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4.20. 부활 제3주간 월요일(장애인의 날)                                                                                                                사도6,8-15 요한6,22-29


                                                                                                     영원한 생명 체험


공관복음의 중심메시지가 '하느님 나라'라면, 요한복음의 중심메시지는 '영원한 생명'입니다. 다른 주제인 듯 하지만 똑같이 하느님을 대상으로 합니다. 하느님 나라 체험이 바로 영원한 생명 체험이자 모두 하느님 체험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영원한 생명 체험'에 대한 묵상나눔입니다. '영원한' '생명' '체험'이란 말만 들어도 마음이 밝아지는 기분입니다. 요즘 모두 등한시 취급되고 있는 그러나 너무나 중요한 말들입니다. 역설적으로 오늘날의 영적 삶의 빈곤을 알아 볼 수 있는 척도가 되는 말입니다. 


제 지론은 세 종류의 성경이요 완전한 렉시오 디비나는 신구약성경을 교과서로 하고 자연성경과 내 삶의 성경을 참고서로 할 때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요즘 자연의 변화가 눈부십니다. 늘 봐도 늘 새롭고 좋은 산과 들입니다


"하느님이 참 부지런하셔요.“

수도원을 방문한 김세실리아 자매가 수도원 주변의 눈부신 자연의 변화를 보며 감탄하며 던진 말입니다.

"하느님은 참 놀랍습니다. 침묵중에 쉬지 않고 일하시니 말입니다.“

화답했습니다. 이 또한 자연성경을 렉시오디비나 한 결과입니다. 얼마전 너무나 힘든 처지에 있는 분과 대화중 집무실 창밖 만개한 봄꽃들과 그 넘어 푸른 솔에 눈길이 멎었습니다. '늘 푸른 솔처럼 꾿꾿히 사셔요' 말하고 싶었지만 꾹 참고 후에 '내 보는 건' 이란 시로 표현해 놓았습니다.


-내 보는 건/꽃이 아니다

 꽃 넘어/푸른 솔이다

 푸른 솔 넘어/텅 빈 하늘이다-


현실 안에 살되 현실에 집착하지 말고 그 현실 넘어 마침내 하느님을 상징하는 텅 빈 하늘을 보라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영원한 생명의 하느님 체험이요 결과는 초연한, 홀가분한 자유로움입니다. 바로 예수님의 다음 복음 말씀과 맥을 같이 합니다. 보이는 빵의 현실이 전부인양 집착하지 말고 그 넘어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주님을 응시하라는 것입니다.


"너희가 나를 찾은 것은 표징을 보았기 때문이 아니라 빵을 배불리 먹었기 때문이다. 너희는 썩어 없어질 양식을 얻으려고 힘쓰지 말고, 길이 남아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하는 양식을 얻으려고 힘써라. 그 양식은 사람의 아들이 너희에제 줄 것이다.“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실현되는 진리입니다. 며칠 전 써놓고 행복했던 '하느님만으로 행복하기에'란 자작시가 또 생각이 납니다.


-활짝 열려/활짝 깨어/활짝 피어

 온몸이/눈이, 귀가 된 봄꽃나무들


 온몸이/눈이 되어

 온몸이/귀가 되어


 하느님을 보고 싶다/듣고 싶다

 하늘로 가득 채워진 마음


 하느님만으로/만족하고 행복하기에

 아무것도 아쉬울 것 없다/부러울 것 없다/두려울 것 없다-


깨달음처럼 스친 시이지만 정말 이렇다면 바로 이것이 영원한 생명의 하느님 체험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복음의 예수님은 물론 사도행전의 스테파노, 그리고 무수한 성인성녀들이 행복했던 것은 바로 이런 영원한 생명 체험에서 연유됨을 깨닫게 됩니다. 독서에 나오는 스테파노에 대한 묘사는 그대로 영원한 생명 체험의 가시적 표현들입니다.


'그 무렵 은총과 능력이 충만한 스테파노는 백성 가운데에서 큰 이적과 표징들을 일으켰다.'

'그러나 그의 말에서 드러나는 지혜와 성령에 대항할 수가 없었다.‘

'그러자 최고 의회에 앉아 있던 사람들이 모두 스테파노를 유심히 바라보는데, 그의 얼굴은 천사의 얼굴처럼 보였다.'


영원한 생명의 하느님 체험의 은총이 아니곤 이해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영원한 생명의 빛이 그 얼굴에 가득했기에 천사의 얼굴처럼 보인 스테파노임이 분명합니다. 내면 깊이에서는 누구나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하느님을 배고파하는, 목말라하는 사람들입니다. 바로 이것이 인간의 복된 숙명입니다. 


고맙게도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가 모신 당신의 말씀과 성체성혈로 우리 모두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십니다. 참으로 영원한 생명의 영식(靈食)이자 영약(靈藥)인 주님의 말씀과 성체의 효능이 하느님의 일인 주님을 잘 믿게 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은 장애인의 날인데 성체성사의 은총이 우리의 영적 장애를 치유해 주십니다. 화답송 후렴처럼 주님의 가르침을 따라 살 때 영원한 생명의 체험이요 행복한 삶입니다. 


"행복하여라, 주님의 가르침을 따라 사는 이들!"(시편119.1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3 늘 새로운 시작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2019.4.23.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23 145
672 늘 새로운 시작 -부활하신 사랑의 주님과 함께-2020.4.17.부활 팔일 축제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17 146
671 늘 새로운 삶의 시작 -끝은 시작이다-2022.2.19.연중 제6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2.19 154
670 늘 새로운 만남, 새로운 시작 -주님과 함께-2019.8.24. 토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24 185
669 눈높이 사랑 -부활하신 주님의 사랑-2016.3.30. 부활 팔일 축제 내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3.30 423
668 누구를 찾느냐? -찾아라, 만나라, 전하라-2023.7.22.토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프란치스코 2023.07.22 279
667 누가 하느님의 사람인가?-2017.6.5. 월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675-754)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6.05 105
666 누가 참으로 주님을 따르는 사람인가? -자비로운 사람-2019.3.18. 사순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18 145
665 누가 참 행복한 사람인가? -행복하여라, 하느님께 희망을 둔 사람!-2023.9.13.수요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349-40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9.13 259
664 누가 참 아름답고 행복한 사람인가? -성소聖召에 충실한 사람-2018.7.15. 연중 제15주일 2 프란치스코 2018.07.15 96
663 누가 참 사람인가? -주님의 사랑을 받는 사람-2016.3.5. 사순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3.05 345
662 누가 착한 목자인가? -희망, 평화, 사랑-2018.7.22. 연중 제16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7.22 95
661 누가 진정 슬기로운 수행자修行者인가? -주님 반석 위에 인생집을 짓는 사람-2017.12.7. 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07 153
660 누가 주님의 제자이자 사도인가?-2016.2.7. 연중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16.02.07 232
659 누가 좋은 지도자인가? -기도하는 사람, 겸손한 사람, 지혜로운 사람, 섬기는 사람, 담대한 사람-2017.3.30.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3.30 169
658 누가 정말 좋은 사람인가? -토빗보다 예수님-2017.6.6.연중 제9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6.06 133
657 누가 오는 봄을 막을 수 있는가? -예수님은 봄이시다-2020.4.13.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13 168
656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인가?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2019.1.29.연중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29 189
655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인가? -기도, 공부, 실행-2018.7.24. 연중 제1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4 95
654 누가 예수님의 참 제자인가? -추종追從의 자세-2018.7.2. 연중 제1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2 114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