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2.3.14.사순 제2주간 월요일                                                               다니9,4ㄴ-10 루카6,36-38

 

 

 

자비로운 사람

-우리 인생의 궁극목표-

 

 

 

인생의 궁극목표는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바라시는 바도 당신을 닮아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참으로 영적으로 성장한다는 것도 날로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최후심판도 우리가 얼마나 자비로운 삶을 살았느냐일 것입니다.

 

사실 살다보면 점점 똑같아집니다. 죽을 때는 완전히 똑같아 집니다. 단 하나 차이는 좋은 사람인가 자비로운 사람인가 믿음의 사람인가 하는 것입니다. 주님과 얼마나 깊은 관계의 사람이었는가 하나만 남을 것입니다.

 

“봄비

젖은

촉촉한 대지

 

언제나

거기

그 자리

 

위로와

치유의 

산같은 하느님이시다”-2022.3.13.

 

어제 봄비 내린 아침에 썼던 글입니다. 메마른 온누리를 촉촉이 적시는 봄비같은 차별없이 누구나에게 자비하신 언제나 거기 그 자리에 산같이 계시는 하느님이십니다. 참으로 대자대비하신 연민의 하느님이십니다. 불쌍히 여기는 사랑, 측은히 여기는 사랑, 가엾이 여기는 사랑이 바로 연민의 사랑, 대자대비하신 하느님의 사랑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은 우리 모두에게 평생과제를 부여하십니다.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어떻게 자비로운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복잡하지 않습니다. 구체적 실천의 수행입니다. 주님은 바로 구체적 실천의 처방을 제시하십니다.

 

“1.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심판받지 않을 것이다.

2.남을 단죄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단죄받지 않을 것이다.

3.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

4.주어라.

그러면 너희도 받을 것이다.”

 

아주 간단명료합니다. 모두가 실천해야할 동사입니다. 자비로운 사람은 애매하거나 추상적이지 않습니다. 이런 실천의 사람이 하느님을 닮은 자비로운 사람입니다. 참으로 자기를 알면 이대로 합니다. 자기를 모르는 무지의 사람이기에 남을 심판하고 단죄하고 용서하지 않고 주지 않는 것입니다. 정말 자기의 한계와 부족함을 아는 사람은 결코 심판하거나 단죄하지 않고 용서할 것이며 줄 것입니다.

 

이래서 진정성 가득한 회개의 기도가 필요합니다. 회개의 기도를 통해 하느님의 겸손과 자비를 닮아갑니다. 다니엘 예언자가 이런 기도의 모범을 보여줍니다. 참으로 진솔하고 겸손한 회개의 기도입니다.

 

“아, 주님! 위대하시고 경외로우신 하느님, 

당신을 사랑하고 당신의 계명을 지키는 이들에게 계약과 자애를 지키시는 분!

주님, 당신께서는 의로우십니다. 그러나 저희는 오늘 이처럼 얼굴에 부끄러움만 가득합니다. 저희가 당신께 죄를 지었습니다.

주 저희 하느님께서는 자비하시고 용서를 베푸시는 분이십니다. 그러나 저희는 주님께 거역하였습니다.”

 

일부만 인용했습니다만, 이스라엘인들을 대표한 다니엘의 기도가 진정성이 넘칩니다. 이런 자비하신 하느님을 향한 진정한 회개의 기도가 무지에서 벗어나 자비하신 하느님을 닮게 합니다. 무지에 대한 답은 자비하신 하느님뿐입니다. 참으로 회개의 기도를 통해 겸손하시고 자비하신 하느님을 닮아갈수록 비로소 자비로운 사람이 됩니다. 

 

바로 이런 자비하신 하느님을 그대로 닮은 자비의 모범이 예수님이십니다. 산상설교를 통해 예수님이 얼마나 자비하신 하느님 마음에 정통해 있는지 깨닫습니다.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회개한 우리 모두가 날로 자비하신 하느님을 닮아가게 합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8 주님 복음의 일꾼이자 전사로 파견된 우리들 -하느님 나라의 평화와 치유-2021.1.26.화요일 성 티모테오와 성 티토 주교 기념일 2티모1,1-8 루카10,1-9 1 프란치스코 2021.01.26 119
1227 묵묵히, 충실히, 간절히, 깨어, 한결같이 -진인사대천명의 삶-2021.1.27.연중 제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1.27 127
1226 날로 깊어지는 주님 향한 신망애信望愛의 삶 -한결같은, 시종여일始終如一의 삶-2021.1.28.목요일 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1.28 127
1225 하느님의 나라 -건드리지 않고 내버려 두기, 바라보고 지켜보기-2021.1.29.연중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1.01.29 112
1224 믿음의 여정, 믿음의 전사 -믿음과 희망이 답이다-2021.1.30.연중 제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1.30 84
1223 권위있고 품위있는 삶 -경청, 섬김, 치유-2021.1.31.연중 제4주일(해외 원조 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1.31 95
1222 온전한 삶 -그리스도 중심의 공동체 삶-2021.2.1.연중 제4주간 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2.01 101
1221 봉헌奉獻의 축복 -봉헌 에찬禮讚- ​​2021.2.2.화요일 주님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2.02 95
1220 배움의 여정 -시련, 인내, 겸손, 배움-2021.2.3.연중 제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03 101
1219 하느님의 나라 -배움, 섬김, 나눔-2021.2.4.연중 제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04 106
1218 하느님 중심中心의 삶 -참 권위와 형제애兄弟愛의 원천-2021.2.5.금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2.05 94
1217 행복한 삶 -관상과 활동의 일치-2021.2.6.토요일 성 바오로 미키(1564-1597)와 25명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2.06 102
1216 기도祈禱와 삶 -정주定住의 ‘산, 섬, 나무’같은 삶-2021.2.7.연중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2.07 95
1215 우리의 영원한 본향本鄕이자 안식처安息處 -그리스도 예수님-2021.2.8.연중 제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08 80
1214 참 좋으신 하느님을 닮읍시다 -사랑과 지혜-2021.2.9.연중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09 121
1213 한결같은 ‘하느님 중심의 삶’ -경청敬聽, 환대歡待, 우정友情-2021.2.10.수요일 성녀 스콜라 스티카 동정(480-543)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2.10 184
1212 우리의 기쁨은 하느님의 기쁨 -매사 최선을 다합시다-2021.2.11.연중 제5주간 목요일(세계 병자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2.11 135
1211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의 자녀답게!-2021.2.12.금요일 설 1 프란치스코 2021.02.12 105
1210 죄와 벌 -미사가 답이다-2021.2.13.연중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13 91
1209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 -만남, 치유, 선포-2021.2.14.연중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2.14 121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