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5.연중 제34주간 금요일                                                묵시20,1-4.11-21,2 루카21,29-33

 

 

 

-“새 하늘과 새 땅”

-오늘 지금 여기가 하느님의 나라이다-

 

 

“보라, 하느님의 거처는 사람들 가운데에 있다.”(묵시21,3ㄴ참조)

 

화답송 후렴이 은혜롭습니다.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오늘 지금 여기 공동체가 하느님의 거처라는 것입니다. 주 하느님을 만나야 할 곳, 바로 내 공동체라는 것입니다. 

 

꿈이, 궁극의 희망이 있어야 삽니다. 바로 하느님 나라의 꿈,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입니다. 예수님의 평생 꿈이, 화두가 하느님의 나라였습니다. 사실 무지의 눈만 열리면 곳곳에 널려 있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오늘 주님은 묵시록의 사탄의 패망에 이어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의 궁극의 꿈, 비전을 보여줍니다. 선물처럼 펼쳐지는 오늘 제1독서 묵시록의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의 비전입니다.

 

“나는 또 새 하늘과 새 땅을 보았습니다. 첫 번째 하늘과 첫 번째 땅은 사라지고 바다로 더 이상 없었습니다. 그리고 거룩한 도성 새 예루살렘이 신랑을 위하여 단장한 신부처럼 차리고 하늘로부터 하느님에게서 내려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대로 참 좋은 하느님의 선물이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입니다. 참으로 이런 꿈을, 희망이, 비전을 지니고 살 때 하느님 중심의 삶에 마음의 순수요 매사 초연할 수 있습니다. 현실주의적 이상주의자의 삶에 올바른 식별의 지혜도 가능합니다. 바로 오늘 복음인 무화과 나무의 비유에 대한 답이 됩니다.

 

“무화과나무와 다른 모든 나무를 보아라. 잎이 돋자마자, 너희는 그것을 보고 여름이 이미 가까이 온 줄을 저절로 알게 된다. 너희도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을 알아라.”

 

앞서의 종말의 사건들을 보면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임재해 있음을 알라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눈만 열리면 곳곳에 널려 있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눈만 열리면 오늘 지금 여기가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 새 예루살렘입니다. 다음 행복기도 내용 그대로입니다.

 

“주님, 눈이 열리니

온통 당신의 선물이옵니다.

당신을 찾아 어디로 가겠나이까

새삼 무엇을 청하겠나이까

오늘 지금 여기가 하느님의 나라 천국이옵니다.”

 

마침 어제 읽은 아름다운 찬미가도 생각납니다. 1880년경, 독일 개신교에서 불렸던 성가입니다.

 

“당신의 불을 붙이소서, 

주여, 내 마음에

밝게 타오르게 하소서, 사랑하는 구원자여

내 존재, 내가 가진 것, 당신 소유가 되리니

당신의 품에 나를 꼭 안으소서.

생명의 샘, 기쁨의 샘,

당신은 내 영혼의 어둠을 밝히시리니

당신은 내 기도를 들으시고, 모든 곤궁에서 도우시리니

예수님, 나의 구원자, 나의 주 하느님.”

 

바로 우리 구원자, 우리 주 하느님, 예수님이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의 꿈의 실현입니다. 이런 예수님과 일치가 깊어질수록 우리 또한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느님 나라를 살 수 있습니다. 참으로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의 실현인 예수님과 함께 깨어 사는 이들에게 선사되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지나가는 세상에 살면서도 지상 삶에 매몰되지 않고 이탈의 초연한 삶, 자유로운 삶입니다. 말그대로 현실주의적 이상주의자의 삶입니다. 오늘 복음 말미의 예수님 말씀이 깊은 위로와 힘을 줍니다. 여전히 시공을 초월하여 오늘 우리에게 해당되는 말씀입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말씀은 살아있고 힘이 있습니다. 말씀은 영이요 생명이요 빛입니다. 우리의 궁극의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을 늘 새롭게 하면서 실현시켜 주는 것이 바로 말씀의 힘이요 위력입니다. 모두가 다 사라져도 하느님은, 파스카 예수님은, 주님의 말씀은 영원합니다. 바로 날마다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를, 새 예루살렘을, 영원한 삶을 살게 하십니다. 

 

“주님을 찬양하여라, 모든 사람들아,

 우리 위한 주님 사랑 굳건하여라.”(시편117,1-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8 회개悔改가 답答이다 -부패腐敗인생이 아닌 발효醱酵인생을 삽시다-2018.2.21. 사순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1 127
1147 삶의 조각彫刻 -기쁨의 원천原泉-2018.2.20. 사순 제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0 127
1146 최후의 심판 -사랑 실천이 최후심판의 잣대이다-2018.2.19. 사순 제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9 131
1145 광야廣野 인생 -우리는 모두 ‘주님의 전사戰士'입니다-2018.2.18. 사순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2.18 128
1144 “나를 따라라.” -회개한 죄인罪人, 치유받은 병자病者-2018.2.17.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7 141
1143 축복받은 삶 -하느님은 축복의 근원이시다-2018.2.16. 금요일 설 1 프란치스코 2018.02.16 160
1142 하루하루 삽시다 -평생처럼,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2018.2.15.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5 200
1141 “아름답고 거룩한 사순시기를 삽시다!” -회개, 지금, 진실, 사랑-2018.2.14. 수요일 재의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4 115
1140 자기인식 -인생은 선물이자 과제이다-2018.2.13. 연중 제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3 190
1139 주님 표징들로 가득한 세상 -삶은 일상日常이자 이벤트Event이다-2018.2.12. 연중 제6주간 1 프란치스코 2018.02.12 114
1138 삶의 목표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2018.2.11. 연중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2.11 151
1137 환대歡待의 사랑 -경청傾聽이 우선이다-2018.2.10. 토요일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480-543)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2.10 180
1136 “에파타!-열려라!” -지금 주님을 만남이 답이다-2018.2.9. 연중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9 382
1135 믿음의 전사戰士 -전사戰死해야 전사戰士다-2018.2.8. 연중 제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8 126
1134 사랑이 답이다 -순수純粹, 지혜智慧, 겸손謙遜-2018.2.7. 연중 제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7 214
1133 영원한 반려자 -주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8.2.6. 화요일 성 바오로 미끼(1164-1597)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2.06 166
1132 예수님이 답이다 -우리의 ‘홈쉬트 홈home! sweet home’인 예수님-2018.2.5. 월요일 성녀 아가다 동정 순교자(+25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2.05 194
1131 주님과의 만남이 답이다 -만남의 축복-2018.2.4. 연중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2.04 262
1130 지혜가 답이다 -외딴곳을 마련하라-2018.2.3. 연중 제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3 166
1129 봉헌奉獻이 답이다 -봉헌의 생활화生活化-2018.2.2. 금요일 주님 봉헌 축일(봉헌생활의 날) 1 프란치스코 2018.02.02 220
Board Pagination Prev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