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1.10.22.연중29주간 금요일                                                       로마7,18-25ㄱ 루카12,54-59

 

 

주님과 내적일치의 삶

-회개와 화해-

 

 

“주님, 당신의 계명을 제가 믿사오니, 

 올바른 지혜와 지식을 가르치소서.”(시편119,66).

 

오늘 제1독서 로마서는 내적분열의 갈등을 겪는 인간 실존을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바오로 사도의 내적 체험이자 우리 모두의 내적 모순의 모습입니다. 바오로 사도의 고백을 들어보십시오.

 

“나의 내적인간은 하느님의 법을 두고 기뻐합니다. 그러나 내 지체 안에는 다른 법이 있어 내 이성의 법과 대결하고 있습니다. 그 다른 법이 나를 내 지체 안에 있는 다른 법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나 자신이 이성으로는 하느님의 법을 섬기지만, 육으로는 죄의 법을 섬깁니다.”

 

그대로 내적분열의 모습입니다. 누구나 이런 내면의 모순된 모습에 절망할 때가 많을 것입니다. 답은 주 예수 그리스도뿐입니다. 주님과의 일치와 더불어 진정한 내적일치이기 때문입니다. 내적지옥을 내적천국으로 변화시키는 주님과의 일치입니다.

 

“나는 과연 비참한 인간입니다. 누가 이 죽음에 빠진 몸에서 나를 구해 줄 수 있습니까?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나를 구해 주신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우리가 물음이라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는 답입니다. 자신의 어둡고 추한 내면에 좌절하거나 절망하는 경우는 얼마나 많은지요! 바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의 일치만이 내적분열에 대한 유일한 치유책임을 깨닫습니다. 부단한 회개와 화해를 통한 주님과의 일치요 내적일치입니다. 오늘 복음에 대한 답을 바로 오늘 로마서의 바오로가 줍니다. 시대의 표징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바로 무지의 소치입니다. 

 

“너희는 구름이 서쪽에서 올라오는 것을 보면 곧 ‘비가 오겠다.’하고 말한다. 과연 그대로 된다. 또 남풍이 불면 ‘더워지겠다.’하고 말한다. 과연 그대로 된다. 위선자들아, 너희는 땅과 하늘의 징조는 풀이할 줄 알면서, 이 시대는 어찌하여 풀이할 줄 모르느냐?”

 

그대로 오늘 우리를 향한 말씀처럼 들립니다. 시대의 표징을 알아 보지 못하는 무지에 눈먼, 내적분열의 모습입니다. 참으로 주님과의 일치를 회복할 때 영의 눈이 열려 시대의 표징을 읽을 수 있습니다.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를 통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일치뿐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의 혜안으로 볼 때 비로소 있는 그대로의 실상을, 또 시대의 징표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바오로 사도의 고백이 우리가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영적 삶의 지점입니다.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입니다. 내가 지금 육신 안에서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신 하느님의 아드님에 대한 믿음으로 사는 것입니다.”(갈라2,20).

 

무아無我의 삶의 바로 진아眞我의 삶이라는 역설의 진리를 보여줍니다. 참으로 나를 비워 가는 무아의 삶일 때 참나의 진아인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점차 또렷이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궁극으로 도달해야 할 참나는 바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임을 깨닫습니다. 

 

새삼 우리 삶의 여정은 회개의 여정이자 주님과 일치의 여정임을 깨닫게 됩니다. 끊임없는 회개를 통한 자아초월을 통해 주님과의 일치도 날로 깊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어지는 오늘 복음의 후반부 말씀은 지체없는 회개를 촉구합니다. 심판전에 빨리 회개하고 화해하라는 말씀입니다.

 

“너희는 왜 올바른 일을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느냐? 너를 고소한 자와 함께 재판관에거 갈 때, 도중에 그와 함께 합의를 보도록 힘써라.”

 

해지고 잠자리 들기전 회개와 용서를 통해 모두를 말끔히 정리하라는 수요일 끝기도 때 말씀도 생각납니다. 영혼을 파괴하는 화병火病보다 고약한 병도 없기 때문입니다.

 

“죄를 짓지 마십시오. 해질 때까지 성난 채로 있어서는 안됩니다. 악마에게 발 붙힐 기회를 주지 마십시오.”(에페4,26-27)

 

그대로 삶의 지혜입니다. 시대의 징표를 읽지 못하는 자들에 대한 질책과 더불어 올바른 일을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무지한 우리들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참으로 이런 신속한 회개와 화해의 지혜로운 처신은 주님과 일치의 은총임을 깨닫게 됩니다. 

 

끊임없는 회개를 통한 주님과 일치의 은총이 ‘주님의 눈’으로 시대의 표징을 읽게 하고 ‘주님의 마음’으로 즉각적인 회개와 화해와 이르게 합니다. 참으로 내적분열의 무지한 인간에 대한 답은 부단한 회개를 통한 하느님의 지혜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의 일치뿐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날로 당신과의 일치를 깊이해 주십니다.

 

“주님, 당신 자비에 이르게 하소서. 제가 살리이다. 당신 가르침은 저의 즐거움이옵니다.”(시편119,77). 아멘.

 

  • ?
    고안젤로 2021.10.22 09:03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입니다. 내가 지금 육신 안에서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신 하느님의 아드님에 대한 믿음으로 사는 것입니다.”(갈라2,20).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4 거룩하고 슬기로운 삶-2017.9.1. 연중 제21주간 금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9.01 114
973 “깨어 있어라!” -충실하고 슬기로운 삶-2017.8.31. 연중 제21주간 목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31 383
972 평생과제 -참사람이 되는 일-2017.8.30. 연중 제21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30 146
971 항구한 믿음의 여정 -정주定住의 영성-2017.8.29. 화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29 137
970 끊임없는 회개의 여정 -진실과 겸손-2017.8.28. 월요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354-430)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28 136
969 영적 건강의 신비가神祕家가 되고 싶습니까? -놀라움, 새로움, 고마움-2017.8.27. 연중 제21주일 2 프란치스코 2017.08.27 111
968 삶의 중심 -자유, 겸손, 섬김-2017.8.26. 연중 제20주간 토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26 114
967 사랑의 샘, 사랑의 선물-2017.8.25. 연중 제20주간 금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25 125
966 주님과의 만남 -"와서 보시오."2017.8.24. 목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2 프란치스코 2017.08.24 133
965 선한 목자 주님을 공부합시다 -너그럽고 자비하신 주님을!-2017.8.23. 연중 제20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23 120
964 구원은 은총의 선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2017.8.22. 화요일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22 180
963 주님은 삶의 중심과 방향이시다 -나를 따라라-2017.8.21. 월요일 성 비오 10세 교황(1835-191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8.21 107
962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961 동심童心의 회복 -하느님의 나라와 어린이-2017.8.19.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8.19 93
960 일치의 여정, 사랑의 여정 -전례의 생활화-2017.8.18. 연중 제1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8.18 93
959 사랑의 전사戰士 -이제 다시 시작이다-2017.8.17. 연중 제19주간 목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17 116
958 누가 거룩한 사람인가? -지혜, 자비, 기도-2017.8.16. 연중 제19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16 110
957 하늘길 여정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17.8.15. 화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08.15 532
956 자유의 여정 -경천애인敬天愛人-2017.8.14. 월요일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1894-194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8.14 112
955 참 행복한 삶 -사랑, 기도, 믿음-2017.8.13. 연중 제19주일 2 프란치스코 2017.08.13 166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