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15.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갈라4,22-24.26-27.31-5,1 루카11,29-32

 

 

그리스도인의 자유

-영원한 참 표징 파스카의 예수님-

 

 

오늘은 우리의 자랑스런 성녀, 예수의 데레사 동정학자 기념일입니다. 성녀 축일을 맞이할 때 마다 떠 오르는 성녀의 영성의 고스란히 담긴 ‘아무 것도 너를’ 이라는 시와 곡입니다.

 

-“아무것도 너를 슬프게 하지 말며/아무것도 너를 혼란케 하지 말지니
모든 것은 다 지나가는 것/다 지나가는 것
오 하느님은 불변하시니/인내함이 다 이기느니라
하느님을 소유한 사람은/모든 것을 소유한 것이니

하느님만으로 만족하도다.”-

 

처음 이 곡을 듣는 순간, “아, 참 좋다! 내 장례미사때 퇴장 성가로 불러 달라고 하자. 입당 성가는 프란치스코 성인의 ‘태양의 찬가’로 하고”, 되뇌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올랐습니다. 연피정을 마쳤을 때 수녀님들이 선물로 이 두 곡을 불러줬을 때의 감미로운 추억도 잊지 못합니다.

 

정말 참 자유인의 전형인 성인들이요 특히 예수의 데레사 성녀가 그렇습니다. 하느님만으로 만족했기에, 하느님만으로 행복했기에 모든 것으로부터 해방되어 이런 자유입니다. 다음 시편 성구도 생각납니다.

 

“주님께 아뢰옵니다. ‘당신은 저의 주님, 저의 행복 당신밖에 없습니다.”(시편16,2).

“저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주님, 저의 힘이시여.”(시편18,2).

"하느님 곁에 있는 것이 내게는 행복, 이 몸 둘 곳 하느님, 나는 좋으니, 하신 일들 낱낱이 이야기하오리다."(시편73,28).

 

마치 성녀의 고백처럼 느껴집니다. 면담성사때 말씀 처방전 보속으로 자주 써드리는 성구이기도 합니다. 누구나 꿈꾸는 자유인데 과연 자유로운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참으로 하느님을 사랑할 때, 하느님만으로 행복할 때 참 자유입니다. 물론 하느님을 사랑하는 이들은 그리스도를 사랑합니다. 바오로 사도가 그리스도인의 참 자유에 대한 귀한 말씀을 주십니다.

 

“그러므로 형제 여러분, 우리는 여종의 자녀가 아니라 자유의 몸인 부인의 자녀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해방시키셨습니다. 그러니 굳건히 서서 종살이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하느님을 사랑할 때, 그리스도를 사랑할 때 비로소 이런 자유의 선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살이에서 벗어나 참 자유를 누립니다. 누가 하느님을 사랑하는 이들입니까?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이들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잘 듣고 지킬 때 참행복입니다. 바로 오늘 복음 앞전의 예수님 말씀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이들이 오히려 행복하다.”

 

그러나 오늘 복음의 표징을 요구하는 이들은 이와는 정반대의 사람들임을 깨닫습니다. 참으로 하느님을 사랑하는 순수하고 진실한 사람들은 절대로 표징이나 기적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것만으로 만족하고 행복한데, 눈만 열리면 무수한 하느님 사랑의 표징과 기적으로 가득한 세상인데 새삼 무슨 표징이나 기적을 요구하겠는지요. 예나 이제나 표징을 요구하는 세대에 대한 예수님의 답은 다음 하나일 것입니다.

 

“이 세대는 악한 세대이다. 이 세대가 표징을 요구하지만 요나 예언자의 표징밖에는 어떠한 표징도 받지 못할 것이다.”

 

이어 주님은 솔로몬의 지혜를 들으려고 땅끝에서 왔던 남방 여왕의 예와, 요나의 설교를 듣고 회개하였던 이교인들의 예를 들면서 못박듯이 당신의 확신을 토로하십니다.

 

“그러나 보라, 솔로몬보다 더 큰이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보라, 요나보다 더 큰이가 여기에 있다.”

 

요나의 표징이 상징하는 죽으시고 부활하신 파스카의 예수님 자체가 표징중의 표징인데 새삼 무슨 표징이 필요하겠는지요. 솔로몬보다 더 큰 지혜의 화신, 예언자보다 더 큰 예언자 주님을 두고 무슨 표징을 찾겠는지요. 그대로 회개의 표징, 희망의 표징, 자유의 표징이 예수님이십니다. 예수님은 물론 모든 성인들 역시 빛나는 회개의 표징, 희망의 표징, 자유의 표징입니다. 

 

더불어 주님을 믿는 우리 역시 저절로 이웃에 회개의 표징, 희망의 표징, 자유의 표징이 될 것이며 이런 삶 자체보다 더 좋은 복음 선포도 없을 것입니다.

 

바로 오늘 복음은 표징을 요구하는 악한 세대를 향한 회개의 촉구이기도 합니다. 정말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기본적 수행에 충실했더라면 이런 탈선과도 같은 표징을 요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사실 우리에겐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보다 더 좋은 표징도 없을 것입니다. 예수님이 참 표징임을 선포하는 하느님의 참 좋은 선물이 주님의 성체성사입니다. 

 

“보라! 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분이시니 이 성찬에 초대받은 이는 복되도다.”

 

미사중 성체를 받아 모시기전 사제의 말씀이 주님만이 영원한 참 표징임을 선포합니다. 참으로 주님을 사랑하는 이들은 주님 표징 하나만으로 충분합니다. 주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본질적 수행에 충실합니다. 바로 여기 참 자유와 행복의 비결이 있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만이 영원한 참 표징임을 깨닫게 하시고 참 자유인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주님의 자애를 영원히 노래하오리다. 제 입은 당신의 진실을 대대로 전하오리다.”(시편89,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09 우리의 목자이자 문이신 예수님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2021.4.26. 부활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26 104
3308 참 제자되어 참으로 살기 -공동체 삶의 축복-2021.5.2.부활 제5주일(생명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5.02 104
3307 환대(hospitality)와 보호자 성령(the Paraclete) 교회선교의 본질적 두 요소 2024.5.6.부활 제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5.06 104
3306 누가 하느님의 사람인가?-2017.6.5. 월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675-754)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6.05 105
3305 원대한 목표 -완전한 사람이 되는 것-2017.6.20. 연중 제1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20 105
3304 무지無知의 병 -환대의 축복, 환대의 치유-2017.7.1. 연중 제1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7.01 105
3303 동심童心의 회복 -시편영성의 생활화-2018.5.26. 토요일 성 필립보 네리 사제(1515-1595)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8.05.26 105
3302 오늘이 바로 그날이다 -늘 새로운 시작,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2018.7.7. 연중 제1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7 105
3301 수행자의 참행복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일-2018.9.25. 연중 제2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05
3300 개안開眼의 여정 -끊임없는 주님과의 만남-2020.8.31.연중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8.31 105
3299 개안開眼의 여정 -무지로부터 깨달음의 앎으로-2020.9.11.연중 제2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1 105
3298 마음의 병의 치유와 구원 -주님과의 만남; 기도와 믿음-2020.12.4.대림 제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04 105
3297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의 자녀답게!-2021.2.12.금요일 설 1 프란치스코 2021.02.12 105
3296 주님의 전사, 주님의 일꾼 -참 자유인-2021.6.14.연중 제1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6.14 105
3295 승천의 삶 -사랑의 정주와 지혜의 선교-2024.5.12.주님 승천 대축일(홍보주일) 프란치스코 2024.05.12 105
3294 주님의 집 -지금 여기가 하늘나라이자 주님의 집입니다-2017.5.14. 부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17.05.14 106
3293 누가 겸손한 사람인가?-겸손예찬-2017.11.4. 토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04 106
3292 무지無知의 병 -지혜가 약藥이다-2017.11.17. 금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17 106
3291 공동체의 풍요로움 -다 자기 색깔과 향기로 살면 된다-2018.5.19. 부활 제7주간 토요일 2 프란치스코 2018.05.19 106
3290 절망은 없다 -끊임없는 회개와 수행의 노력이 답이다-2018.7.27.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7 10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