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5.23. 부활 제7주간 토요일                                                                                                      사도28,16-20.30-31 요한21,15-19


                                                                                   주님은 삶의 방향이시다

                                                                                          -나를 따라라-


주님은 아름답습니다. 진선미, 참되고 좋고 아름다운 주님이십니다. 주님을 따라 살수록 우리 역시 주님을 닮아 진선미의 사람이 됩니다. 요즘 수도원의 풍경이 참 아름답습니다. 주님의 진선미를 그대로 반영하는 풍경입니다. 어디를 찍어도 작품입니다. 지인들이 가끔 보내주는 그림들과 핸드폰으로 찍은 그림같은 사진과는 비교도 안됩니다. 


하여 저는 카톡 사진을 일컬어 '하느님의 그림'이라 합니다. 복음 선포하는 마음으로 간혹 지인들에게 선물하는 아름다운 하느님의 그림입니다. 주님의 아름다움이 평화를 주고 마음을 감동케하여 정화합니다. 


"명동지하 갤러리에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풍경이어요. 매우 감사합니다.“

"진짜 평화가 물씬 풍기네요."


수도원의 풍경이 너무 아름답고 평화로워 보낸 하느님의 그림인 사진에 대한 제자와 어느 화가의 답신 메시지입니다. 명동지하 갤러리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면서 '피에타'를 주제로 논문을 쓰는 제자입니다. 


하느님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반영하는 예수님이십니다. 우리가 평생 따라야 하는 삶의 방향이신 예수님이십니다. 부단히 주님을 따를 때 방황하지 않으며 점차 확장되는 내적자유에 꽃보다 아름다운 영혼입니다. 오늘 복음의 수제자 베드로와 애제자 요한과의 미묘한 갈등이 재미있습니다. 


"주님, 이 사람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예수님은 베드로의 애제자 요한에 대한 불순한 동기를 알아 챘음이 분명합니다. '이 사람'은 영어로 'this man'인가 하여 찾아 봤더니 아녔습니다. 'this man'은 예전 김대중 대통령이 미국의 부시 대통령을 방문했을 때, 부시가 김 대통령을 가리켜 한 모욕적 지칭이라 널리 회자됐던 말마디입니다. 베드로의 심중을 살린 번역 같습니다.


"내가 올 때까지 그가 살아 있기를 바란다 할지라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으냐? 너는 나를 따라라.“

베드로의 심중을 꿰뜷어 통찰한 주님의 지혜로운 처방 말씀입니다. 불필요한 관심을 거두고 나를 따르는 일에만 전념하라는 말씀입니다. 주님은 한 말씀으로 베드로의 복잡한 내면을 말끔히 정리해 주십니다. 이 말씀을 묵상할 때 마다 떠오르는 두 말마디가 생각납니다. 

"너나 잘해. 네가 뭔데.“

직설적인 말투이지만 주제넘게 불필요한 간섭을 즐기는 자들에 대한 아주 적절한 일침이 되는 말입니다. 아마 베드로에 대한 예수님의 솔직한 심정도 이와 같았을 것입니다.


"나를 따라라.“

어제에 이어 반복되는 예수님의 베드로에 대한 말씀입니다. 아니 베드로뿐 아니라 우리 모두를 향한 말씀입니다. 예수님을 따라 예수닮기, 예수살기에 올인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래야 그리스도의 향기를 발하는 진선미의 자유로운 삶입니다. 복음이 수제자와 애제자의 대조와 더불어, 독서와 복음의 바오로와 베드로의 대조도 재미있습니다. 두 사도는 가톨릭 교회의 양대 기둥입니다. 


참 아름답고 자유로운 영혼의 사람, 바오로입니다. 오로지 주님만 따랐기에 어디에 머물든 자유롭고 편안한 고향입니다. 삶과 죽음을 넘어 영원한 파스카의 삶을 사는 바오로입니다. 바로 다음 구절의 묘사가 이를 입증합니다.


"나는 이스라엘의 희망 때문에 이렇게 사슬에 묶여 있습니다.“


육신은 사슬에 묶여 있지만 주님께 희망을 둔 자유로운 영혼까지는 묶어 놓을 수는 없었습니다. 하여 셋집에서 만 이 년 동안 머무는 동안 바오로는 자기를 찾아오는 모든 사람을 환대하여 아주 담대히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가르칩니다. 참 아름다운 영혼의 대자유인 바오로입니다. 


베드로, 요한, 바오로는 각자 고유의 아름다운 몫과 역할을 지닌 주님의 사도들입니다. 우열의 비교 대상이 아닌 감사의 대상인 세 사도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을 닮은 각자 고유의 아름답고 자유로운 영혼으로 변모시켜 주십니다.

"주님, 올곧은 이는 당신 얼굴 뵈오리다."(시편11,7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4 우리 삶은 ‘믿음의 수련장修鍊場’이다-2016.1.14. 연중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1.14 199
1433 우리 삶의 指標 -주님의 종-2016.7.16.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7.16 208
1432 우리 삶의 궁극 목표 -자비로운 아버지를 닮는 것-2016.2.27. 사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2.27 198
1431 우리 삶의 궁극 목표 -성인이 되는 것-2017.11.1. 수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11.01 258
1430 우리 삶의 영원한 모델 -주님의 충복忠僕인 성 요한 세례자-2020.6.24.수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6.24 139
1429 우리 삶의 영원한 모범이신 성모 마리아 -성모 마리아 예찬禮讚-2022.12.20.화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22.12.20 344
1428 우리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2017.3.25. 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3.25 203
1427 우리 삶의 중심(中心) -하느님의 아드님, 주 예수 그리스도님-2021.6.30.연중 제3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6.30 126
1426 우리 삶의 중심이신 하느님 -관계의 깊이-2018.12.20.대림 제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20 100
1425 우리 영혼의 본향(本鄕)이신 예수님 -집에서 집을 그리워함- (homesick at home)2024.2.5.월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231-25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2.05 150
1424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 -삶의 목표, 삶의 방향, 삶의 중심, 삶의 의미-2024.1.6.주님 공현 대축일 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1.06 126
1423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왕 -온 누리의 참 임금-2021.11.21. 주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성서주간) 1 프란치스코 2021.11.21 198
1422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오늘 지금 여기-2020.11.12.목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2 85
1421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이다 -하느님 꿈의 현실화-2021.10.18.성 루카 복음 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10.18 132
1420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겨자씨같은 사람, 누룩같은 사람-2021.10.26.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26 169
1419 우리 함께 '믿음의 전사戰士''로 살아갑시다-2016.10.2. 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 프란치스코 2016.10.02 164
1418 우리가 바로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행복은 선택, 천국을 삽시다”-2022.11.10.목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10 258
1417 우리가 하느님의 성전聖殿입니다 -전례와 성전정화-2021.11.19.연중 제3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19 187
1416 우리는 '주님의 종'입니다 -우연偶然이 아니라 섭리攝理입니다-2016.6.24. 금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6.06.24 342
1415 우리는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戰士, 주님의 학인學人, 주님의 형제兄弟- ​​​​​​​2020.1.9.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9 153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