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10.24.연중 제29주간 목요일                                                      로마6,19-23 루카12,39-48

 

 

 

사랑의 불, 식별의 잣대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

 

 

 

-“바다가/보고 싶어

강이되어/바다에 갔다가/바다가 되어 돌아왔다

 

이제/위로는 하늘/안으로는 바다

밖으로는 산이 되어/살 수 있게 되었다

 

희망의 하늘이/사랑의 바다가

믿음의 산이 되어/살 수 있게 되었다

 

아름다운 침묵의 삼위일체 하느님이 되었다

이제 나는!

행복하여라, 주님을 신뢰하는 사람!"-

 

어제 동해 바다에 다녀왔습니다. 고승高僧은 움직임이 없다 합니다.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살 때 위로는 희망의 하늘, 안으로는 사랑의 바다, 밖으로는 믿음의 산이 되어 고승처럼 살 수 있겠습니다. 정말 그렇게 살고 싶습니다.

 

“삶이 끝이 없다”, “삶이 끝이 보이지 않는다” 들 말하는 데 어제 바다에 갔다가 끝을 보고 왔습니다. 하늘과 바다와 땅의 삼위일체 셋이 만나는 그 자리 하느님 계신 곳이 끝이었습니다. 이제 하느님이 많이 보고 싶을 때 마다 바다에, 하늘과 바다와 땅이 만나는 바닷가를 가려 합니다.

 

위로는 하늘,  안으로는 바다, 밖으로는 산, 정중동靜中動의 삶입니다.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의 역동적 삶을 뜻합니다. 예수님은 불입니다. 사랑의 불입니다. 사랑의 불인 예수님을 모시고 살 때 비로소 가능한 위로는 희망의 하늘, 안으로는 사랑의 바다, 밖으로는 믿음의 산이 되어 살 수 있습니다.

 

“나는 세상에 불을 지르러 왔다. 그 불이 이미 타올랐으면 얼마나 좋으랴?”

 

우리 무기력한, 무감각한 우리 삶에 불을 붙이러 불로 오시는 주님이십니다. 무욕無慾, 무심無心, 무애無礙는 좋지만 무기력無氣力한 삶은, 무감각無感覺한 무의욕無意欲의 삶은 죽은 삶입니다. 이런 삶에 불을 붙여 끊임없이 타오르게 하고자 성령의 불, 말씀의 불이 되어 오시는 예수님이십니다.

 

“내가 받아야 할 세례가 있다. 이 일이 다 이루어질 때까지 내가 얼마나 짓눌릴 것인가?”

 

역시 세례의 죽음을 예견하는 내적긴장의 고뇌중에도 예수님은 끝까지 삶의 여정에 항구하시며 충실하십니다. 늘 거기 그 자리의 위로는 희망의 하늘, 안으로는 사랑의 바다, 밖으로는 믿음의 산같습니다. 이어지는 말씀도 의미심장합니다.

 

“내가 세상에 평화를 주러 왔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오히려 분열을 일으키러 왔다.”

 

예수님께서 우리 삶에 오실 때 저절로 사랑에 불타는 삶이요 분열의 삶입니다. 새삼 예수님은 우리의 일치의 중심임을 깨닫습니다. 예수님께서 삶의 중심에 영원한 사랑의 불로 자리 잡으실 때 타오르는 불이요, 저절로의 창조적 분열입니다. 

 

빛이신 주님과 더불어 어둠이, 진리이신 주님과 더불어 거짓이, 생명의 주님과 더불어 죽음이 그대로 분열된 모습으로 드러나는 것입니다. 말그대로 파괴적 분열이 아니라 창조적 분열입니다. 주님을 중심으로 주님 안에서 참 평화를 위한 과정상의 창조적 분열입니다. 

 

주님 없이는 무기력한, 무감각한, 무의욕의 죽음같은 삶입니다. 우리 삶의 중심에 불로, 사랑의 불, 말씀의 불, 성령의 불로 오시어 끊임없이 사랑으로 타오를 때 비로소 살아 있는 삶입니다. 

 

주님이 우리 삶의 중심에 식별의 잣대로 자리 잡을 때 비로소 진리와 거짓, 빛과 어둠, 생명과 죽음, 은총과 죄는 참 평화안에 내포된 분열임을 깨닫습니다. 주님 안에 이런 깊은 상호보완관계의 진리를 깨달을 때 참 평화입니다.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납니다. 좌와 우, 역시 분열이 아니라 주님의 참평화안에 상호보완관계로 존재하는 진리임을 깨닫습니다. 상호 존중과 사랑으로 공존할 때 역동적 참 평화라는 것입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은 우리 삶의 중심에 자리잡은 영원한 불이자 참 평화이십니다. 그리스도 예수님 덕분에 우리는 죄에서 해방되어 죄의 종이 아닌 하느님의 종이 되어 성화의 삶을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끝은 죽음이 아닌 영원한 생명입니다. 죄가 주는 품삯은 죽음이지만, 하느님의 은사는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받는 영원한 생명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시간 우리 모두에게 참평화와 영원한 생명을 선사하시며 타오르는 사랑의 불로 성화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희망의 하늘 아래, 안으로는 사랑의 바다, 밖으로는 믿음의 산이 되어 살게 하십니다. 아멘.

 

 

  • ?
    고안젤로 2019.10.24 07:26
    우리 삶의 중심에 불로, 사랑의 불, 말씀의 불, 성령의 불로 오시어 끊임없이 사랑으로 타오를 때 비로소 살아 있는 삶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9 부활하신 주님과 ‘만남의 여정’ -참나의 발견과 확인-2018.4.3. 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03 181
1188 부활의 증인證人들 -주님의 담대한 용사勇士들-2018.4.2. 부활 팔일 축제내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02 168
1187 파스카의 삶 -날마다 새로운 시작-2018.4.1. 주일 주님 부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4.01 187
1186 그리스도 우리의 빛 -파스카 성야-2018.3.31. 성토요일 파스카 성야 프란치스코 2018.03.31 180
1185 봄이 온다 -부활의 희망-2018.3.30. 주님 수난 성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30 166
1184 하느님 주신 참 좋은 사랑의 선물 셋 -예수님, 성체성사, 발씻어주심-2018.3.29. 주님 만찬 성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9 201
1183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유다가 문제라면 답은 예수님뿐이다-2018.3.28. 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8 153
1182 역사는 현재現在다 -하느님은 조화調和이시다-2018.3.27. 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7 134
1181 사랑이 답이다 -사랑 예찬禮讚-2018.3.26. 성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6 98
1180 어떻게 살 것인가? -물음, 돌아봄, 찾음, 비움-2018.3.25. 주님 수난 성지 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3.25 212
1179 모두가 하느님의 수중에 있다 -기도하라, 감사하라, 최선을 다하라-2018.3.24. 사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4 192
1178 하느님이 희망이시다 -절망은 없다-2018.3.23. 사순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3 189
1177 관계의 깊이 -주님과의 관계가 답이다-2018.3.22. 사순 제5주간 목요일 2 프란치스코 2018.03.22 133
1176 아름답고 거룩한 죽음 -귀천歸天-2018.3.21. 수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480-543/547) 별세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3.21 171
1175 주님과 신망애信望愛의 관계 -주님과 일치가 답이다-2018.3.20. 사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0 104
1174 참 좋은 배경의 사람 -성 요셉-2018.3.19. 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3.19 260
1173 영광스런 삶과 죽음 -예수님이 답이다-2018.3.18. 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3.18 144
1172 기도가 답答이다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2018.3.17. 사순 제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17 101
1171 의인義人의 삶 -우리의 영원한 롤모델 예수님-2018.3.16. 사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16 143
1170 주님을 증언하는 삶 -나는 어떻게 주님을 증언하는가?-2018.3.15.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3.15 198
Board Pagination Prev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