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2.10.31.연중 제31주간 월요일                                                             필리2,1-4 루카14,12-14

 

 

어떻게 살아야 하나?

-사랑이 답이다-

 

 

“주님, 저에게 생명의 길 가르치시니,

 당신 얼굴 뵈오며 기쁨에 넘치리이다.”(시편16,11)

 

엊그제 이태원 압사 참사에 대해 할 말을 잊습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나? 자문하게 됩니다. 세월호에 이은 대 참사입니다. 있어서는 안 될 대 참사입니다. 이처럼 만추의 아름다운 계절에 이런 일이 일어나다니, 마음이 후둘후둘 떨립니다. 10월31일 오늘 “핼로윈 데이”라는 우리와 무관한 유럽과 미국인들의 축제가 못마땅하기 짝이 없습니다.

 

어제 오후 10시20분 현재 사망자154명 부상자 132명이고 사상자는 더 늘어날 것이라는 새벽 뉴스입니다. 대부분 10대-20대 젊은이들이고 빈소마다 무너진 부모들의 통곡이 가득하다는 소식이었습니다. 새벽 지인 자매로 부터의 메시지도 마음 아팠습니다.

 

“신부님, 이태원 사고로, 노엘이 반 친구가 하느님 품으로. 김민경이라는 아이입니다. 기도부탁드립니다.”

 

내일 11월 위령성월 첫날은 모든 성인 대축일입니다. 끝은 시작입니다. 참으로 온 국민이 참회하는 마음으로 10월의 끝 날을 보내고 내일 11월 모든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는 위령성월 첫날부터 깨어 다시 시작해야 하겠습니다. 새삼 기도의 계절, 가을은 회개의 계절임을 확인하게 됩니다. 11월 한 달은 이태원 참사로 죽은 젊은 영혼들을 위한 연미사 봉헌하려합니다.

 

어제는 제 경우도 각별한 날이었습니다. 제가 가장 사랑했던 둘째 베네딕도 형님의 14주기 기일미사를 형 댁에서 봉헌하였습니다. 14년전 2008년 11월 강론집을 찾아 당시 장례미사(11.3)때의 강론을 읽으면서 감동했습니다. 그때나 14년 후 오늘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한결같이 써온 제 강론에 스스로 놀랐습니다. 

 

오랜만에 본 조카들도 성실하게 살아 온 모습들이 참 고맙고 반가웠습니다. 주님의 은총에 감사했습니다. 매일 밤1시 전후로 기상하여 하루를 시작하기에 오후는 꽤 피곤했지만 끝까지 함께 했습니다. 하루를 충만히 가족들과 함께 지낸 후 늦게 수도원에 들어왔고 “잘 도착하여 잡니다. 감사합니다!” 원장에게 귀원을 알렸습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새벽에 잠깨어 읽은 답신의 평범한 메시지도 마음에 깊은 평화를 주었습니다. 사랑밖엔 답이, 길이 없습니다. 참으로 말없는 마음으로 깊은 위로와 격려의 기도와 사랑이 절실한 만추의 계절 가을입니다. 바오로 사도의 잔잔한 말씀이 깊은 평화를 선사합니다. 공동체는 어디나 문제를 지니고 있기 마련이요, 바오로 사도가 서간을 보낸 필리비 교회도 예외는 아닌 듯싶습니다.

 

“여러분이 그리스도 안에서 격려를 받고 사랑에 찬 위로를 받으며 성령 안에서 친교를 나누고 애정을 나눈다면, 뜻을 같이하고 같은 사랑을 지니고 같은 마음 같은 생각을 이루어, 나의 기쁨을 완전하게 해주십시오.”

 

필리비 신도들과 하나 된 바오로에게 이들의 사랑의 친교는 바오로의 기쁨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봅니다. “나의 기쁨을 완전하게 해 주십시오.”라는 청이 참 절실하게 들립니다. 마치 우리 모두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 안에서 더욱 순수하고 깊은 사랑을 하라는 말씀처럼 들립니다. 바오로를 통해 주님은 우리 모두 아가페 순수한 사랑을 명하십니다.

 

“무슨 일이든 이기심이나 허영심으로 하지 마십시오. 오히려 겸손한 마음으로 서로 남을 자기보다 낫게 여기십시오. 저마다 자기 것만 돌보지 말고 남의 것도 돌보아 주십시오.”

 

오늘 바오로 사도를 통한 주님의 이 말씀, 하루의 양식인 말씀으로 삼아 마음에 담고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참으로 예수 성심을 닮아갈수록 이런 마음일 것입니다. 예수님은 더욱 구체적으로 불쌍한, 가난한 사람들을 초대하라 하시며 아가페 순수한 사랑의 절정을 보여 주십니다. 당시 사람들은 하루 두 끼 식사를 했습니다. 아침 겸 점심, 그리고 저녁식사입니다. 오늘날은 너무 많이 자주 먹는 것 같습니다.

 

“네가 점심이나 저녁식사를 베풀 때, 네 친구나 형제나 친척이나 부유한 이웃을 부르지 마라. 그러면 그들도 다시 너를 초대하여 네가 보답을 받게 된다.”

 

이런 끼리끼리 있는 이들끼리 주고받는 초대를 즐겨 찾지 말라 하십니다. 이런 관행에서 단호히 떠나 참으로 필요한 이들에게 무사한, 대가를 바라지 않는 순수한 사랑의 실천을 즐겨 행하라는 것입니다. 아낌없이 주는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예전 초등학교 교사시절 아이들에게 참 많이 선물했고 그림으로 그려 나눴던 참으로 감동적인 “아낌없이 주는 나무”라는 책이 생각납니다. “눈속에서 3개월”과 “어린왕자”란 책과 더불어 평생 보관하며 읽고 싶은 책이요 읽을 때 마다 감동을 선사하는 책입니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같은 순수한 사랑을 실천하라는 주님의 말씀입니다. 바오로 사도의 권고 말씀과 다음 이 말씀도 마음에 깊이 담고 생활하시기 바랍니다. 

 

“네가 잔치를 베풀 때에는 오히려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 저는 이들, 눈 먼 이들을 초대하여라. 그들이 너에게 보답할 수 없기 때문에 너는 행복할 것이다. 의인들이 부활할 때에 너희가 보답을 받을 것이다.”

 

이런 바라는 일 없이 나누고 베푸는 사랑의 삶을 즐겨 실행하는 사람들이 의인들이요, 이런 의인들이 부활할 때에 주님 친히 보답해 주실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참으로 주님께 희망을 둔 아름다운 사람들이요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이런 사랑과 희망의 사람들로 변모시켜줍니다. 저절로 화답송 시편을 고백하고 싶은 마음이 됩니다.

 

“주님, 제 마음은 오만하지 않나이다.

 제 눈은 높지도 않사옵니다.

 감히 거창한 것을 따르지도, 분에 넘치는 것을 찾지도 않나이다.

 오히려 저는 제 영혼을 다독이고 달랬나이다.

 제 영혼은 마침 젖 뗀 아기, 어미 품에 안긴 아기 같사옵니다.

 이스라엘아, 주님을 고대하여라. 이제부터 영원까지.”(시편131,1-3).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4 무엇이 하느님의 뜻인가?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삶-2018.5.5. 부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5.05 175
813 무엇이 참으로 사는 것인가? -영원한 생명-2018.5.28. 연중 제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5.28 123
812 무엇이 본질적인 삶인가? -하느님 중심의 삶-2018.8.25. 연중 제20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8.08.25 102
811 무아無我의 삶-자유인自由人의 삶-2016.10.29. 연중 제30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9 98
810 무슨 맛으로 삽니까? -영적 삶이냐 육적 삶이냐?-2016.10.15. 토요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15 125
809 무슨 맛으로 사는가?-행복은 선택이자 선물이다-2015.10.10. 연중 제2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10.10 286
808 목마른 사람들 -주님과의 만남이 답이다-2020.3.15. 사순 제3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15 124
807 모든 사람을 공경恭敬하라 -주님의 종- 2020.4.6.성주간 월요일 ​​​​​​​ 프란치스코 2020.04.06 162
806 모든 덕행들의 어머니 -분별력의 지혜-2020.4.24.부활 제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24 113
805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파거불행(破車不行), 노인불수(老人不修)- 오늘 지금 여기를 살라2023.11.28.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8 169
804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 -주님과 만남의 때-2019.7.17.연중 제1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7 219
803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 -늘 오늘 지금 여기서 따뜻한 “봄의 사람”이 되어 삽시다-2023.12.23.토요일 12월23일 프란치스코 2023.12.23 145
802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삶을, 자연을 ‘렉시오 디비나(성독聖讀)’하기-2022.9.23.금요일 피에트니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23 326
801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때를 아는 지혜, 때를 기다리는 믿음, 때를 발아들이는 겸손-2016.9.23. 금요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9.23 421
800 모두가 하느님의 은총이다 -늘 하느님 찬미와 감사의 성령충만한 삶-2023.7.14.연중 제1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7.14 342
799 모두가 하느님의 수중에 있다 -기도하라, 감사하라, 최선을 다하라-2018.3.24. 사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4 192
798 모두가 하느님 손안에 있다 -의연毅然히, 묵묵히默默히, 충실充實히, 항구恒久히-2018.8.2. 연중 제1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2 157
797 모두가 하느님 사랑의 섭리다 -우연은 없다-2019.12.23. 대림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2.23 174
796 모두가 섭리攝理다-2015.12.17. 대림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12.17 238
795 모두가 다 성자聖者다 -오그라든 마음과 몸을 활짝 펴라-2018.1.17. 수요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251-3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1.17 148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