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6.5. 금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675-754)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토빗11,5-17 마르12,35-37


                                                                                              인명人命은 재천在天이다


오늘 독일의 사도라 칭하는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의 생몰연대를 보면서 새롭게 깨달은 '인명은 재천이다'라는 진리였습니다. 건강관리는 기본적으로 본인이 해야겠지만 궁극의 건강과 장수는 하느님께 달려 있다는 고백같은 말입니다. 특히 오늘 기념하는 성 보니파시오 같이 1300여년전 그 옛날, 독일 및 프랑스의 광활한 지역의 악조건 속에서 파란만장한 선교활동을 하며 순교하기까지 79세까지 장수했다는 사실에서 이런 진리를 실감하게 됩니다.


신앙인은 물론 성인들의 우선적 관심사는 하느님 사랑입니다.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와 52명 동료순교자들의 삶과 죽음을 통해 드러나는 그들의 하느님께 대한 열렬한 사랑입니다. 오늘 1독서의 토빗과 토비야의 삶도 예외는 아닙니다. 신앙도 부전자전, 아버지 토빗의 하느님 사랑과 믿음을 고스란히 이어 받은 아들 토비야 같습니다. 그대로 아버지의 하느님 믿음을, 사랑을 보고 배운 토비아임이 분명합니다. 


부자간의 사랑이 참 놀랍고 아름답게 표현됩니다. 이 또한 하느님 사랑의 반영입니다. 우선 마음에 와 닿은 것이 감사한 일을 겪었을 때 지체없이 하느님께 찬미와 감사를 올린 일입니다. 토빗이 눈을 뜨자 울면서 토비야 아들의 목을 껴안고 말한 대목이 감동적이며 의미심장합니다.


"얘야, 네가 보이는 구나, '내 눈에 빛(the light df my eyes)'인 네가."


토빗의 눈엔 토비야가 하느님의 선물, 하느님의 빛으로 보인 것입니다. 진정 믿음의 사람은 하느님의 빛같은 존재임을 깨닫습니다. 세상의 어둠이 아닌 하느님의 빛 같은 존재가 토비야 같은 믿음의 사람입니다. 이어 자연스럽게 터져 나오는 토빗의 하느님 찬미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찬미받으소서. 그분의 위대한 이름은 찬미받으소서.“


이어 토비야 역시 기쁨에 넘쳐 소리 높여 하느님을 찬미하며 화답합니다. 마지막으로 며느리를 환영하며 하느님께 찬미와 더불어 축복을 비는 토빗의 모습이 참 아름다운 감동입니다. 진정 신앙 깊은 자비로운 어른을 보는 느낌입니다.


"얘야 잘 왔다. 너를 우리에게 인도하여 주신 너의 하느님께서 찬미받으시기를 빈다. 너의 아버지께서 복을 받으시고 내 아들 토비야도 복을 받고, 너도 복을 받기를 빈다.“


행복은 선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느님께 찬미와 감사를 드릴 때 축복이요 행복입니다. 하느님 사랑은 저절로 찬미와 감사로 표현되기 마련입니다. 찬미와 감사의 영성생활도 훈련이요 습관입니다. 하느님을 늘 기억하기 위해선 봐야 합니다. 보는 것이 사랑이요 기도요 믿음입니다. 하여 저는 요즘 면담성사나 집무실을 찾는 이마다 휴대폰 앞면 케이스에 요셉수도원의 로고를 붙여드리며 통화할 때 마다 로고를 보며 하느님을 기억하며 사랑을 고백하라 당부합니다. 고백성사후 가능하면 강복도 드립니다. 사소해 보이는 일상의 이런 수행이 하느님 사랑에 끊임없는 자양분이 됩니다. 매사 궁극의 해결책은 열렬한 하느님 사랑뿐입니다. 


오늘 복음의 실마리도 이런 하느님 사랑에서 풀립니다. 율법학자들의 말을 빌려 메시아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이라 신앙고백해도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또한 믿음의 표현이요 마태복음 서두 역시 '다윗의 자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로 시작됩니다. 그런가 하면 그리스도 예수님을 하느님의 아드님, 또는 주님이라 표현해도 무방합니다. 이 또한 믿음의 표현이요, 마르꼬 복음 서두가 '하느님의 아드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은 시편 110장을 예로 들어 자신을 다윗의 주님이라 말씀하시는데 이것은 예수님 친히 발설한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입을 빌어 파스카 주님을 체험한 초대교회신자들의 고백인 것입니다.


"이렇듯 다윗 스스로 메시아를 주님이라고 말하는 데, 어떻게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이 되겠느냐?“


제자들은 예수님의 입을 빌어 이렇게 반박했지만 깊은 믿음의 차원에서 보면 예수님은 '다윗의 자손'이기도 하고 '다윗의 주님'이기도 하다는 두 고백 다 맞는 것입니다. 오늘 매일미사 묵상란의 일화도 좋은 참고가 됩니다. 필자의 친구와 논문 지도교수간의 갈등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친구는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이라 주장했고, 지도교수는 메시아가 '하느님의 아드님'이라 주장하던 중, 지도교수님이 "우리 둘이 꼭 의견이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하고 끝을 맺고 논문을 통과시켜 줬다는 일화입니다. 오늘 강론의 취지에 비춰볼 때 전자는 마태복음의 관점이고 후자는 마르꼬 복음의 관점으로 두 신앙고백 다 맞는 것입니다. 각자의 한계를 인정한 존경받아 마땅한 겸손하고 관대한 교수님이심이 분명합니다. 이 또한 깊은 하느님 사랑의 열매입니다.


결과보다는 하느님 사랑의 동기와 과정이 중요합니다. 하느님 사랑의 동기와 과정은 다 같아도 사람마다 결과의 열매는 다 다를 수 있고 또 그것이 맞는 것입니다. 어제 읽은 다음 내용도 한없이 겸손하고 관대해야 함을 가르쳐줍니다.


"자아실현이라는 개념은 근대의 허구 중에서도 가장 파괴적이다. 이 허구는 단 한 종류의 삶에서만, 아니면 소수의 비슷비슷한 삶에서만 당신의 삶이 꽃필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사실 사람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삶의 방식으로 잘 살아갈 수 있다."(존 그레이;동물의 침묵).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당신을 사랑하는 우리 모두가 각자 주님 안에서 다양한 '행복의 꽃'을 피워 내며 잘 살게 하십니다. 다음 화답송 시편이 참 행복한 삶을 요약합니다.


"내 영혼아, 주님을 찬양하여라. 한평생 주님을 찬양하라. 이 생명 다하도록 내 하느님 찬송하리라."(시편146,1-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4 하느님의 기쁨 -하느님을 닮아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자-2018.3.3. 사순 제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03 163
1633 감사하라, 죄도, 약함도 은총이다 -빛과 어둠-2018.1.27. 연중 제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7 163
1632 영적 인식 지평의 확장 -앞문은 세상의 사람들에게, 뒷문은 사막의 하느님께-2018.9.5. 연중 제2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9.05 163
1631 축제祝祭인생이냐 또는 고해苦海인생이냐? -삶은 축제祝祭이다-2018.8.23.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8.23 163
1630 하늘 나라의 삶 -사랑, 회개, 순수, 동심童心의 회복-2018.8.18.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8 163
1629 기도가 우선이다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2018.6.25. 월요일 남북통일 기원미사(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18.06.25 163
1628 순수한 마음 -“주님, 순수의 길로 저를 이끌어 주소서.”-2017.11.13. 연중 제3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3 163
1627 삶은 하느님 은총의 선물이다 -탐욕의 원인과 대책-2017.10.23. 연중 제29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23 163
1626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나를 따라라-2017.6.2. 부활 제7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6.02 163
1625 자유의 여정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2017.4.5. 사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5 163
1624 평생 공부-2015.5.13. 부활 제6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5.13 163
1623 동정 성모 마리아의 사랑의 성덕(聖德) -침묵, 경청, 순종-2023.12.20. 수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23.12.20 162
1622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성모님 예찬 -지혜, 찬미, 순종-2023.12.8.금요일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창세3,9-15.20 에페1,3-6.11-12 루카1,26-38 프란치스코 2023.12.08 162
1621 대림의 희망과 기쁨 -깨어 있어라, 회개하라, 감사하라-2023.12.3.대림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23.12.03 162
1620 하느님의 궁극의 승리 -너희는 인내로서 생명을 얻어라-2023.11.29.연중 제3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9 162
1619 어떻게 살 것인가? -깨어 준비하며 주님을 기다리는 삶-2023.11.2.목요일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프란치스코 2023.11.02 162
1618 성인이 됩시다 -11월은 희망과 위로의 성월-2023.11.1.수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11.01 162
1617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2022.6.6.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6.06 162
1616 죄를 짓지 마십시오 -끊임없는 기도와 말씀공부, 회개의 삶-2022.2.24.연중 제7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2.24 162
1615 삶의 지혜 -태풍颱風을 미풍微風으로-2021.11.25.연중 제3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25 162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