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4.월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로마11,29-36 루카14,12-14

 

 

 

깨달음의 여정

-사랑, 앎, 자유-

 

 

 

삶은 깨달음의 여정입니다. 하느님과 삶의 신비를 사랑으로 깨달아 알아가면서 참으로 자유로워집니다. 그러니 깨달음의 여정과 사랑, 앎, 자유는 함께 갑니다. 깨달음의 여정은 결국 무지로부터의 해방의 여정, 자유의 여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삶은 깨달음의 여정입니다. 아무리 깨달아간다하여도 여전히 무지로 남아있는 신비의 영역임을 깨닫습니다. 바로 하느님은 이런 분입니다. 하느님 탐구는 끝이 없고 여전히 신비로 남아 있는 하느님이요, 인간은 절로 이런 하느님 앞에서 겸손할 수 뿐이 없습니다. 

 

장차 있을 온 이스라엘의 구원을 내다 보는 바오로의 하느님 찬미가가 참 아름답고 웅장합니다. 우리의 영적 시야를 한없이 확장시키는 느낌입니다. 찬미가 전부를 그대로 인용합니다.

 

-“오! 하느님의 풍요와 지혜와 지식은 정녕 깊습니다. 그분의 판단은 얼마나 헤아리기 어렵고 그분의 길은 얼마나 알아내기 어렵습니까? 누가 주님의 생각을 안 적이 있습니까? 아니면 누가 그분의 조언자가 된 적이 있습니까? 아니면 누가 그분께 무엇을 드린적이 있어 그분의 보답을 받을 일이 있겠습니까?

과연 만물이 그분에게서 나와, 그분을 통하여 그분을 향하여 나아갑니다. 그분께 영원토록 영광이 있기를 빕니다.”(로마11,33-36)-

 

이런 하느님 찬미가를 끊임없이 부르며 하느님께 영광과 찬미를 드릴 때 알게 모르게 확장되는 우리의 영적 시야입니다. 이런 하느님 신비에 대한 깨달음은 순전히 은총입니다. 하느님에게서 나와 하느님을 통해 하느님께 나아가는 우리 영적 삶의 여정입니다.

 

깨달음의 은총과 더불어 넓어지는 영적 시야에 깊어지는 영성입니다. 바로 위의 하느님 찬미가는 시편 139장에 근거합니다. 매 4주간 수요일 저녁성무일도 때 마다 부르는 감동적인 139장 찬미가 일부를 인용합니다.

 

“주여, 당신은 나를 샅샅이, 보고 계시나이다

앉거나 서거나 매양 나를 아옵시고, 멀리서도 내 생각을 꿰뚫으시나이다

걸을 제도 누울 제도 환히 아시고, 내 모든 행위를 익히 보시나이다

 

앞뒤로 이 몸을 감싸 주시며, 내 위에 당신 손을 얹어 주시나이다

알으심이 너무나 놀랍고도 아득하와, 내힘이 미치지 못하나이다

 

당신의 얼을 떠나 어디로 가오리까, 당신 얼굴 피해갈 곳 어디오리까

하늘로 올라가도 거기 주는 계시옵고, 지옥으로 내려가도 거기 또한 계시나이다

 

새벽의 날개를 이 몸이 친다하여도, 저 바다의 먼 끝에 산다 하여도

거기에도 당신 손은 나를 인도하시고, 그 오른손 이몸을 잡아 주시리라.”

 

얼마나 은혜로운 내용인지요. 한없이 신비로우며 한없이 자비로우신 하느님이십니다. 이런 하느님의 신비와 자비를 깨달아 알아가는 공부보다 더 중요한 평생공부도 없을 것입니다. 영적 인간인 우리의 참 행복과 참 기쁨도 여기 있습니다. 

 

이런 하느님의 신비와 자비를 깨달아 알아갈수록 하느님을 닮아 자비로운 사람이 될 것입니다. 바로 이의 모범이 예수님이십니다. 이런 깨달음에 바탕한 오늘 복음의 예수님의 권고입니다.

 

“네가 점심이나 저녁 식사를 베풀 때, 네 친구나 형제나 친척이나 부유한 이웃을 부르지 마라. 그러면 그들도 너를 초대하여 네가 보답을 받게 된다.”

 

대부분 이런 이해관계의 인간관계임을 깨닫습니다. 유유상종의 이해관계를 과감히 탈피하여 보답할 길 없는 이들과 함께 나누라는 것입니다. 그대로 하느님의 신비와 자비를 깨달은 자들입니다.

 

“네가 잔치를 베풀 때에는 오히려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여라. 그들이 너에게 보답할 수 없기 때문에 너는 행복할 것이다. 의인들이 부활할 때에 네가 보답을 받을 것이다.”

 

아니 그 때의 보답이 아닌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 보답입니다. 이런 행위 자체가 바로 하느님 자비의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보답할 길 없는 불우한 이들에 대한 아낌없이 나누는 무사한 사랑의 행위가 그 사람의 됨됨이를, 영성을 반영합니다. 

 

유유상종의 끼리끼리 주고받는 이해관계의 인간관계는 정말 하느님 보기에 역겹고 혐오스런 것이며 참으로 회개해야 할 내용입니다. 참으로 부족하고 없는 이들을 무시하며 담을 쌓고 끼리끼리 이익을 나누며 자족하는 계급사회가 얼마나 죄스런 현상인지 깨닫게 됩니다. 교회만은 이들에게 활짝 열려 있어야 할 것이며 바로 이것이 교회의 존재이유일 것입니다.

 

정말 하느님의 신비와 자비를 깨달아 알아갈수록 부족하고 없는 이들과 함께 사랑을 나눔으로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하여 끊임없이 하느님 찬미와 영광의 찬미가를 부르며 우리의 하느님 신비감각을, 자비심을 키워가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비가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당신을 닮아 신비롭고 자비로운 신비가들로 변모시켜 주십니다. 아멘.

 

  • ?
    고안젤로 2019.11.04 12:48
    사랑하는 주님, 주님 주신 이 자비의 시간을 저희도 주님을 닮아 가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8 성가정의 배경; 의인 성 요셉 -우리 모두가 임마누엘입니다-2020.12.18.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0.12.18 100
1267 선물 인생 -우리는 모두가 하느님의 선물이다-2020.12.19.대림 제3주간 토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12.19 95
1266 “코로나19팬데믹 시대-어떻게 살아야 하나?” -은총, 겸손, 관상, 순종-2020.12.20.대림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20.12.20 115
1265 진리의 연인 -마라나타; 오소서, 주 예수님!-2020.12.21.대림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21 104
1264 노래의 힘 -아나뷤anawim의 찬가-2020.12.22.대림 제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22 148
1263 "나는 대체 무엇인 될 것인가? -모두가 하느님 섭리안에 있다-2020.12.23.대림 제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23 107
1262 하느님 중심의 삶 -회개와 겸손, 감사와 평화-2020.12.24.대림 제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24 95
1261 “축祝, 주님 성탄” -오늘 밤 구원자 주 그리스도님 태어나셨습니다-2020.12.25. 주님 성탄 대축일 밤미사 프란치스코 2020.12.24 131
1260 주님 성탄을 축하합시다 -말씀사랑, 말씀예찬-2020.12.25.주님 성탄 대축일 낮미사 1 프란치스코 2020.12.25 107
1259 영적 승리의 삶 -인내와 구원-2020.12.26.토요일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2.26 124
1258 성가정 공동체 -중심, 기도, 공존, 사랑-2020.12.27.주일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가정성화주간) 1 프란치스코 2020.12.27 139
1257 주님 빛 속에서 살아 갑시다 -회개의 삶, 승리의 삶-2020.12.28.월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2.28 106
1256 명품名品인생을 삽시다 -사랑의 봉헌-2020.12.29.화요일 성탄 팔일 축제내 제5일 1 프란치스코 2020.12.29 128
1255 명품名品 인생을 삽시다 -이탈의 삶-2020.12.30.수요일 성탄 팔일 축제 내 제6일 1 프란치스코 2020.12.30 124
1254 하느님의 자녀답게 삽시다 -고귀한 품위의 인간-2020.12.31.목요일 성탄 팔일 축제 제7일 1 프란치스코 2020.12.31 108
1253 축복의 선물 -만복의 근원이신 주님-2021.1.1.금요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세계 평화의 날) 프란치스코 2021.01.01 111
1252 “그분 안에 머무르십시오!” -그리스도와의 우정, 너와 나의 우정-2021.1.2.토요일 성 대 바실리오(330-379)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330-390) 기념일의 1 프란치스코 2021.01.02 123
1251 내적순례여정 -목표, 이정표, 도반, 기도-2021.1.3.주일 주님 공현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1.03 136
1250 회개의 여정 -하늘 나라의 삶- 2021.1.4. 주님 공현 대축일 후 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1.04 155
1249 평생 공부, 사랑 공부, 하느님 공부 -사랑밖엔 길이 없다- 2021.1.5.주님 공현 후 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1.05 139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