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7.28.연중 제16주간 금요일                                                           탈출20,1-17 마태13,19-27

 

 

 

좋은 땅, 좋은 수확의 사람이 됩시다

-렉시오 디비나(성독)의 습관화-

 

 

 

어제 밤에 받은 카톡 메시지 행복의 비결중 마지막 권고에 공감했습니다. 

 

1.춤추라, 아무도 바라보고 있지 않은 것처럼.

2.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3.노래하라, 아무도 듣지 않은 것처럼.

4.살라,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사랑하고 노래하며 춤추며 살라는 현실적 지혜가 담겨 있는 사랑의 충고입니다. 이런 마음으로 날마다 시편성무일도를 바쳐도 참 좋겠습니다. 사실 저는 70대 넘어서부터는 아침 산책 때 마다 아무도 보이지 않는다 싶으면 옛 동요들을 힘차게 부르곤 합니다. 어제 준비했던 강론의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간의 가장 큰 마음의 병은 하느님을 모르는 무지의 병이다. 참으로 하느님을 알고 자기를 아는 것이 지혜요 겸손이다. 끊임없는 회개를 통해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알아갈수록 참행복, 참자유, 참평화, 참희망, 참기쁨에 웬만한 병은 다 낫는다. 인간이 물음이라면 하느님은 답이다. 인간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를 통한 하느님과의 만남뿐이다.”

 

오늘 강론의 결론과 같은 제목을 말씀드린다면, “누구나 좋은 땅. 좋은 수확의 사람이 될 수 있다-렉시오 디비나, 성독의 자발적 선택과 훈련, 습관화와 더불어-” 입니다. 생각하는 대로 삽니다. 비관적 부정적 인생관이 아니라 긍정적 낙관적 인생관을 지닐 때 누구나 좋은 땅, 좋은 수확의 사람이 되어 살 수 있습니다. 결론하여 “절망은 없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 제가 요근래 참 많이 강조하는 좋은 덕목의 선택-훈련-습관화의 영적 삶의 도식입니다.

 

새벽 교황님의 홈페이지 나온 글이 좋았습니다. 메주고리에서 7.26-7.30일 까지 벌어지는 젊은이들 축제에 보낸 메시지 서두 말씀부터 은혜로웠습니다. “하느님은 너희 각자를 위한 사랑의 계획을 갖고 계신다. 그러니 하느님의 뜻을 두려워하지 마라. 너희의 모든 신뢰를 그분의 은총에 놓으라. 하느님의 뜻은 참행복에로의 길이다. 사랑의 계획, 젊을 때 ‘예’하고 대답하라. 더좋은 세상을 위해 너그러운 마음으로 응답하라.” 젊은이들뿐 아니라 모든 세대에 해당되는 격려 말씀입니다.

 

하느님은 누구나에게 당신 사랑의 계획을 갖고 계십니다. 바로 오늘 복음의 좋은 땅, 좋은 수확을 기대하고 계십니다. 오늘 복음의 우의적 비유해설은 예수님이 아닌 초대교회의 해석이라는 것이 지배적이나 예수님의 생각이 그대로 담겨있다 생각됩니다. 네가지 유형의 사람을 이야기 합니다만 확정된 고정적 현실이 아니라 유동적인 가변적이 현실이라는 것입니다.

 

지성이면 감천이요 진인사대천명입니다. 아무리 옥토같은 마음밭도 방치하면 잡초들 우거진 박토로 변하지만 박토같은 마음밭도 끊임없이, 한결같이 가꾸고 돌보는 수행의 선택, 훈련, 습관을 통해 좋은 땅의 마음밭으로 변화됩니다. 문제는 말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마음밭에 있습니다. 과연 내 삶의 성향은, 현 마음밭 상태는 넷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1.길에 뿌려진 씨처럼, 말씀을 깨닫지 못해 즉시 악마가 가져가 버리는 상태가 있고, 2.돌밭에 뿌려진 씨처럼, 말씀을 기쁘게 받아들이나 뿌리가 없어 환난이나 박해에 곧 걸려 넘어지는 상태가 있고, 3.가시덤불 속에 뿌려진 씨처럼, 말씀을 들어도 세상 걱정과 재물의 유혹에 숨이 막혀 열매를 맺지 못하는 상태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상태는 누구도 원하지 않을 것이며 또 고정 확정된 상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정말 이것은 하느님 책임이 아니라 우리의 책임입니다. 타고난 것들에 어리석게 절망할 시간이 있으면 그 시간에 하느님 말씀을 선택하고 훈련하고 습관화하여 즉, 부단한 렉시오 디비나 성독의 수행으로 절망의 늪에서 벗어나 새롭게 시작하라는 것입니다. 참으로 하느님께 희망을 두는 자에게는 늘 새로운 시작이 있을 뿐입니다. 그러니 좋은 땅, 좋은 수확은 우리의 좋은 선택과 훈련, 습관에 달려 있습니다. 생명과 빛, 희망과 기쁨, 평화와 자유를 주는 하느님의 살아 있는 계명의 말씀들입니다.

 

“좋은 땅에 뿌려진 씨는 이런 사람이다. 그런 사람은 말씀을 듣고 깨달아 열매를 맺는데, 사람에 따라 어떤 이는 백 배, 어떤 이는 예순 배, 어떤 이는 서른 배를 낸다.”

 

바로 렉시오 디비나, 성독의 착실하고 항구한 수행자들이 그러합니다. 말씀을 1.경청하고, 2.묵상하고, 3.기도하고, 4.관상하고, 5.실천하는 이들이 바로 그러합니다. 오늘 제1독서에서 모세는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을 만나 십계명을 받습니다. 사랑의 십계명의 말씀을 선택하여, 훈련하고 습관화할 때 좋은 땅, 좋은 수확일 것입니다. 십계명의 실천 정도를 자체 평가해 보시기 바랍니다. 10점 만점에 몇점쯤 되겠습니까?

 

1.한 분이신 하느님을 흠숭하라.

2.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마라.

3.주일을 거룩히 지내라.

4.부모에게 효도하라.

5.사람을 죽이지 마라.

6.간음하지 마라.

7.도둑질을 하지 마라.

8.거짓 증언을 하지 마라.

9.남의 아내를 탐내지 마라.

10.남의 재물을 탐내지 마라.

 

십계명의 준수는 인간관계에 지극히 기본적인 전제 필수 조건입니다. 하느님 사랑, 이웃 사랑, 거창하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 모세를 통해 우리에게 준 이 사랑의 십계명만 지켜도 좋은 신자입니다. 그러나 이 십계명의 준수만으로 착한 신자는 될 수 있을 지 몰라도 성인은 못됩니다. 

 

십계명 준수는 기본으로 하고 이에다 예수님께서 주신 참행복의 진복팔단을 선택하고 훈련하고 습관화하는 실천이 있을 때 비로소 사랑의 완성이요, 거룩한 성인이 됩니다. 한 번 참행복의 진복팔단의 실천 정도를 해아려 보시기 바랍니다. 8개 항목, 2점은 기본점수로 하고 10점 만점에 내 성덕 점수는 얼마쯤 되겠는지요?

 

1.행복하여라, 마음의 가난한 사람들!

2.행복하여라, 슬퍼하는 사람들!

3.행복하여라, 온유한 사람들!

4.행복하여라,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

5.행복하여라, 자비로운 사람들!

6.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7.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8.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

 

이렇게 성덕의 삶을 산 이들에 대한 주님의 축복 말씀입니다.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너희가 하늘에서 받을 상이 크다.” 무엇보다 날마다 정성을 다해 바치는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전례 은총이 우리 모두 좋은 땅, 좋은 수확의 삶을 살도록 도와 주실 것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68 수행의 궁극목표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 둥글게 사는 것-2018.2.26. 사순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6 330
3167 희년(禧年)의 영성 -인간의 해방, 경제적 해방, 생태적 해방-2023.8.5.연중 제1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05 329
3166 주님의 기도 -기도가 답이다-2023.6.22.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2 329
3165 비움의 훈련, 비움의 여정 -“축제인생을 삽시다! 고해인생이 아닌”-2022.9.15.목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15 329
3164 너는 나다-2015.12.18. 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2.18 329
3163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2015.4.7. 부활 팔일 축제 내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4.07 329
3162 새 하늘과 새 땅 -꿈꾸는 사람, 춤추는 사람-2015.3.16. 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3.16 328
3161 사부 성 베네딕도 예찬 -유럽의 수호자,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2023.7.11.화요일 유럽의 수호자 사부 성 베네딕도 아빠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7.11 327
3160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 중심의 삶과 기도, 그리고 지혜와 사랑-2022.9.18.연중 제25주일 프란치스코 2022.09.18 327
3159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2015.6.29. 월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6.29 327
3158 주님과 만남의 여정 -“평생, 하루하루, 날마다, 오늘 지금 여기서”2022.9.12.연중 제2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9.12 326
3157 성령 충만한 하늘 나라 공동체 -성령聖靈과 악령惡靈-2016.10.7. 금요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07 326
3156 참된 삶, 영원한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23.7.15.토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7.15 325
3155 영적승리 -하느님 중심의 삶-2022.10.7.금요일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07 325
3154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삶을, 자연을 ‘렉시오 디비나(성독聖讀)’하기-2022.9.23.금요일 피에트니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23 325
3153 2017.3.18. 사순 제3주간 토요일-정두균 바오로와 유병은 율리안나의 혼인미사-참 좋은 사랑의 선물 프란치스코 2017.03.18 325
3152 성령의 선물-2016.5.15. 주일 성령 강림 대축일 (스승의 날, 가정의 날) 프란치스코 2016.05.15 325
3151 늘 하느님을, 하늘 나라를 꿈꾸십시오 -꿈은 이뤄집니다-2023.7.12.연중 제1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7.12 324
3150 민족의 화해와 일치 -평화공존-2023.6.25.주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프란치스코 2023.06.25 324
3149 영원한 삶 -주님을 섬기고 나누며 따르는 삶-2023.8.10.목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25-258) 축일 프란치스코 2023.08.10 32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