen to my voice)” -예수님파냐 사탄파냐?-2016.3.3. 사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3.03 161
1880 “행복하여라, 수평선水平線의 바다가 된 사람들!” 프란치스코 2016.05.04 161
1879 하느님 중심의 삶`-2016.6.8.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6.08 161
1878 공동생활의 축복祝福 -빛과 어둠이 공존共存하는 공동체-2016.9.6.연중 제23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9.06 161
1877 기도의 힘-2016.10.28. 금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6.10.28 161
1876 복음 선포의 사명-세상의 중심, 세상의 빛-2016.12.3. 토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축일 프란치스코 2016.12.03 161
1875 성령충만한 삶 -위에서 태어난 사람들-2018.4.10.부활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4.10 161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