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8.10. 금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2코린9,6ㄴ-10 요한12,24-26



하느님 중심中心의 삶

-섬김, 따름, 나눔-



수도사제생활 30년 통털어 강론 주제로 참 많이 사용한 말마디가 ‘삶의 중심’입니다. 예나 이제나 여전히 중요한 ‘삶의 중심’이란 말마디입니다. 삶의 기본이자 기초가 삶의 중심입니다. 삶의 중심이 본질적이라면 기타의 것들은 부수적입니다. 삶의 중심을 잃는 것보다 큰 재앙은 없습니다.


어제 면담성사중에도 새삼 깨달은 것이 삶의 중심입니다. 삶의 중심이 불분명하니 본말전도의 복잡하고 혼란한 삶이요 모래위에 집짓기 같은 삶입니다. 쉽게 무너지면서도 그 원인을 모릅니다. 하여 여전히 악순환의 반복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믿는 이들의 삶의 중심은 하느님입니다. ‘내 중심의 삶’이 아니라 ‘하느님 중심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진정 하느님을 믿는, 하느님의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여 우리 수도자들을 하느님 만을 찾는 ‘하느님의 사람’이라 정의합니다. 


수도생활은 함께 사는 것이요, 함께 사는 것이 수도생활의 어려움이요, 함께 사는 것이 도닦는 것이라는 제 지론입니다. 함께 사는 것은 답이 없습니다. 너무 다른 사람들이 수도공동체를 이뤄 함께 살 수 있는 까닭은 모두가 공동체의 중심인 하느님을 바라보며 하느님 중심의 삶을 살아가려고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중심의 삶이 아니곤 수도공동체는 불가능합니다. 삶의 중심에 저절로 따라오는 삶의 균형과 질서입니다. 구체적 하루 삶을 드러내는 수도원 일과표도 하느님 중심으로 기도와 공부와 일이 균형과 질서를 이루고 있습니다. 감정따라, 기분따라, 마음따라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 중심의 일과표 따라 살아감으로 수도공동체의 견고한 일치입니다. 


하느님 중심의 삶은 막연하지 않습니다. 섬김과 따름, 나눔이 그 내용을 이룹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죽음을 예감한 절박한 상황을 배경으로 합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자기 목숨을 사랑하는 사람은 목숨을 잃을 것이고, 이 세상에서 자기 목숨을 미워하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에 이르도록 목숨을 간직할 것이다.”


그대로 예수님 당신의 죽음으로 인한 결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비유입니다. 비유의 핵심은 선교의 풍요로운 결실을 맺기위해 죽음은 필연이라는 것입니다. 죽음이 마지막이 아니라 죽음을 통한 부활에 따른 풍요로운 결실을 상징합니다.


바로 애오라지 하느님 아버지 중심의 삶이었기에 이런 자발적 순교의 죽음도 가능합니다. 말 그대로 사랑의 순교입니다. 지금도 사랑의 순교적 삶을 기쁘게 자발적으로 사는 이들은 세상 곳곳에 많습니다. 이들의 삶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섬김과 따름, 나눔입니다.


섬김의 모범이신 주님을 섬기고 따르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영성이 있다면 ‘종servant과 섬김service의 파스카의 영성’이 있을 뿐입니다. 하여 분도 성인은 당신 공동체를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로 정의합니다. 평생 주님과 형제들을 겸손한 사랑으로 섬기며 주님을 따르는 수도형제들입니다. 


어찌 수도자뿐이겠습니까? 믿는 이들의 모든 공동체 역시,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라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섬김과 따름은 둘이자 하나입니다. 주님을 사랑하여 따름으로 주님을 섬기는 우리 믿는 이들입니다. 섬김과 따름의 삶이 바로 축복입니다. 다음 예수님 말씀이 입증합니다.


“누구든지 나를 섬기려면 나를 따라야 한다. 내가 있는 곳에 나를 섬기는 사람도 함께 있을 것이다. 누구든지 나를 섬기면 아버지께서도 그를 존중해 주실 것이다.”


구원은, 주님은 멀리 밖에 있지 않습니다. 주님을 섬기고 따르는 오늘 지금 여기가 바로 주님을 만나는 구원의 자리입니다. ‘섬김serving’과 ‘따름following’에 자연적으로 따라오는 ‘나눔sharing’의 삶입니다. 섬김과 따름은 나눔의 생활로 활짝 꽃피어나기 마련입니다. 사랑의 섬김과 따름, 사랑의 나눔입니다. 


하느님 중심의 삶의 진위를 판가름하는 ‘섬김-따름-나눔’입니다. 없어서 못 나눈다는 것은, 못 준다는 것은 거짓말입니다. 사랑만 있으면 어떤 형태로든 형제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제1독서 바오로 사도를 통한 주님의 말씀입니다.


“저마다 마음에 작정한 대로 해야지, 마지못해, 억지로 해서는 안됩니다.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에게 모든 은총을 넘치게 주실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은 언제나 모든 면에서 모든 것을 넉넉히 가져 온갖 선행을 넘치도록 할 수 있게 됩니다.”


온갖 선행의 나눔을 통해 주님을 섬기고 따를 때 넘치는 주님의 축복이요 영원한 생명의 구원입니다. 구원은 결코 멀리 있지 않습니다. 부단히 주님을 섬기고 따르면서 나눌 때 바로 거기가 구원의 자리요, 죽어가면서 많은 열매를 맺는 삶입니다. 


저는 이런 희생적 사랑으로 하느님 중심의 삶을 살아가는 많은 분들을 만납니다. 말그대로 주님과 함께 공동체의 중심이 된 분들로 섬김과 따름, 나눔에 항구한 분들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섬김과 따름과 나눔의 하느님 중심의 삶에 항구하고 충실하게 하십니다. 


“행복하여라. 주님을 경외하고, 그분 계명을 큰 즐거움으로 삼는 이!---잘되리라, 후하게 꾸어 주고, 자기 일을 바르게 처리하는 이! 그는 언제나 흔들리지 않으리니, 영원히 의인으로 기억되리라.”(시편112,1.5-6). 아멘.

  • ?
    안젤로 2018.08.10 07:33
    구원은, 주님은 멀리 밖에 있지 않습니다
    주님을 섬기고 따르는 오늘 지금 여기 바로 주님을 만나는 구원의 자리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69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겨자씨같은 사람, 누룩같은 사람-2021.10.26.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26 169
1668 외딴곳 -주님과 만남의 자리-2022.1.12.연중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12 169
1667 그리스도 중심의 한몸 공동체 -주님과 상호내주의 일치-2022.5.18.부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5.18 169
1666 하늘에 보물을 쌓는 삶 -땅에 보물을 쌓지 마시오-2022.6.17.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6.17 169
1665 참 좋은 겸손의 덕 -“끝자리의 겸손을 사랑합시다!”-2023.10.4.토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04 169
1664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파거불행(破車不行), 노인불수(老人不修)- 오늘 지금 여기를 살라2023.11.28.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8 169
1663 예지의 삶-2015.8.16. 연중 제20주일 프란치스코 2015.08.16 170
1662 주님과 우정友情의 관계-2016.3.17. 사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3.17 170
1661 하늘 나라 축제祝祭의 삶 -삶은 은총恩寵이자 평생 과제課題이다-2016.8.18.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8 170
1660 환대의 영성 -주님과 이웃을, 농민을 환대합시다-2019.7.21.연중 제16주일(농민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21 170
1659 예닮의 여정 -하느님 말씀의 생활화-2019.10.12.연중 제2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2 170
1658 순교 영성 -희망과 기쁨-2019.12.14. 토요일 십자가의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2.14 170
1657 떠남의 기쁨, 만남의 기쁨 -성령의 은총-2020.5.21.부활 제6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0.05.21 170
1656 우리 믿는 이들은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 주님의 소작인, 주님 공동집의 수호자-2020.10.4.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2-122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0.04 170
1655 성인聖人이 되십시오 -끊임없는 기도와 회개의 생활화-2021.10.1.금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0.01 170
1654 하느님 중심의 삶 -하느님이냐, 돈이냐?-2021.11.6.연중 제3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06 170
1653 축제 인생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인생 3계명-2021.11.14.연중 제33주일 1 프란치스코 2021.11.14 170
1652 주님의 전사 -“사랑밖엔 길이 없었네”-2022.6.8.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6.08 170
1651 주님의 전사 -하느님 중심의 영적 승리의 삶-2023.10.13.연중 제27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10.13 170
1650 금의환향(錦衣還鄕) 2015.3.1. 사순 제2주일 1 프란치스코 2015.03.01 171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