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2.3.17.사순 제2주간 목요일                                                              예레17,5-10 루카16,19-31

 

 

 

자기 감옥에 갇힌 수인囚人

-무지無知한 부자-

 

 

오늘 부자와 라자로의 비유가 참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과연 나는 누구인가 묻게 됩니다. 시공을 초월하여 모든 이에게 회개의 표징이 되는 비유입니다. 서두의 묘사를 통해 두 인물이 극명히 비교됩니다.

 

‘어떤 부자가 있었는데, 그는 자주색 옷과 고운 아마포 옷을 입고 날마다 즐겁고 호화롭게 살았다. 그의 집 대문 앞에는 라자로라는 가난한 이가 종기투성이 몸으로 누워 있었다.’

 

‘날마다’라는 말마디가 주목됩니다. 하루하루 날마다 평생 이렇게 살다가 죽은 어떤 부자 같습니다. 어떤 부자는 이름이 없습니다. 바로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듯한 하느님 앞에 참으로 존재감 없는 허무한 존재임을 상징합니다. 반면 가난한 라자로는 이름이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도와 주신다’라는 라자로라는 이름뜻이 가난한 이인 라자로에게도 잘 어울립니다. 가난한 이를 도와 주시는 하느님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부자집 대문 앞에 있었던 라자로는 부자에게는 회개의 표징이자 구원의 표징이었던 것입니다. 혼자의 구원은 없습니다. 그러나 부자는 가난한 라자로에게 정말 무관심했습니다. 더불어 구원임을 몰랐습니다. 한 마디로 자기 감옥 안에 갇힌 수인이었습니다. 고립단절의 현장이 바로 지옥입니다. 

 

어떤 부자는 참으로 무지했습니다. 아무것도 몰랐습니다. 탐욕과 안락의 육적 본능의 욕망만 있을 뿐이었습니다. 하느님도 모르고 이웃도 모르고 자기도 몰랐습니다. 도대체 보고 배운 것이 없었습니다. 위로 죄우사방 완전히 단절 차단된 고립의 삶이었습니다. 

 

기도를 통한 하느님과의 개방이요 자선의 나눔을 통한 이웃과의 개방이요 단식을 통한 자기와의 개방인데 어떤 부자에게는 전혀 이런 수행이 없었습니다. 하느님을 모르고 이웃을 모르니 자기를 알 수 없는 무지한 사람이 되고 말았습니다. 

 

어떤 부자는 오늘날 부자는 물론 우리 모두의 가능성입니다. 어떤 부자가 특별히 나쁜 사람 같지도 않습니다. 라자로에게 악행을 한 것도 아닙니다. 문제는  라자로에 전혀 관심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부자는 혼자의 구원이 아니라 더불어의 구원임을 잊었습니다. 라자로는 부자에게 사람이 아니라 그냥 평범한 사물같은 존재로 전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것입니다. 완전히 비인간화된 부자입니다. 

 

도대체 동료 인간에 대한 연민의 마음이 추호도 없습니다. 사람이라 다 사람이 아니라 측은히 여기는 마음, 가엾이 여기는 마음, 불쌍히 여기는 연민의 마음에 있어야, 공감과 배려의 마음이 있어야 비로소 사람이라 할 수 있는데 부자는 전혀 이와 무관한 괴물같은 사람이었습니다. 완전히 자기 감옥 안에 갇힌 수인의 모습입니다. 간혹 수도원을 찾는 이들이 여기가 천국이라 할 때 마다 제가 드리는 답변이 생각납니다.

 

“외적 환경이 좋아 천국이 아니라 관계가 좋아야 천국입니다. 서로에게 단절로 닫힌 무관한 관계라면 아무리 외적 환경이 좋아도 지옥입니다. 하느님께, 이웃에, 자연에, 자기에 활짝 열려 있어 좋은 관계 속에 살 때 비로소 천국입니다. 죽어서 가는 지옥이 아니라 이런 고립단절의 삶이라면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 시작된 지옥입니다.”

 

그러니 외적으로는 천국같은 부자지만 내적으로는 고립단절의 지옥입니다. 하느님과의 단절이요 이웃인 라자로와의 단절이요 결국은 참나와의 단절입니다. 살아도 살아있는 것이 아닌 무지의 감옥에 갇힌 참으로 자유롭지 못한 부자입니다. 예레미야 예언자가 부자의 상태를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사람에게 의지하는 자와, 스러질 몸을 제힘인 양 여기는 자는 저주를 받으리라. 그의 마음이 주님에게서 떠나 있다. 그는 사막의 덤불과 같아, 좋은 일이 찾아드는 것도 보지 못하리라. 그는 광야의 메마른 곳에서 인적 없는 소금 땅에서 살리라.”

 

바로 고립단절의 지옥 상태에 대한 내면의 묘사같습니다. 바로 복음의 어떤 부자의 내면이 이러했을 것입니다. 참 대조적인 것이 라자로입니다. 외적으로는 가난했지만 내적으로는 하느님께 열려 있었고 부요했습니다. 

 

“행복하여라, 주님을 신뢰하는 사람!”

 

비록 가난했지만 주님께 신뢰와 희망을 두었기에 내적으로는 행복했던 라자로 같습니다. 바로 예례미야서 후반부의 묘사가 라자로와 같이 가난하나 주님께 신뢰와 희망을 둔 이들에 대한 묘사같습니다.

 

“주님을 신뢰하고 그의 신뢰를 주님께 두는 이는 복되다. 그는 물가에 심은 나무와 같아, 제 뿌리를 시냇가에 뻗어, 무더위가 닥쳐와도 두려움없이 그 잎이 푸르고, 가문 해에도 걱정없이 줄곧 열매를 맺는다.”

 

이런 이들이 정말 내적으로 부자요 행복한 자요 자유로운 자입니다. 그러나 탐욕과 안락에 중독된 어떤 부자는 이와는 완전히 반대입니다. 소유에 소유되어 자유를 잃은 존재 상실의 노예의 삶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저승에서 고통받는 어떤 부자를 향한 아브라함의 다음 말마디가 의미심장합니다.

 

“게다가 우리와 너희 사이에는 큰 구렁이 가로놓여 있어, 여기에서 너희 쪽으로 건너가려 해도 갈 수 없고 거기에서 우리쪽으로 건너오려 해도 올 수 없다.”

 

말 그대로 넘을 수 없는, 넘을 다리도 없는 절망의 큰 구렁같습니다. 이미 살아 생전 부자와 라자로의 관계 단절이 계속됨을 봅니다. 부단한 섬김과 나눔의 사랑 실천만이 관계 단절의 큰 구렁을 메꿀 수 있음을 봅니다. 혼자가 아닌 더불어의 구원이요, 살았을 때 기도와 회개이지 죽으면 기도도 회개도 없습니다. 

 

바로 오늘 복음은 살아 있는 우리 모두의 회개를 촉구합니다. 자기 감옥의 부자유한 수인에서 벗어나 하느님께, 이웃에, 자기에게, 이웃에게 활짝 열고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늘 나라를 살라는 회개의 촉구입니다. 새삼 구원은 선택임을 깨닫습니다. 구원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 있습니다.

 

구원을 선택하라 곳곳에서 발견되는 회개의 표징들입니다. 심판 역시 하느님의 하시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한 자업자득의 결과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서로 섬기고 나누며 더불어 구원의 삶을 선택하여 살게 하십니다. 

 

“내가 바로 마음을 살피고, 속을 떠보는 주님이다. 나는 사람마다 제 길에 따라, 제 행실의 결과에 따라 갚는다.”(예레17,10).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8 예닮의 여정 -스승이자 치유자이신 착한목자 예수님-2020.12.5.대림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05 120
2167 마음의 병의 치유와 구원 -주님과의 만남; 기도와 믿음-2020.12.4.대림 제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04 105
2166 슬기로운 삶 -늘 기본에 충실한 1.기도, 2.공부, 3.실행의 삶-2020.12.3.목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2.03 150
2165 축제인생 -지상에서 천국을 삽시다-2020.12.2.대림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02 121
2164 꿈꾸는 대로 된다 -하느님 꿈의 현실화; 이사야, 예수님-2020.12.1.대림 제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01 125
2163 믿음의 여정 -부르심, 버림, 따름-2020.11.30.대림 제1주간 월요일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30 126
2162 깨어 있어라 -사랑, 기도, 희망, 기쁨, 감사-2020.11.29.대림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20.11.29 139
2161 새 예루살렘 -늘 깨어 기도하여라-2020.11.28.연중 제3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0.11.28 864
2160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를 삽시다 -오늘 지금 여기에서-2020.11.27.연중 제3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27 212
2159 그리스도 중심의 참 자유롭고, 부요하고, 행복한 삶 -기도, 가난, 겸손, 순수-2020.11.26.연중 제3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26 224
2158 영적 승리의 삶, 지상 천국의 삶 -기도, 고요, 증언, 인내-2020.11.25.연중 제3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25 183
2157 ‘삶의 아마추어’가 아닌 ‘삶의 프로’가 됩시다. -한결같고 아름답고 매력적인 ‘삶의 프로’-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8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24 144
2156 참 부자富者이자 참 자유인自由人 -사랑과 봉헌, 비움과 가난, 순수와 겸손-2020.11.23.연중 제3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23 140
2155 온 누리의 임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2020.11.22.주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22 161
2154 예수님 중심의 참가족 교회 공동체 -기도, 말씀, 회개, 성체,-2020.11.21.토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21 112
2153 성전 정화 -삶의 중심, 기도와 말씀의 집, 사랑과 평화의 집-2020.11.20.연중 제3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0.11.20 172
2152 주님 환대의 기쁨과 평화 -회개, 환대, 찬미-2020.11.19.연중 제3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19 126
2151 주님의 착하고 성실한 종의 삶 -전례와 삶-2020.11.18.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18 157
2150 죄인에서 성인으로의 참 아름다운 구원의 삶 -환대와 회개, 자기인식-2020.11.17.화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7 153
2149 개안開眼의 여정 -주님과의 끊임없는 만남-2020.11.16.월요일 성녀 제르투르다(1256-1302) 동정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6 115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