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2.10.10.연중 제28주간 월요일                                 갈라4,22-24, 26-27.31-5,1 루카11,29-32

 

 

회개의 표징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

 

 

눈만 열리면 곳곳에 널려 있는 회개의 표징들입니다. 회개의 표징은 동시에 희망의 표징, 구원의 표징이 됩니다. 이런 회개만이 무지에 대한 답이 됩니다. 산티아고 순례 여정후 참 많이 강조해온 말마디가 여정과 무지입니다. 무지의 어둠, 무지의 악에서 벗어나야 비로소 자유로운 삶입니다. 

 

회개의 여정을 통해 지혜로워지고 겸손해질 때 비로소 무지로부터의 해방이요 자유인의 삶입니다. 그러니 무지로부터의 해방은 회개의 여정을 통한 평생과제임을 깨닫습니다. 어제 어느 은퇴한 원로 정치인의 회고록 또한 저에겐 회개의 표징이었고 그 중 한 대목을 나눕니다.

 

“직업으로서의 정치는 열정과 책임감, 그리고 균형이 중요해요. 직업으로서의 학문은 열정과 책임감, 그리고 객관성이 중요하지. 재야 운동은 열정과 책임감과 그리고 희생이 필요해요. 핵심이 달라요. 정치는 균형, 학문은 객관성, 재야 운동은 희생, 헌신이지.

 

내가 80년대 감옥에 있을 때 책을 참 많이 읽었잖아요. 그중에서 도널드 고다드라는 전기작가가 쓴 <죽음 앞에서>가 참 인상적이었어요. 반나치운동을 하다가 처형된 보회퍼 목사의 삶, 그가 겪는 고난과 고뇌를 다룬 거야. 

 

그 책에 고난을 이겨 내려면 고난 자체를 내걸로 체화해야 한다는 대목이 나와요. 내가 기독교인은 아니지만, 고난을 이기기 위해서는 고난을 내것으로 해야 한다는 말을 되새겼어요. 그리고 동지에 대한 믿음, 인간에 대한 믿음이 없었다면 못 견뎠을 거야.”

 

‘하느님’ 빠져 아쉽지만, 정말 공감이 가는 진솔한 대목이요 역시 우리 믿는 이들에게도 가르침이자 깨우침이 됩니다. 무엇보다 인간으로서의 기본적 요소가 열정과 책임감이요 종교인인 우리 믿는 이들에게는 이 둘에 사랑이 추가될 것입니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요 지혜이기 때문입니다. 회개를 통해 살아 계신 주님을 만날 때 열정과 책임감도 새로워질 것이며 겸손과 지혜, 사랑과 순수도 살아날 것입니다.

 

얼마전 영명축일을 맞이하여 사랑하는 도반 사제 두 분으로부터 사랑이 가득 담긴 선물도 저에게 회개의 표징이었습니다. 한 사제는 어제 집무실에 들렸다 시들어 죽어가는 스마트 필름 식물을 살려 내어 오전 내내 세 화분에 분갈이 작업하여 갖다 놓고 전에 선물 받은 ‘개운죽(꽃말은 행복, 행운, 장수)’을 추가하여 배치하여 놓고 다음 같이 설명해 줬습니다.

 

“1.하느님의 구마천사 미카엘, 2.하느님의 심부름 천사 가브리엘, 3.하느님의 치유천사 라파엘, 4.성 프란치스코를 상징하는 개운죽입니다.”

 

도반 사제의 순수한 사랑의 열정 또한 저에겐 회개의 표징입니다. 이런 회개의 표징들을 통해 부단히 회개할 때 겸손과 순수, 자비와 지혜의 회복입니다. 이런 회개의 여정을 통해 날로 무지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로워지는 삶입니다. 오늘 복음의 소주제는 요나의 표징입니다. 요나 역시 회개의 표징입니다. 표징을 요구하는 무지한 군중을 향한 주님의 말씀은 오늘 세대에게도 그대로 통합니다.

 

“이 세대는 악한 세대이다. 이 세대가 표징을 요구하지만 요나 예언자의 표징밖에는 어떠한 표징도 받지 못할 것이다. 요나가 니네베 사람들에게 표징이 된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이 세대 사람들에게 그러할 것이다.”

 

무지의 악입니다. 예나 이제나 악한 세대는 여전합니다. 바로 회개의 표징은 요나와 더불어 회개의 원原 표징인 사람의 아들 그리스도 예수님을 바라보라는 것입니다. 이어 솔로몬의 지혜를 들으려고 땅끝에서 온 남방 여왕을 상기하라는 것입니다. 이런 회개의 표징을 통해 회개를 촉구하는 예수님입니다. 그러나 회개의 결정적 표징은 그리스도 예수님이자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입니다.

 

“그러나 보라, 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보라, 요나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바로 언제 어디에나 현존하여 우리와 함께 하시는, 솔로몬 보다 더 지혜로우시고 요나보다 더 큰 예언자이신 그리스도 예수님이 회개의 결정적 표징이라는 것입니다. 이런 예수님의 삶 자체가 우리에겐 회개의 표징, 희망의 표징, 구원의 표징이 됩니다. 눈만 열리면 오늘 지금 여기서 함께 하시는 주님이 회개의 표징인데 새삼 무슨 하늘로부터의 표징이 필요하겠는지요! 무지에 눈이 가려 진짜 표징을 옆에 놔두고 새삼 하늘로부터 표징을 찾는 악한 세대입니다.

 

무지의 어둠, 무지의 악에 대한 근본 처방은 회개뿐입니다. 회개의 여정을 통해 회개의 표징인 그리스도 예수님과 일치가 날로 깊어질 때 그리스도 예수님을 닮아 날로 자유로워지는 참나의 삶입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바오로 사도의 다음 말씀이 큰 위로가 격려가 됩니다. 이 말씀은 내일의 독서에서도 반복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해방시켜 주셨습니다. 그러나 굳건히 서서 다시는 종살이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갈라5,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8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2020.6.1.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01 214
1467 순수한 마음 -천상 지혜의 샘-2020.6.2.연중 제9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02 113
1466 신비가의 삶 -하늘 나라는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20.6.3.수요일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03 132
1465 가장 큰 계명 -하느님 사랑, 이웃 사랑-2020.6.4.연중 제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04 177
1464 렉시오 디비나의 생활화 -풍요로운 영적 삶-2020.6.5.금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675-75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05 133
1463 참眞 좋고善 아름다운美 예수 성심의 삶 -영적 승리의 삶- ​​​​​​​ 1 프란치스코 2020.06.06 184
1462 삼위일체의 삶 -늘 새롭고 아름답고 행복한 삶-2020.6.7.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6.07 159
1461 참행복 -행복은 발견의 은총이자 선택이다-2020.6.8.연중 제10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08 115
1460 세상의 소금과 빛인 우리들 -참 아름다운 캘리그래피, 포토그래피의 삶-2020.6.9.연중 제1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09 131
1459 하느님의 전사 -기본에 충실한 삶-2020.6.10.연중 제1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10 108
1458 복음 선포의 선교사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2020.6.11.목요일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11 128
1457 땅에서도 하늘의 별처럼 -기도, 순수와 열정, 평온과 겸손, 지혜의 사람들-2020.6.12.연중 제1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12 150
1456 참되고 지혜로운 삶 -진실과 겸손-2020.6.13.토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13 97
1455 참 좋고 아름다운 성체성사의 삶 -예닮의 여정-2020.6.14. 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6.14 199
1454 자비가 지혜다 -폭력과 보복의 악순환 끊기-2020.6.15.연중 제1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15 112
1453 온전한, 완전한, 원숙한 삶 -사랑밖엔 길이 없다-2020.6.16.연중 제1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16 119
1452 농부 하느님 -겸손과 온유, 진실과 지혜-2020.6.17.연중 제1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17 116
1451 주님의 기도 -기도와 삶-2020.6.18.연중 제1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18 134
1450 예수 성심聖心의 사랑과 삶 -온유와 겸손-2020.6.19.금요일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 대축일(사제 성화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6.19 200
1449 성모 성심聖心의 삶 -사랑과 순수, 찬미와 감사, 겸손과 순종-2020.6.20.토요일 티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20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