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5.연중 제34주간 금요일                                                묵시20,1-4.11-21,2 루카21,29-33

 

 

 

-“새 하늘과 새 땅”

-오늘 지금 여기가 하느님의 나라이다-

 

 

“보라, 하느님의 거처는 사람들 가운데에 있다.”(묵시21,3ㄴ참조)

 

화답송 후렴이 은혜롭습니다.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오늘 지금 여기 공동체가 하느님의 거처라는 것입니다. 주 하느님을 만나야 할 곳, 바로 내 공동체라는 것입니다. 

 

꿈이, 궁극의 희망이 있어야 삽니다. 바로 하느님 나라의 꿈,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입니다. 예수님의 평생 꿈이, 화두가 하느님의 나라였습니다. 사실 무지의 눈만 열리면 곳곳에 널려 있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오늘 주님은 묵시록의 사탄의 패망에 이어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의 궁극의 꿈, 비전을 보여줍니다. 선물처럼 펼쳐지는 오늘 제1독서 묵시록의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의 비전입니다.

 

“나는 또 새 하늘과 새 땅을 보았습니다. 첫 번째 하늘과 첫 번째 땅은 사라지고 바다로 더 이상 없었습니다. 그리고 거룩한 도성 새 예루살렘이 신랑을 위하여 단장한 신부처럼 차리고 하늘로부터 하느님에게서 내려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대로 참 좋은 하느님의 선물이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입니다. 참으로 이런 꿈을, 희망이, 비전을 지니고 살 때 하느님 중심의 삶에 마음의 순수요 매사 초연할 수 있습니다. 현실주의적 이상주의자의 삶에 올바른 식별의 지혜도 가능합니다. 바로 오늘 복음인 무화과 나무의 비유에 대한 답이 됩니다.

 

“무화과나무와 다른 모든 나무를 보아라. 잎이 돋자마자, 너희는 그것을 보고 여름이 이미 가까이 온 줄을 저절로 알게 된다. 너희도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을 알아라.”

 

앞서의 종말의 사건들을 보면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임재해 있음을 알라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눈만 열리면 곳곳에 널려 있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눈만 열리면 오늘 지금 여기가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 새 예루살렘입니다. 다음 행복기도 내용 그대로입니다.

 

“주님, 눈이 열리니

온통 당신의 선물이옵니다.

당신을 찾아 어디로 가겠나이까

새삼 무엇을 청하겠나이까

오늘 지금 여기가 하느님의 나라 천국이옵니다.”

 

마침 어제 읽은 아름다운 찬미가도 생각납니다. 1880년경, 독일 개신교에서 불렸던 성가입니다.

 

“당신의 불을 붙이소서, 

주여, 내 마음에

밝게 타오르게 하소서, 사랑하는 구원자여

내 존재, 내가 가진 것, 당신 소유가 되리니

당신의 품에 나를 꼭 안으소서.

생명의 샘, 기쁨의 샘,

당신은 내 영혼의 어둠을 밝히시리니

당신은 내 기도를 들으시고, 모든 곤궁에서 도우시리니

예수님, 나의 구원자, 나의 주 하느님.”

 

바로 우리 구원자, 우리 주 하느님, 예수님이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의 꿈의 실현입니다. 이런 예수님과 일치가 깊어질수록 우리 또한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느님 나라를 살 수 있습니다. 참으로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의 실현인 예수님과 함께 깨어 사는 이들에게 선사되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지나가는 세상에 살면서도 지상 삶에 매몰되지 않고 이탈의 초연한 삶, 자유로운 삶입니다. 말그대로 현실주의적 이상주의자의 삶입니다. 오늘 복음 말미의 예수님 말씀이 깊은 위로와 힘을 줍니다. 여전히 시공을 초월하여 오늘 우리에게 해당되는 말씀입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말씀은 살아있고 힘이 있습니다. 말씀은 영이요 생명이요 빛입니다. 우리의 궁극의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을 늘 새롭게 하면서 실현시켜 주는 것이 바로 말씀의 힘이요 위력입니다. 모두가 다 사라져도 하느님은, 파스카 예수님은, 주님의 말씀은 영원합니다. 바로 날마다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를, 새 예루살렘을, 영원한 삶을 살게 하십니다. 

 

“주님을 찬양하여라, 모든 사람들아,

 우리 위한 주님 사랑 굳건하여라.”(시편117,1-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49 사랑이 답이다 -형제애兄弟愛의 실천-2018.1.5. 주님 공현 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8.01.05 120
2348 세상을 이기는 사람 -영원한 생명-2018.1.6. 주님 공현 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8.01.06 137
2347 주님을 찾는 내적순례여정 -순례자의 삶-2018.1.7. 주일 주님 공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7 162
2346 평화의 복 -하느님의 종, 하느님의 자녀-2018.1.8. 월요일 주님 세례 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8 216
2345 ‘무지無知의 어둠’을 밝히는 ‘말씀의 빛’ -말씀과 기도-2018.1.9. 연중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1.09 132
2344 자주 주님과 함께 머무릅시다 -침묵과 고독-2018.1.10. 연중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8.01.10 194
2343 회개와 겸손 -주님과 신망애信望愛의 관계가 답이다- 2018.1.11. 연중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1.11 130
2342 신정神政이냐 왕정王政이냐? -제3의 길; 하느님의 나라-2018.1.12. 연중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8.01.12 140
2341 성소聖召와 식사食事 -밥은 하늘이다-2018.1.13. 연중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8.01.13 194
2340 “당신의 모두가 되고 싶다!” -끊임없이 돌보고 가꿔야 할 우리의 성소聖召-2018.1.14. 연중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8.01.14 117
2339 비우고 비워 하늘이 되고 싶다 -사랑, 지혜, 기쁨-2018.1.15. 월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의 제자 성 마오로와 쁠라치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1.15 157
2338 주님은 누구인가? -늘 우리와 함께 계신 분-2018.1.16. 연중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1.16 129
2337 모두가 다 성자聖者다 -오그라든 마음과 몸을 활짝 펴라-2018.1.17. 수요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251-3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1.17 148
2336 “여일如一하라!” -시기, 질투의 치유-2018.1.18. 연중 제2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18 222
2335 하느님 중심中心의 삶 -관상의 제자弟子, 활동의 사도使徒-2018.1.19. 연중 제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19 116
2334 미쳐야 미친다 -제대로 미치면 성인聖人, 잘못 미치면 폐인廢人-2018.1.20. 연중 제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0 132
2333 영원한 반려자伴侶者 주님과의 행복한 삶 -깨어있음, 회개, 따름-2018.1.21. 연중 제3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1.21 161
2332 하느님의 전사 -성령의 사람-2018.1,22 연중 제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2 146
2331 주님의 참가족 -‘인사이더insider’ 혹은 ‘아웃사이더outsider’?-2018.1.23. 연중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3 132
2330 어떻게 살 것인가? -‘씨뿌리는 활동가, ’좋은 땅’의 관상가로-2018.1.24. 수요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1.24 135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