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2.5. 화요일 설                                                                                   민수6,22-27 야고4,13-15 루카12,35-40

 

 

 

아름답고 품위있는 삶

-감사, 깨어있음, 겸손-

 

 

 

오늘은 설입니다. 입춘 다음날 날씨도 푸근합니다. 미세먼지 상태를 알려주는 메시지, ‘좋음-신선한 공기 많이 마시세요.’란 문자가 휴대폰에 맨먼저 떠오릅니다. 설날의 시작이 참 좋습니다. 카톡을 통해 전해 준 설 축복 메시지도 고마워 나눕니다.

 

“신부님, 행복하고 평안한 설 보내세요. 신부님 말씀 새겨 제 안에 더러운 영들이 자리잡지 못하도록 주님 중심의 삶, 깨어 있는 삶을 살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큰 신부님, 올 한해에도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도드립니다. 늘 저희와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두 분 다 힘든 처지에서도 힘껏 아름답고 품위있게 사시는 자매님들입니다. 참 좋은 설 명절입니다. 새삼 품위있고 아름다운 삶을 살아야 겠다는 각오를 지니게 됩니다. 

 

아주 예전 어느 목사님이 “신부님의 소원은 무엇이냐?” 물었을 때, “잘 살다가 잘 죽는 것입니다.”, 일언지하에 대답하고 흡족했던 느낌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어떻게 살아야 아름답고 품위있는 삶입니까? 오늘 말씀이 답을 줍니다.

 

첫째, 감사하는 삶입니다.

이렇게 살아있음이 축복입니다. 주님 축복에 대한 응답이 감사입니다. 눈만 열리면 온통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주님 주신 선물 인생에 대해 감사로 응답하는 것입니다. 방금 우리는 제1독서 민수기 말씀을 통해 주님의 축복을 받았습니다.

 

“주님께서 그대에게 복을 내리시고 그대를 지켜 주시리라. 주님께서 그대에게 당신 얼굴을 비추시고 그대에게 은혜를 베푸시리라. 주님께서 그대에게 당신 얼굴 들어 보이시고 그대에게 평화를 베푸시리라”

 

방금 받은 축복에 대한 마땅한 응답이 감사입니다. 감사하기로 하면 끝이없습니다. 감사하는 삶이 바로 행복한 삶이요, 아름답고 품위있는 삶입니다.

 

둘째, 깨어 있는 삶입니다.

감사할 때 깨어있는 삶입니다. 깨어 있을 때 저절로 감사하는 삶입니다. ‘깨어 있어라,’ 바로 오늘 복음의 주제입니다. 영성생활의 궁극 목표도 깨어 있는 삶입니다. 깨어있을 때 깨끗한 마음이요 깨달음의 선물들입니다. 영육의 건강도 깨어 있는 삶에서 시작됩니다. 주님 역시 설날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깨어 있는 삶을 살도록 촉구하십니다.

 

“너희는 허리에 띠를 매고 등불을 켜 놓고 있어라, 혼인 잔치에서 돌아오는 주인이 도착하여 문을 두드리면 곧바로 열어 주려고 기다리는 사람처럼 되어라.”

 

이렇게 기다릴 주님이 있는 우리들은 행복한 사람들입니다. 주님을 기다리는 기쁨을 능가할 기쁨도 없을 것입니다. 이런 주님을 기다리는 기쁨을 지니고 미사에 참석한 우리들입니다. 막연한 깨어 있음이 아니라, 이런 희망의 기다림이 우리를 깨어 있게 합니다.

 

“행복하여라, 주인이 와서 볼 때에 깨어 있는 종들!”---주인이 밤중에 오든 새벽에 오든 종들의 그러한 모습을 보게 되면, 그종들은 행복하다!---너희는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지도 않은 때에 사람이 아들이 올 것이다.”

 

이렇게 늘 깨어 사는 이들이 행복한 사람들입니다. 과연 오늘 지금 여기 깨어  사는 이들은 얼마나 될까요? 극소수일 것입니다. 정말 깨어 있지 못하고 시간을 낭비하며 오늘 지금 여기를 참으로 살지 못하는 것이 죄입니다. 언젠가의 갑작스런 선종의 축복이 아닙니다. 언제 주님이 오셔도 깨어 있다 맞이할 수 있는 이들이 선종의 축복된 죽음도 맞이할 수 있습니다. 

 

셋째, 겸손한 삶입니다. 

깨어 있을 때 겸손한 삶입니다. 자기를 몰라 교만이지 자기를 알면 겸손이자 지혜입니다. 정말 큰 병이 자기를 모르는 무지입니다. 무지에 기인한 자만이요 교만입니다. 오늘 제2독서 야고보서를 통해 주님도 우리 모두 겸손할 것을 촉구하십니다. 자만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오늘이나 내일 어느 고을에 가서 일년 동안 그곳에서 지내며 장사를 하여 돈을 벌겠다.” 하고 말하는 여러분! 그렇지만 여러분은 내일 일을 알지 못합니다. 여러분의 생명이 무엇입니까? 여러분은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져 버리는 한 줄기 연기일 따름입니다.”

 

자만하지 말고 하느님만 찾으라는 것입니다. 한치도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우리들입니다. 인생무상에 허무감에 빠질 것이 아니라 하느님 부르시는 표지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의지대로, 마음대로 되지 않는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하느님만이 영원하십니다. 하느님 안에 신망애信望愛의 뿌리를 둘 때 영원한 삶입니다.

 

모사謀事는 재인在人, 성사成事는 재천在天이란 말도 있습니다. 인생허무감에 좌절할 것이 아니라 겸손히 하느님의 말씀에 귀기울여야 합니다. 그러니 우리는 “주님께서 원하시면 우리가 살아서 이런저런 일을 할 것이다.”하고 말해야 합니다. 인자무적仁者無敵에 이어 겸자무적謙者無敵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설날 우리 모두에게 아름답고 품위있는 삶의 길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1.감사하는 삶입니다.

2.깨어있는 삶입니다.

3.겸손한 삶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이렇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깨어 겸손히 살게 하십니다. 화딥송 후렴 기도로 강론을 마칩니다.

 

“주 하느님의 어지심을 저희 위에 내리소서.”(시편90,17ㄱ). 아멘.

 

 

  • ?
    고안젤로 2019.02.05 10:29
    주님 주신 설날, 주님의 가르침이 우리를 흔들림 없이 살게 하십니다
    하느님 감사 합니다
    그리고 사랑합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75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 중심의 삶과 기도, 그리고 지혜와 사랑-2022.9.18.연중 제25주일 프란치스코 2022.09.18 330
3174 수행의 궁극목표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 둥글게 사는 것-2018.2.26. 사순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6 330
3173 희년(禧年)의 영성 -인간의 해방, 경제적 해방, 생태적 해방-2023.8.5.연중 제1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05 329
3172 주님의 기도 -기도가 답이다-2023.6.22.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2 329
3171 비움의 훈련, 비움의 여정 -“축제인생을 삽시다! 고해인생이 아닌”-2022.9.15.목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15 329
3170 너는 나다-2015.12.18. 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2.18 329
3169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2015.4.7. 부활 팔일 축제 내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4.07 329
3168 새 하늘과 새 땅 -꿈꾸는 사람, 춤추는 사람-2015.3.16. 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3.16 328
3167 사부 성 베네딕도 예찬 -유럽의 수호자,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2023.7.11.화요일 유럽의 수호자 사부 성 베네딕도 아빠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7.11 327
3166 영적승리 -하느님 중심의 삶-2022.10.7.금요일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07 327
3165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2015.6.29. 월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6.29 327
3164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삶을, 자연을 ‘렉시오 디비나(성독聖讀)’하기-2022.9.23.금요일 피에트니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23 326
3163 주님과 만남의 여정 -“평생, 하루하루, 날마다, 오늘 지금 여기서”2022.9.12.연중 제2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9.12 326
3162 성령 충만한 하늘 나라 공동체 -성령聖靈과 악령惡靈-2016.10.7. 금요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07 326
3161 참된 삶, 영원한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23.7.15.토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7.15 325
3160 2017.3.18. 사순 제3주간 토요일-정두균 바오로와 유병은 율리안나의 혼인미사-참 좋은 사랑의 선물 프란치스코 2017.03.18 325
3159 성령의 선물-2016.5.15. 주일 성령 강림 대축일 (스승의 날, 가정의 날) 프란치스코 2016.05.15 325
3158 늘 하느님을, 하늘 나라를 꿈꾸십시오 -꿈은 이뤄집니다-2023.7.12.연중 제1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7.12 324
3157 민족의 화해와 일치 -평화공존-2023.6.25.주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프란치스코 2023.06.25 324
3156 영원한 삶 -주님을 섬기고 나누며 따르는 삶-2023.8.10.목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25-258) 축일 프란치스코 2023.08.10 32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